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강지은 ]


“그때가 좋았지...”

 

누구나 한 번쯤 이런 생각을 해본 적이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과거를 그리워하고, 그때를 더 행복하게 느낄까?




무드셀라 증후군이란?


인간은 누구나 소중한 추억을 간직하며 살아간다. 하지만, 때로는 떠올리기조차 힘든 창피하거나 기분이 좋지 않은 기억도 존재한다. 우리는 왜 좋은 기억만 떠올리고, 나쁜 기억은 지우고 싶어할까? 이 심리를 '무드셀라 증후군(Methuselah syndrome)'으로 설명할 수 있다.

 

무드셀라 증후군이란, 인간이 과거의 행복했던 기억을 아름답게 포장하고, 불쾌한 기억은 무의식적으로 지우려는 심리적 경향을 의미한다. '무드셀라'는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인물로, 그의 나이가 많아지면서 과거의 좋은 기억만 떠올리며, 그때로 돌아가고 싶어 했다고 전해진다. 여기서 '무드셀라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유래되었다.



무드셀라 증후군의 예시


무드셀라 증후군은 우리의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인 예시는 ‘레트로 열풍’이다. 최근 몇 년 간, ‘레트로’가 유행하며 패션, 음식, 음악, 콘텐츠 등에서 과거의 요소들이 새롭게 각광받고 있다. 예를 들어, 프로그램 <슈가맨>에서는 90년대 추억의 가수들이 등장해 옛날 노래를 부르며, 관객들의 향수를 자극했고, 프로그램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런 방식으로 과거를 회상하며 즐기는 ‘레트로’ 의 유행은 무드셀라 증후군의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다.

 

일상 속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예시 또한 존재한다. 학창 시절을 떠올릴 때, 많은 사람들이 당시의 어려웠던 점들은 잊고, 활기차고 순수했던 순간들만 기억한다. 또한, 여행을 떠나 고생한 기억은 거의 사라지고, 즐거운 경험만 남게 되는 현상 역시 무드셀라 증후군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무드셀라 증후군의 심리적 원인


그렇다면, 왜 우리는 무드셀라 증후군에 빠지게 될까?

 

(1) 방어기제 (Defense Mechanisms)

방어기제는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불쾌한 감정이나 생각을 피하거나 억제하려는 심리적 메커니즘이다. 과거의 힘든 기억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억제하면서, 긍정적인 기억만 남게 되는 것이다.

 

(2) 기억 왜곡 (Memory Distortion)

기억 왜곡은 사람이 실제로 일어난 사건을 다르게 기억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는 감정, 사고, 외부 자극 등에 영향을 받아 발생한다. 이러한 왜곡으로 인해 우리는 과거의 긍정적인 기억만 더 강하게 기억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즐거운 경험만 남게 되는 것이다.



 우리 마음의 보안관, 무드셀라 증후군


무드셀라 증후군은 좋은 기억만 남기려는 일종의 도피심리일 수 있다. 특히 현재의 삶이 힘든 상황에 처한 사람들에게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이런 이유로 일부 사람들은 무드셀라 증후군을 부정적으로 평가할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증후군이 마냥 부정적인 역할만 한다고 할 수는 없다. 때로는 우리 마음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영국 사우샘프턴대학교 심리학과 연구진은 무드셀라 증후군의 긍정적인 측면을 밝혀낸 연구를 발표했다. 실험에 참여한 두 집단은 하나는 무드셀라 증후군을 겪는 집단, 다른 하나는 매사를 냉철하게 바라보는 집단으로 나누어졌고, 두 집단 모두 자연재해와 관련된 책을 읽었다. 그 책은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었다.

 

책을 다 읽은 후, 두 집단의 심리적 반응을 분석한 결과, 무드셀라 증후군을 경험한 집단은 냉철한 집단에 비해 더 희망적인 미래를 보고, 주변 사람들과의 유대감을 유지하며,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정서를 보였다. 이 연구는 무드셀라 증후군이 비관적이고 우울한 감정을 극복하는 데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추억을 품고 살아가는 인간


무드셀라 증후군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모든 인간이 지니고 있는 심리적 경향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과거의 행복한 기억은 더 아름답게 편집되어 우리의 마음속에 남는다. 물론, 과거에 과도하게 빠져 현실을 망각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하지만 적당한 추억의 편집은 인간에게 살아갈 원동력을 제공하며, 그 힘으로 어려운 현실을 이겨나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1. YTN사이언스, [Website], 2023, [한 길 사람 속은?] 유행은 돌고 돈다…레트로 열풍의 심리학적 이유는?

https://science.ytn.co.kr/program/view.php?mcd=0082&hcd=0036&key=202306271716137744

2. 브릿지경제, [Website], 2018, [원 클릭 시사] 무드셀라 증후군

https://www.viva100.com/20181001010000088

3. 경기신문, [Website], 2024, [구병두의 세상보기] 추억도 추억 나름이다

https://www.kgnews.co.kr/news/article.html?no=782699



※ 심리학에 대한 더 많은 정보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에 방문해서 확인해보세요!

※ 심리학, 상담 관련 정보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심리학, 상담 정보 사이트도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 재미있는 심리학, 상담 이야기는 한국심리학신문(The Psychology Times)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927
  • 기사등록 2025-04-11 08:14:2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