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정연수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협력하여 시행하는 '청년 문화예술패스' 사업은 19세 청년 16만 명을 대상으로 공연(연극, 뮤지컬, 클래식) 및 전시 관람비를 지원하는 중요한 정책이다. 이 사업을 통해 청년들에게 문화 예술의 기회를 제공하며, 각 청년은 1인당 연간 최대 15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원금은 국비 10만 원과 지방비 5만 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문화 향유의 기회를 확대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19세 문화예술패스' 정책은 청소년들에게 문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그들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히 청소년기는 신체 및 정서적 발달이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심리적으로 불안정하거나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경향이 있기에 다양한 경험을 통해 긍정적으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문화 예술 활동은 그들의 정신 건강을 유지하며 자아 존중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동시에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많은 청소년들이 가정의 경제적 여건이나 사회적 환경등으로 인해 문화 예술 활동을 경험하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 이에 따라 '19세 문화예술패스' 정책은 학생들이 부담 없이 공연과 전시를 즐길 수 있게 해줌으로써, 그들의 정서적 안정과 사회적 연결을 돕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화자는 청소년 정신 건강 분야에서 활동하면서 문화 예술이 그들에게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직접 경험한 바 있다. 예를 들어, 한 청소년 치료 사례에서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그 과정에서 정서적 안정을 찾은 청소년이 있었다. 이 청소년은 과거에 우울감과 스트레스를 자주 겪었으나, 미술을 통해 자아를 표현하며 감정을 건강하게 처리할 수 있었다. 그 과정에서 또래 친구들과 자연스럽게 교류를 통해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이러한 경험은 문화 예술 활동이 단순히 취미나 여가의 의미를 넘어, 청소년의 정신 건강과 성장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임을 확신하게 만들었다.


'19세 문화예술패스' 정책은 청소년들에게 예술 활동을 통해 자신을 표현하고 타인과 소통하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그들의 정서적 안정뿐만 아니라 사회적 관계 형성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통해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자아 존중감을 높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만큼, 이 정책은 청소년들이 성숙하고 건강하게 성장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스포츠나 게임뿐만 아니라 다양한 문화 예술 활동을 선호하고 있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는 문화예술이 그들의 정신 건강과 여가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다양한 예술 활동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감정을 건강하게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매우 중요하다. 예술은 그 자체로 창의성을 발휘하고, 정서적인 표현의 방법을 제공하며, 심리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19세 문화예술패스' 정책이 활성화되면, 청소년이 문화 예술을 접할 기회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그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고,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예술 활동은 감정을 표현하고,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는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청소년들이 겪게 될 다양한 어려움을 극복하는 데 있어 문화 예술 활동은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동시에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고, 자신의 감정을 건강하게 다루는 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돕는 이 정책은 청소년들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이다. '19세 문화예술패스' 정책이 청소년들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여, 그들이 행복하고 건강한 성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되기를 바란다.




참고문헌
1) 정경은(Chung Kyoungeun),임영식(Lim Youngsik),and 조영미(Cho Youngmi).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 경험 차이와 효과 연구." 청소년 문화포럼 -.58 (2019): 115-143. 
2) 박선우. "청소년의 문화예술활동 경험에 따른 공동체 의식, 리더십생활기술 비교 분석." 예술교육연구 21.2 (2023): 169-187. 
3) 윤차연. "청소년 통합예술 체험 힐링캠프 분석." 연극예술치료연구 -.19 (2023): 60-85.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672
  • 기사등록 2025-02-21 09:24:3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