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임은서 ]



일상생활을 하다 보면 수많은 소음을 듣는다. 그중 유독 특정 소음이 잘 들리는 상황이 있다. 자려고 불을 끄고 눕기만 하면 갑자기 들리는 째깍째깍 시계 소리, 윗집의 의자 끄는 소리, 도서관 옆자리 사람들이 속닥거리는 말소리 등 이렇게 특정 소음에 집중되는 상황을 모두 겪어봤을 것이다. 이러한 상황뿐만 아니라 시장이나 시끄러운 버스 안같이 사람이 많고 여러 소음이 섞여 들리는 상황에서 누군가가 내 이름을 부를 때, 옆 사람과 대화할 때, 소음에 방해받지 않고 특정 일에 집중해야 할 때, 노래방에서 내 휴대전화 벨 소리를 듣고 전화 받을 때, 길을 지나가다가 한 가게에서 들리는 노래에 귀 기울여졌을 때처럼 다양한 소음 속에서 내가 원하는 소리만 듣는 상황도 있다. 특히 윗집의 의자 끄는 소리나 쿵쾅거리는 층간소음은 특정 소음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최근에는 심각한 범죄 문제로도 이어지며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렇게 특정 소음에 집중되는 상황은 칵테일파티 효과가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특정 소리만 들을 수 있는 뇌의 전략


칵테일파티 효과란 칵테일파티처럼 시끄럽고 여러 사람의 목소리와 잡음이 섞여 들리는 상황에서도 본인이 흥미를 갖는 이야기만 선택적으로 들을 수 있는 현상을 말한다. 하루 종일 수많은 소음을 동시에 듣는다면 얼마나 피곤할지 상상도 할 수 없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만 집중적으로 선택해서 듣게 하는 뇌의 전략이다.

 

사람은 불완전한 상태에서 태어나 어른보다 더 많은 수상돌기를 가지게 된다. 그런데 계속 새로운 정보를 배우면서 처음부터 가지고 있던 많은 수상돌기를 유지하기 어려워져 가지치기한다. 즉, 필요한 정보만 선택하고 집중하여 그 정보를 발전시키고 특정 소음을 잘 들을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이러한 전략이 칵테일파티 효과에 적용되는 것이다. 수많은 소음 속에서 특정 소리를 선택하고 집중하여 효율적으로 소리를 듣기 위함이다. 그래서 시끄러운 공간에서 누군가가 나를 부르는 소리를 들으면 순간적으로 집중할 수 있게 되어 잘 들을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칵테일파티 효과가 긍정적인 상황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 만약 층간소음이 한번 스트레스로 각인된다면 이 특정 소음에 집중하게 되고 사소한 층간소음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피해의식이 있는 사람들은 특정 단어를 듣기만 해도 자신에 대해 안 좋은 이야기를 한다고 믿을 수 있다. 특정 단어나 소음에 집중되는 것이 잘못된 선택적 지각을 하게 한 것이다. 

 

이렇게 칵테일파티 효과로 인해 자신의 논리에 맞춰 오해하고 왜곡된 생각을 할 수 있다. 어디에 어떻게 집중하느냐에 따라 칵테일파티 효과가 긍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부정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1. 칵테일파티 효과를 긍정적인 방법으로 활용하기

  2. 칵테일파티 효과를 더 잘 이용하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 좋을까? 순간적으로 특정 소음과 상황에 집중할 수 있게 하는 특성을 활용해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장애(ADHD)를 치료할 수 있다. ADHD의 특징은 심각한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충동성 등이 있으며 뇌의 주의 집중력을 조절하는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상황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감각 운동을 발달시킨다면 학습 능력이 향상될 것이다. 음악치료, 다감각놀이치료 등의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면 ADHD를 치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특정 소음에 선택적으로 초점을 두고 습득하며 집중력을 향상하는 방법은 ADHD의 치료뿐만 아니라 일반인의 학습 능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대표적인 예료는 백색소음을 이용해 공부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또한 미리 예습하여 특정 단어를 학습하고 수업 시간 때 두 번째로 들으면 선택적 지각을 통해 학습 내용을 반복하여 생각할 수 있으며 수업 시간에 더 잘 집중할 수 있도록 활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은 많다. 소비자의 이름을 직접 넣어 마케팅의 전략으로 사용하거나 층간소음이 심할 때 다른 소리를 틀어 층간소음에 집중하지 않고 다른 소리에 집중하도록 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칵테일파티 효과는 선택적으로 자신이 듣고 싶은 대로만 들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주변의 소음 수준, 청각의 예민한 정도, 개인적 성격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칵테일파티 효과를 제대로 이해하고 적절히 활용하면 일상생활에서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참고문헌

1) 이동귀. (2016). 너 이런 심리법칙 알아?. 파주:21세기북스

2) 최종석. (2023). 칵테일파티 효과. 충청타임즈. http://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743374

3) 김인서, 김나영, 박민나, 박수현, 이유나. (2024). ADHD 아동을 대상으로 한 감각통합 치료가 주의력 및 과잉행동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 작업 치료 분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63(3). 185

4) 박광현. (2020). 층간소음분쟁 해결을 위한 형사법적 접근. 법학논총. 46. 155-176

5) 고대원. (2015). 학습환경 요소로서의 백색소음 환경음에 관한 학습자 인식 탐색 연구(교육학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울.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698
  • 기사등록 2025-02-27 09:20: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