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민서
[한국심리학신문=조민서 ]
50대 주부 A 씨는 오랜만에 친구와 카페에서 만나기로 했다. 다양한 대화 소리와 큰 음악 소리가 들리는 카페에 들어간 A 씨는 친구를 찾기 위해 고개를 두리번거렸다. 그러다 자신의 이름을 불리는 소리에 고개를 돌리니 친구를 발견할 수 있었다. 오랜만에 만나 그동안에 쌓여있던 이야기를 나누었다.
대학생 B(23) 씨는 친구와 같이 좋아하는 아이돌의 콘서트를 보러 갔다. B 씨는 좌석에 앉아 콘서트가 시작하는 것을 기다리며, 주변 좌석에 있는 팬들의 대화 소리에 목소리가 묻혀 들리지 않을까봐 큰소리로 친구와 대화를 나누다가 갑자기 울리는 알람 소리에 깜짝 놀라며 알람을 껐다.
일상생활 속에서 우리는 수많은 소리에 둘러싸여 살아간다. 우리는 시끌벅적한 파티나 사람들이 붐비는 카페에서 대화를 나눌 때, 주변의 소음 속에서도 상대방의 목소리를 선별적으로 듣고 집중한다. 의식적으로 ‘이 사람의 말만 들어야지’하며 생각하는 것도 아닌데 이런 일은 어떻게 일어나는 걸까.
붐비는 장소에서 하나의 대화에 집중할 수 있는 이유는?
인간은 주변 환경이 아무리 시끄러워도 방해받지 않고 본인이 흥미롭게 느끼는 의미 있는 정보만 선택해서 집중적으로 습득하고 다른 소리는 무시할 수 있는 ‘선택적 지각(selective perception)’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는 마치 온갖 잡음이 섞인 칵테일파티에서도 자신의 이름을 부르는 소리는 똑똑하게 들을 수 있다는 것과 같다고 해서 ’칵테일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라고 부른다. 다른 용어로는 자기 관련 효과, 잔칫집 효과, 연회장 효과라고도 한다.
1953년 영국 왕립 런던 대학의 인지과학자 콜린 체리(Colin Cherry)가 우연히 한 항공관제사가 여러 대의 비행기에서 들리는 시끄러운 소리에도 자신이 수행할 임무의 소리에만 집중하는 모습을 보았다. 체리는 사람들이 북적거리고 소란스러운 곳에서도 어떻게 다른 소리들은 무시하고 자신이 대화하고 있는 사람 목소리는 다 들으며 대화할 수 있는지 의문을 품기 시작했고 ‘이분 청취(dichotic listening)’라는 실험을 통해 알아보기로 했다.
그는 실험을 통해 사람들이 두 개 이상의 오디오 메시지를 들을 때 한쪽 메시지를 선택적으로 집중할 수 있으며 동시에 다른 소리를 무시할 수 있음을 밟혀냈다. 이 효과는 우리 뇌가 소리의 음색, 방향, 주파수 등을 분석하여 원하는 정보만 선별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이 실험을 통해 인간에게는 감각기억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정보를 선별해서 습득할 수 있고, 선택한 음성에 반응하는 두뇌 스펙트럼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것이다.
대화 속 우리의 두뇌는?
신경과학 연구에 따르면 칵테일파티 효과는 청각피질, 전두엽 및 해마의 협력으로 이루어진다. 청각 피질은 소리를 처리하고, 전두엽은 주의를 조절하며, 해마는 중요한 정보의 기억 및 인식을 돕는다.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FMRI) 연구에서는 특정 음성에 집중할 때 청각피질의 특정 영역이 활성화되는 것이 관찰되었다. 또한 심리학적 연구에서는 사람마다 소음 환경에서 정보를 처리하는 능력이 다르다는 점이 밝혀졌다.
과학 전문 저널인 ‘NewScientist’는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UCSF)’ 연구팀이 칵테일파티 효과가 가능한 이유를, 실험을 통해 밝혀냈다고 보도하고 있는데, 이는 아무리 다양한 목소리가 귀로 들어와도 사람의 뇌는 그중 한 목소리만 골라 처리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연구팀은 두 가지 목소리를 동시에 듣고 있는 사람의 두뇌의 움직임을 조사했는데, 특정 음성 주파수에서만 반응하여 활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두뇌가 참여하고자 하는 대화의 소리만이 분명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일상생활에 녹아들어 있는 ‘칵테일파티 효과’
칵테일파티 효과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이 어떻게 특정 정보를 선택적으로 인식하고 처리하는지를 보여주는 놀라운 현상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소음 속에서도 중요한 정보를 놓치지 않고 들을 수 있다.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도 이를 활용한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1. 인공지능(AI) 음성 인식 기술
스마트 스피커 및 가상비서는 특정한 사용자의 음성을 분리하여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으며, 이는 칵테일파티 효과의 원리를 기반으로 한다.
2. 회의 방송 시스템
기업의 회의 시스템이나 방송 장비에서는 효과를 적용해, 중요한 발언자의 목소리를 강조하고 주변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3. 청각 보조기기 및 보청기
현재 보청기 및 인공지능 기반 인식 기술은 효과의 원리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을 강조하고 불필요한 배경 소음을 억제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마무리하며
복잡한 곳에서 들리는 하나의 소리가 우리 기억 속에 있는 소리 중의 하나일 것이다. 그것이 좋은 기억이라면 좋은 소리일 것이고, 나쁜 기억이라면 나쁜 소리가 될 것이다. 일상에서 누군가 부르는 소리, 동전 떨어지는 소리 같은 경우는 상관없겠지만, 굳이 안 들어도 될 이야기가 들려버릴 수도 있고 듣고 싶지 않아도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그 속에서 당신이 좋은 소리만 들을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란다.
참고문헌
1) 정순옥. (2025, 2). 정순옥 칼럼 칵테일파티 효과(Cocktail party effect). 골프가이드,, 118-119.
2) 애비가일 카데시, 이재은. (2013, 7). 두뇌 리포트 붐비는 장소에서도 하나의 대화에 집중할 수 있는 비밀은?. 브레인, 41, 34-35.
3) 김준래, 「시끄러워도 그녀 목소리는 들려」, 『The Science Times』, 2012년 04월 26일, “https://www.sciencetimes.co.kr/nscvrg/view/menu/248?nscvrgSn=105028”
4) Cheery.C. “Some experiments on the recognition of sppeh, with on and with two ear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irca
5) Bronkhorst. A.W. “The Cocktail Party Phenomenon :A Review of Research on Speech in telligibility in multiple- Talker conditions.
6) Shinn-Cunningham. B.G. “Object-based auditory and visual attention”.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whalstj6688@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