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발표불안증 극복 대작전
- [The Psychology Times=김예원 ]많은 사람 앞에서 이야기하기, 즉 발표를 좋아하는 사람도 많지만 그렇지 않은 이도 많다. 그런데 단순히 좋아하지 않는 것을 넘어서 ...
- 2022-11-01
-
- 악마의 편집, 왜 믿을까?
- [The Psychology Times=신채린 ]지난 기사웃으면 복이 오나요?우리가 치과를 무서워하는 이유
- 2022-10-31
-
- 누군가의 마지막과 남겨진 나
- [The Psychology Times=김영언 ]최근에 책을 읽었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이라는 괴테가 쓴 작품이다. 작품에서 주인공인 베르테르가 사랑에 실패하고 극...
- 2022-10-29
-
- 성격보다 바꾸기 어려운 것도 우리는 바꿉니다
-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우리는 늘 나에 대해 고민하고, 나를 어떻게 하면 변화시킬 수 있을지를 고민하며 살아갑니다.그러나 우리가 맞닥뜨리는 한 마디,&ldqu...
- 2022-10-29
-
- 깨진 유리창 이론
- [The Psychology Times=권헌주 ]지난 기사방관자 효과살까? 말까? 마케팅 심리학
- 2022-10-28
-
- 초고속 문제 해결법, 휴리스틱의 비밀
- [The Psychology Times=이효림 ] 내 직감을 믿는다 : 휴리스틱(Heuristic)이란? 수많은 사람이 갇혀 있는 한 건물, 여기 어느덧 카운트다운 20초를 남겨둔 시한폭탄을 안...
- 2022-10-28
-
- 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 ‘2022년 청소년 게임사용 설명서 제작 발표회’ 개최
- 서울시립강북인터넷중독예방상담센터가 10월 29일(토) 온라인 줌에서 ‘2022년 청소년 게임사용 설명서 제작 발표회’를 비대면으로 개최한다고 27일 밝...
- 2022-10-27
-
- 피해자의 고통에 함께 눈물 흘리는 대중들
- [The Psychology Times=강도연 ]필자는 아침에 눈을 뜨면 제일 먼저 네이트 기사를 읽는 습관이 있다. 매일 새롭게 업데이트된 소식을 정독하다 보면 시간 가는 줄 모...
- 2022-10-27
-
- 희소성 효과- 포켓몬 빵 대란의 이유
- [The Psychology Times=임소연 ]지난 기사난 좋은 사람이니까! -도덕적 허가 효과숏폼 콘텐츠[참고문헌]김주현, & 이진화. (2016). 인터넷 쇼핑몰 품절 경험 후 인지적 ...
- 2022-10-27
-
- 인지심리학자·인지과학자와 만남 ‘게임인류’ 우리 아이 이해하는 시간, ‘학부모 게임리터러시 교육’ 실시
-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 게임문화재단은 10월 21일 예산 스플라스 리솜 리조트에서 게임문화 가족캠프 참가 학부모 128명을 대상으로 ‘2022 보...
- 2022-10-26
-
- 매국노와 애국지사의 차이
- [The Psychology Times=한민 ]매국노와 애국지사. 친일청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우리나라에서 이만큼 대비가 선명한 용어도 없을 겁니다. 우리는 매국노(賣...
- 2022-10-26
-
- 우리의 토마토는 안녕할까?
- [The Psychology Times=백이서 ]‘빨간펜으로 이름 쓰지 말자, 선풍기 틀고 자면 죽는다’ 흔히 사람들이 믿었거나 믿고 있는 미신이다. 심지어 지금까지도 주...
- 2022-10-25
-
- 서울시립중랑청소년성문화센터, 성평등 동요 ‘함께 그리는 동그라미’ 제작
- 서울시립중랑청소년성문화센터(센터장 김보람)는 중랑구양성평등기금사업의 지원을 받아 ‘나우, 와우’(나와 우리, 세상의 변화를 꿈꾸며 와우!) 프로젝트...
- 2022-10-24
-
- N잡러에게 업무 총량의 법칙이란?
- [The Psychology Times=임혜련 ]‘OO 총량의 법칙’,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존재하는 모든 것에는 전체의 수량이나 무게가 모두에게 동일한 값으로 한정되어...
- 2022-10-24
-
- 이게 다 날 사랑해서 그러는거라고?
- [The Psychology Times=선수민 ]지난 기사걱정이 많으면 독이 된다: 램프 증후군악플러의 심리 - 그들은 왜 악플을 다는가
- 2022-10-23
-
- 나는 오늘부터 비합리적이지만, 더 나은 내가 되겠습니다.
- [The Psychology Times=신선경 ]"당신은 합리적인 인간입니까?" 이런 질문을 받게 되면 굉장히 당황스럽다. 이 문장에서 그리 어려운 단어는 하나도 없음에도 불구하...
- 2022-10-22
-
- ‘일상으로의 회복' 으로 가는 걸음, 코로나19가 지나간 자리를 돌아본 후 내디뎌야 할 걸음
- [The Psychology Times=김재중 ][코로나19를 지나며 겪게된 변화와 관심을 가져야할 것들]코로나19가 휩쓸고 간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 우리는 상당한 공포와 충격을 ...
- 2022-10-21
-
- 문화가 정의하는 '평범'
-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점점 글로벌화 되어가고 있는 세상 속 미래 심리학자들은 각 나라와 문화를 얼마나 어떻게 학문과 실습에 고려해야 할지 지켜보고 있...
- 2022-10-21
-
- 벗어날 수 없는 덫, 약물중독 바로 알기
- [The Psychology Times=전민정 ]지난 기사유리멘탈 vs 강철멘탈사람은 이야기를 남긴다
- 2022-10-21
-
- 일본군‘위안부’피해자 문제의 『낯섦과 익숙함』
- 여성가족부(장관 김현숙)는 10월 19일(수)부터 12월 31일(토)까지 대구 희움일본군‘위안부’역사관(대구시 중구 소재)에서 일본군‘위안부’피해...
- 2022-1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