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가연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황가연 ]
깻잎논쟁에 대해 어떻게 생각해?
“깻잎 논쟁? 나는 절대 안 된다고 생각해~” 라며 타인과 의견을 공유한다.
그렇게 ‘밸런스게임’은 가볍고 때로 재미있으며 상대를 알아가는 과정이 되기도 한다.
유사한 사람과 친해지기
유사성과 매력의 관계는 유전적으로도 많이 증명되어 온 이야기이다. 유사성을 찾는 이유는 인간의 인지 일관성 이론으로도 설명할 수 있다. 사람은 자신과 유사한 생각이나 태도를 가진 타인과의 만남을 통해 일관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할 수 있다.
유사성의 원리를 설명하는 흥미로운 실험이 있다. 낯선 사람들보다 친한 친구들과 유사한 DNA를 갖는다는 것이다. 유사한 DNA를 가진 사람들은 유사한 활동에 흥미를 느낄 수 있고 같은 흥미를 공유하는 사람들은 친구가 될 확률이 높다.
자신과 유사한 성격과 흥미를 가진 사람의 행동을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다. 예측할 수 있는 환경은 우리에게 스트레스와 위협을 줄여주며 안정감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안정감도 호감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다른 사람과 친해지기
반대로 나와 다른 사람과 만날 수도 있다. 나와 다른 사람과의 호감 형성은 ‘상보성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다. ‘T-shirt study’ 행동 실험이 상보성의 원리를 설명해준다. 남성들에게 며칠간 티셔츠를 입게 한 후 여자들에게 가장 끌리는 냄새의 티셔츠를 선택하라는 실험이다. 실험 결과, 여자들은 유전적으로 자신과 가장 다른 남성의 티셔츠를 선택했다. 소수의 실험 결과이지만, 유전이 나와 다른 사람을 선택하게 하기도 함을 알 수 있다.
나와 다른 상대와의 만남은 상대를 탐구하고자 하는 흥미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관계에서는 한 사람의 행동이 다른 사람의 특정한 행동을 이끌어 낼 수도 있다. 나의 부족한 점을 보완하고 다른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나와 다른 타인에게 호감을 느낄 수 있다.
하지만 인간은 기본적으로 예측할 수 없는 사건을 좋아하지 않기에 겪는 갈등도 있을 수 있다. 이는 인간관계에서 흔히 겪을 수 있는 갈등이며 이러한 초점에서 관계는 스트레스가 되기도 한다.
결론은 나의 선택
지난기사
높은 확률로 성공한다고 할 때, 얼마의 노력을 기울이실 건가요?
참고자료
조영주. (2019). 청소년의 대인관계 상보성 및 유사성이 친구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20(4), 321-341.
한덕웅.황소정 (1999). 집단수행 상황에서 유사성-매력 가설의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 13권 제 1호, 255-271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