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전성은 ]


• 나라과학자의 잡다한 사전 사진


일상에서 우리는 색상과 글자가 충돌하는 상황을 종종 경험한다. 예를 들어, 빨간색 글씨로 "파랑" 이라는 단어를 읽을 때, 우리는 무의식적으로 색상보다 단어의 의미에 더 집중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런 현상은 '스트룹 효과'라고 불리며, 뇌가 자동으로 정보를 처리하려 할 때 발생하는 혼란을 설명한다.



스트룹 효과란?


스트룹 효과란, 1935년 심리학자 존 리들리 스트룹이 제시한 실험으로, 색상과 글자가 일치하지 않을 때 반응 속도가 느려지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사과'라는 단어가 파란색으로 적혀 있을 경우, 우리는 색상과 단어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글자를 더 빨리 읽지 못하고 반응 속도가 늦어진다. 이는 뇌가 글자 인식을 자동으로 처리하려는 동시에 색상 정보를 처리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일치하면 빠르고, 충돌하면 느려진다.


스트룹 효과를 실험적으로 입증하기 위해 연구자들은 두 가지 자극을 사용했다.


'조화 자극'실험에서는, 색상과 단어가 일치하는 경우를 다룬다. 예를 들어, '빨강', '초록', '파랑', '주황'과 같은 단어가 각각 해당 색상으로 표시될 때, 사람들은 빠르게 반응할 수 있다. 실제 실험에서 참가자들은 "빨강, 초록, 파랑, 주황!" 이라고 1.27초 만에 정확히 반응했으며, 색상과 단어가 일치할 때는 뇌가 자동적으로 반응하여 빠르고 정확한 반응을 보였다.


반면, '부조화 자극'실험에서는, 색상과 단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를 다룬다. 예를 들어, '파랑'이라는 단어가 빨간색으로 적혀 있을 때, 참가자들은 색상과 단어의 충돌을 경험하게 된다. 이 경우, 참가자들은 "파......초록, 빨....빨강, 주....파랑, 주황!"이라고 말하며 3.45초 만에 반응했으며, 반응 시간이 길어졌다. 색상과 단어가 충돌할 때, 뇌는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려 해서 반응 시간이 늘어나는 것이다.



스트룹 효과의 실생활 예시


스트룹 효과는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상황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 다음은 일상 속에서 스트룹 효과가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한 예시들이다.


1. 교차로의 신호등

교차로에서 신호등을 볼 때, 빨간불은 자동적으로 "멈춰야 한다"는 반응을 일으킨다. 그러나 만약 빨간불이 파란색 글씨로 표시된다면, 뇌는 여전히 "멈춰야 한다"는 의미를 인식하지만, 색상과 의미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반응 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색상과 의미가 충돌할 때 뇌가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려 하므로, 반응 시간이 길어지는 스트룹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2. 인터넷 쇼핑 사이트

우리는 종종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에서 할인 정보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0% 할인!" 이라는 문구가 빨간색으로 강조되면, 시각적으로 눈에 띄어 소비자들의 관심을 끈다. 하지만 그 내용을 이해하는 데 약간의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만약 "50% 할인!" 이라는 문구가 초록색으로 표시되면, 색상과 내용이 충돌하면서 뇌가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려 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반응 시간이 길어지는 스트룹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3. 학교의 시험 문제 보기

시험 중 "다음 문제"라는 문구가 파란색으로 표시되면, 우리는 색상과 글자의 의미가 일치하기 때문에 바로 반응 할 수 있다. 하지만, "다음 문제"가 빨간색으로 표시되면, 경고나 주의의 신호로 받아들여져 뇌는 더 신속하게 반응하려 한다. 이때 색상과 글자의 의미가 다르면, 뇌는 두 가지 정보를 동시에 처리하려하여 반응 속도가 늦어질 수 있다. 이렇게 색상과 의미가 맞지 않으면 뇌가 혼란을 겪게 되어 반응 시간이 길어지는 스트룹 효과가 발생한다.


이처럼 우리가 일상에서 겪는 다양한 상황에서 스트룹 효과는 우리의 반응 속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이를 극복하고, 신중하게 반응을 조절할 수 있을까?



신중한 반응을 위한 '잠깐 멈춤'의 힘


스트룹 효과를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방법은 '잠깐 멈추기'다. 뇌가 자동적인 반응을 보일 때, 잠시 멈추고 신중하게 생각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색상과 글자가 충돌하는 상황에서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말고, 두 가지 자극을 의식적으로 분리하여 인식해 보는 것이다. 이 작은 멈춤은 뇌의 혼란을 줄여주고, 더 신속하고 정확한 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된다. 색상과 단어를 분리하여 처리하면, 더 정확한 결정을 내릴 수 있고, 자동화된 반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실수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따라서, 의식적으로 '멈춤'을 실천하고 신중하게 생각하는 습관을 기르면, 일상에서 스트룹 효과로 인한 혼란을 극복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뇌의 속도 조절, 더 나은 판단을 위한 첫걸음


스트룹 효과는 뇌가 정보를 자동으로 처리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자동화가 때로는 오류를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일상 속에서 무의식적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뇌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의식적으로 제어하는 습관을 기르면 더 정확하고 신중한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스트룹 효과를 극복하고 뇌의 자동화된 반응을 조절하는 과정은, 우리가 일상에서 더 나은 결정과 정확한 판단을 내리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다.


출처

1) Stroop, J. R. (1935). Studies of interference in serial verbal reaction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8(6), 643-662.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803
  • 기사등록 2025-03-27 08:26:5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현재의견(총 1 개)
  • yeo_mazing2025-03-31 10:44:58

    예능 tv 프로그램에 종종 나오는 게임의 컨셉이라 초반부를 특히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왜 저게 어렵지?‘ 라고 생각했는데 심리학적으로 자세히 설명해주신 것 같아요. 색이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잘 알 수 있었습니다.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