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김정은 ]



바쁘게 살아가는 현대인에게 연휴, 방학, 휴가 등은 반가운 휴식 시간이다. 그러나 이 시기가 지나고 다시 일상으로 복귀해야 할 때가 오면, 일부 사람들은 '홀리데이 행오버'라는 불편한 감정을 경험하게 된다. 

 

홀리데이 행오버(Holiday Hangover)는 휴가 동안의 즐거움과 여유로움이 끝나고 일상으로 돌아가면서 겪는 우울감, 불안감, 피로감 등을 말한다. ‘홀리데이’는 기쁨과 기대감을 주지만, 그 후에 오는 감정적 불편함은 종종 간과된다. 휴식을 잘 취하고 자유를 만끽하는 것만큼 건강하게 일상으로 복귀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즐겁게 술자리를 가진 다음 날 숙취로 깨질 것 같은 머리와 축 처지는 몸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한 것처럼, 긴 휴식의 끝에 찾아온 일상으로의 복귀라는 숙취를 잘 해소해주어야 한다. 




원인은 무엇?


1. 일상으로의 복귀

휴가 기간 동안의 자유롭고 즐거운 시간이 끝나고, 다시 일상적인 책임과 의무로 돌아가야 할 때, 우리는 큰 압박감과 부담감을 느낀다. 순간적으로는 자신의 일상에 대한 강한 회의감을 느끼기도 한다.

 

2, 사회적 고립감

‘홀리데이’ 시즌에는 많은 사람들이 함께 시간을 보낸다. 특히 전국적으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긴 연휴를 가질 수 있는 명절에는 주변이 사람 소리로 가득해진다. 그러나 일상 속에서 현대인들은 혼자 사는 경우가 많다. 사랑하는 가족, 친구 애인들에게 둘러쌓여 지내던 명절이 끝나고 텅 비어버린 집으로 돌아갔을 때, 극도의 고독감이나 소외감을 느끼게 될 수 있다.

 

3. 신체적 피로

연휴 기간동안의 불규칙한 생활 패턴은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과식이나 수면 부족 등으로 인한 신체적 피로감은 정서적 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일상으로의 복귀에도 악영향을 미쳐, 무기력과 우울감을 초래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심리적 숙취의 숙취해소법


1. 일상 루틴 재조정

점진적으로 일상적인 스케줄에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밀린 업무를 한꺼번에 처리하려는 과도한 업무, 연휴 기간에 늘어난 뱃살을 빼려는 과도한 운동 등은 오히려 더욱 긴 숙취를 유발할 수 있다. 루틴들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차츰차츰 몸과 마음의 복귀를 돕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다.

 

2. 일상 속 행복 찾기

홀리데이와 일상을 칼로 자른 듯 분리해버리는 것은 홀리데이 행오버의 근본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일상 속에도 많은 행복과 휴식이 존재한다. 선선한 바람과의 산책, 여유로운 티타임, 친구나 지인, 애인과의 데이트, 독서, 깊은 수면 등 홀리데이에는 하지 못하는 것들 또한 일상 속에 존재한다. 이러한 순간에 집중하고 활용한다면 끝나버린 연휴도, 다시 시작된 일상도 더 이상 숙취처럼 느껴지지 않을 것이다.

 

3. 신체적 건강 관리

연휴가 길어질수록 유지해왔던 일상의 건강 관리 루틴은 깨지게 된다. 높은 열량의 음식을 과식하는 것, 운동 부족, 수면 부족 등의 문제들은 일상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규칙적인 운동과 균형 잡힌 식사를 통해 몸의 컨디션을 회복하는 것은 일상의 복귀에 도움을 준다.




다들 그래요!


홀리데이 행보버는 많은 사람들이 경험하는 보편적인 현상이다. 이를 받아들이지 못하는 것보다, 나의 상태를 이해하고 적절한 대처 방법을 찾는 것은 정신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홀리데이 이후의 감정적 변화에 대해 개방적이고 솔직하게 이야기하며,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일 수 있다.

 

하지만 가장 좋고 쉬운 방법은 다시 긴 연휴가 돌아옴을 기억하는 것이다. 일년에도 ‘홀리데이’는 여러번 찾아온다. 물론 당신의 기대만큼 길거나 즐겁지 않을 수 있지만, 기다리는 것만으로도 마음은 한결 나아질 수 있을 것이다. 






지난 기사보기

'산채로 불에 활활..' 역사 속 "마녀사냥"의 군중심리

Z세대, 이대로 괜찮다!

멋있는 유머가 필요할 때

인생은 마치 포도밭을 가꾸는 일

사랑의 심리학: 관계의 본질을 탐구하다

절실한 당신의 마음을 흔드는 재회심리학의 정체

당신은 "악"하지 않은가요?

“너 T야?” 대신 “너 마키아벨리즘이야?”

기차에서 우연히 만난 나만의 상담사

당신을 사랑해요. 하지만 당신의 정치관은 증오해요.

인류에게 꼭 필요한 야한 이야기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639
  • 기사등록 2025-02-10 09:08: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