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25년까지 '어디서나 암 걱정 없는 건강한 나라' 만든다 -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21∼`25))」 수립(3.31)
  • 기사등록 2021-04-01 10:48:00
기사수정


< 국가암데이터(K-Cancer DW) 구축 모델(안)>

 


우리나라의 암 발생자 수는 243,837명으로 위암, 간암의 발생률이 높은것으로 나타난다. 

참고 : 국가암정보센터 2018년 데이터 기준


최근 암 환자수가 증가하며 정부는 국가암관리위원회를 개최하여 암관리종합계획을 수립했다. 이날 정부는 300만 명 국가암데이터를 구축하여 예방 가능한 암 20% 이상 감소 및 암 생존자 돌봄 서비스를 2배 이상 확대한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장관 권덕철)는 2021년 제1차 국가암관리위원회(위원장:보건복지부2차관)를 개최하여, 향후 5년 간(’21~’25)간 중점 추진하게 되는 암관리정책의 전망(비전)과 과제를 담은 제4차 암관리종합계획*을 심의·의결하였다. 

* 암관리법 제5조에 따라 5년 단위로 수립하는 중장기 계획


그간 정부는 국내 사망원인 1위를 차지하는 암 질환으로 인한 고통과 피해 및 사회적 부담을 줄이고, 국민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해 종합적인 암관리정책을 3차*에 걸쳐 추진하여 왔다.

* (제1기) ‘96∼’05 (제2기) ‘06∼’15, (제3차) ‘16∼’20


그 결과 우리나라의 암생존률*(2018년)은 1995년 42.9%에서 2018년 70.3%까지 향상되었으며, 암발생률(2018년)은 인구 10만 명 당 270.4명으로 OECD 평균(301.1명)보다 낮은 수준이다.

* 일반인과 비교하여 암환자가 5년간 생존할 확률을 의미


암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낮추기 위해 건강보험 보장성도 강화한 결과, 암환자의 건강보험 보장률은 2004년 49.6%에서 2019년 78.5%까지 향상되는 등 성과를 거두어 왔다.


그럼에도 암 조기발견 및 치료 향상, 인구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암관리정책 대상인 암 유병자(환자+생존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암에 대한 치료비용 부담, ’암=사망‘이라는 인식 등으로 국민들은 여전히 암을 두려워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출처: 암등록통계(국립암센터)

출처: ‘19년 설문조사(국립암센터)


암 예방 및 검진 등 조기개입으로 초기에 암을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안은 여전히 중요하고, 희귀·난치암의 경우 항암제 및 치료기술 개발 유인이 낮아 암환자 및 가족들이 부담을 갖는 상황이며, 2019년 펜벤다졸(개구충제) 사례처럼 모바일기기, SNS 등을 통해 검증되지 않은 암 관련 정보가 국민들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는 요구도 높다.


한편 데이터3법 및 암관리법 개정을 계기로 그간 축적해 온 암 빅데이터를 암 예방·검진·치료·돌봄 전 주기에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요구도 증가하고 있으며, 암 환자의 수도권 쏠림 현상이 여전하고 지역 간 암 발생률·사망률도 편차가 발생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중앙-지방 간 암관리 역량을 같이 향상시키는 것도 중요한 과제이다.


이러한 정책여건을 고려하여 정부는 ’어디서나 암 걱정 없는 건강한 나라‘를 비전으로 ① 고품질 암데이터 구축 및 확산, ② 예방 가능한 암 발생 감소, ③ 암 치료·돌봄 격차 완화를 주요 목표로 하는 향후 5년 간 종합적인 암관리정책을 수립하였다.


비전
어디서나 암 걱정 없는 건강한 나라
목표


▶고품질 암데이터 구축 및 확산

* 약 300만 명(전체 암환자 70%) 규모의 암 빅데이터 구축


▶예방 가능한 암 발생 감소

* 75세 미만 신규 암환자(위,대장,간,자궁경부) 20% 이상 (年 5.6만 → 4.5만) 감소


▶암 치료·돌봄 격차 완화

* 완치된 암생존자 中 돌봄지원 2배 이상 (0.7만 → 1.8만) 확대


추진전략
① 암 빅데이터활성화

 ∙ 암데이터 활용 인프라 조성

 ∙ 암등록·감시체계 개선

 ∙ 데이터 기반 공익적 암 연구 확대

② 암 예방・검진 고도화

 ∙ 예방 가능한 암 위험 해소

 ∙ 양질의 암검진 실시

 ∙ 지식·정보(발암요인 등) 기반 암 예방 실천

③ 암 치료・대응 내실화 ∙ 효율적인 암 치료·보장 강화

 ∙ 희귀・난치암의 공적 책임 제고

 ∙ 미래 위험(감염병, 인구구조 변화) 대응

④ 균등한 암관리 기반 구축

 ∙ 중앙-지방 암관리 역량 향상

 ∙ 지역사회 중심의 맞춤형 돌봄·지원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73
  • 기사등록 2021-04-01 10:48:0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