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온종일 피곤함을 느끼고 아무것도 하기 싫은 상태가 지속된다면? - MZ세대는 번아웃의 시대에서 살고 있다.
  • 기사등록 2022-03-29 07:48:34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유하은 ]


출처 : Shutterstock

의욕이 없고 아무 의미도 느끼지 못하는 상태, 번아웃 증후군


누구나 한 번쯤 해야 할 일이 있는데 하기 싫어서 질질 끌었던 경험이 있을 것이다. 혹은 알차게 하루를 보내고 싶은데 그럴 의욕이 없거나 동기부여가 되지 않는 경험이 있을 것이다. 우리는 왜 가끔 인생에서 아무 의미도 느끼지 못하고 허무함을 느끼게 되는 걸까?


이런 증상은 번아웃 증후군과 연관이 있다. 번아웃 증후군은 심리적, 신체적 피로감으로 인해 우울, 무기력, 의욕 상실, 회의감 등의 증상을 수반하는 심리적 현상이다. 그러나 번아웃 증후군은 아무 징후 없이 어느 시점에서 발생해서 점진적으로 촉진되기 때문에 인지를 한 후에도 쉽게 회복하기 어렵다는 특징이 있다.

 

번아웃 증후군을 앓는 것도 사치인 시대


저성장 시대에 고효율만을 강조하는 한국 사회는 그렇다 할 성과를 이루지 못하고 번아웃 증후군을 앓는 이를 그저 게으르고 무능한 사람인 양 취급하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그러나 아무리 힘들어도 포기하거나 도망치지 않고 자신에게 주어진 일을 수행하며 하루하루 살아내는 우리는 지금 충분히 잘하고 있다.

 

우리는 나날이 높아지는 사회의 기준과 비이상적으로 완벽함을 요구하는 사회의 기대에 부흥하기 위해 나의 능력치 이상으로 노력하고 쉽게 번아웃에 빠지게 되는 악순환 구조 속에서 살고 있다. 그 사이클에서 버티지 못하고 사회가 바라는 완벽한 인재상에 부합하는 사람이 되지 못하면 자연히 도태된다. 따라서 번아웃에 빠지는 것은 절대 우리의 잘못이 아니다. 

 

번아웃을 이겨내는 방법 : 나만의 방향과 속도로 나의 삶을 살기


우리는 SNS 속 연예인이나 인플루언서처럼 결점 하나 없고 완벽한 모습으로 살아갈 수 없다. 인생은 멀리서 보면 희극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는 말이 있듯이, 모든 삶엔 빛과 어둠이 있다. 따라서 우리 타인이 아닌 각자의 삶에 집중하고, 그 안에서 감사함을 찾고, 내가 진심으로 만족을 할 수 있고 행복을 느낄 수 있는 것들을 삶에서 조금씩 늘려나가야 한다. 

 

지금 하루하루 고군분투하며 살아가는 삶도 결국엔 나 자신이 행복해지기 위한 과정이다. 과정이 불행하다고 해서 반드시 결과가 행복할 것이라는 그 누구도 보장해주지 않는다. 내 인생의 주인은 나이기 때문에, 내가 진정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삶을 영위해나갈 수 있도록 세상과 투쟁하며 나를 지켜야 한다. 

 




지난기사

내가 스스로 찬 황금 수갑, ‘완벽주의’

그들이 가지면 나도 가지고 싶어지는 이유, ‘모방 소비’

왜 내 세뱃돈은 금방 사라지는 걸까?, ‘하우스 머니 효과’

집에 있는데도 집에 가고 싶어, ‘집중력’과 ‘소유효과’






참고문헌

박수정,김민규,이훈재,박봉섭,정지현,김도윤,and 박정열. "한국형 번아웃 증후군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사회구조적 개입전략의 우선순위 산정." 교육문화연구 26.1 (2020): 201-215.

박수정 ( Park Soo-jung ), 김민규 ( Kim Min-kyu ), 이훈재 ( Lee Hun-jae ), 김도윤 ( Kim Do-youn ), 박봉섭 ( Park Bong-sup ), 정지현 ( Jeong Ji-hyeon ), 서정은 ( Seo Jung-eeun ),and 박정열 ( Park Cheong-yeul ). "번아웃 증후군의 조작적 정의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문화연구 23.3 (2017): 297-326.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3134
  • 기사등록 2022-03-29 07:48: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