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주선 ]



환경문제는 끊임없이 언급되는 위험한 문제 중 하나이다. 최근 기후변화로 인하여 인간에게 부메랑처럼 직접적인 피해가 오고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산불이나 바이러스가 대표적이며 사람들은 이것을 기후 위기와 연관 짓기 시작했다. 또 다른 예시로 사계절보다는 짧은 봄과 가을, 기나긴 여름과 겨울이 주를 이루고 끝없이 더워지는 여름을 우리는 보내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잠깐 기후 위기가 심각하다고 생각하고 그냥 일상을 살아간다. 즉 위험을 직접적으로 느끼지 않는다고 볼 수 있다. 왜 우리는 환경파괴를 계속할까? 그리고 왜 우리는 빙하보다 손에서 녹는 아이스크림이 더 중요할까?



환경문제가 왜 와닿지 않을까?



답은 바로 인간의 심리에 있다.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의 ‘왜 우리는 기후 변화를 무서워하지 않을까?’라는 강연에서 이 핵심을 파악할 수 있다.


그는 ‘우리가 기후 변화를 위험하지 않다고 느끼기 때문에 기후 변화를 무서워하지 않는다’라고 말하였다. 인간이 위험을 느끼는 데에는 몇 가지 공식이 작용한다. 브루스 슈나이더의 연구에 따르면 첫째, 사람들은 드물고 장엄한 위험을 훨씬 더 크게 느끼며, 둘째, 흔하고 친숙한 대상은 덜 위험하다고 생각한다. 인간에게 기후란 너무나도 친숙하고 매일 느끼며 기후가 변하는 일은 내 눈앞에 직면하지 않은 위험처럼 느껴진다. 따라서 저 멀리 빙하가 녹고 있는 것보다 지금 내가 들고 있는 아이스크림이 녹는 것이 더 자극적이고 직접적으로 나에게 중요하게 느껴지게 된다. 정말 중요한 기후 이야기는 머나멀고 나와는 상관없는 이야기처럼 느껴지게 된다.


또한 기후변화의 심리학이라는 책에서는 ‘우리는 기후변화가 위협적이지 않아서 외면하는 게 아니라 기후변화가 우리의 감정적 뇌에 보내는 신호가 너무나 모호해서 우리가 행동에 나설만한 충격을 주지 못한다. ‘고 한다.

 


환경문제가 우리에게 끼치는 심리적인 영향



많은 사람은 환경문제가 인간에게 해롭다는 것을 알고 있다. 대기오염, 토양오염, 해수면상승, 오존층 파괴 등 인간에게뿐만 아니라 모든 생물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 특히 바이러스와 인간 사이에는 ‘자연’이라는 방어벽이 형성되었으나 인간이 지구를 점령해가며 그 벽이 허물어져 바이러스가 번져나가 결국 인간에게 해롭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인간의 심리에는 어떤 영향을 끼칠까?

 

심리학 전문 매체 싸이 콜로 제 투데이에 따르면 자연의 급속한 악화와 현실에 대한 인식의 증가로 인해 우울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몇몇 연구에 따르면 사람들은 기후 변화의 현실에 대한 사실 정보나 수치, 이미지를 받았을 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즉각적인 행동보단, 절망적인 감정과 무기력을 느낀다고 한다. 환경문제로 인한 무기력함과 우울감을 계속 느끼는 상태를 ‘환경적 우울병’이라고 한다. 이는 사람들이 개인적, 사회적 수준에서 느끼는 상실감이고 환경의 변화를 느꼈을 때 찾아온다. 사람들은 이렇게 슬픔과 무기력함과 우울을 느끼고 나서, 금방 부정한다. 온 지구촌 사람들의 커다란 팀플레이로 느껴지는 만큼 나만 노력해서 바꿀 수 없고, 즉각적으로 바뀌는 문제가 아니기 때문에 더욱더 무기력하고 외면하게 된다.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는 지금껏 환경문제를 직면하는 것만으로 변화를 촉구하긴 어려운 것을 봐왔다. 클래이튼과 러츠만은 사람은 엄청난 수준의 부정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정보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말한다. 심리학자들과 공익광고는 이러한 심각성을 알리고 사람들의 행동을 변화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정보를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환경문제를 사람들이 직면하고 더욱 위험하게 인식하고 행동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집단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인간 때문에 급변하는 자연과 기후 변화가 당신의 일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직면할 기회를 더욱 많이 가져야 하며 많이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이 중요하다.

 

 

 

 

지난기사

당신의 감정에는 이유가 있다.


 

 


출처:

youtube [website] .(2022.).URL:https://www.youtube.com/watch?v=z0rr_1uSazc

한국환경산업기술원블로그 [Website]. (2021). URL: https://blog.naver.com/lovekeiti/222320389028

KTV국민방송 네이버포스트 [Website]. (2018). URL: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16557520&memberNo=4328593

리서치페이퍼 네이버포스트 [ Website]. ( 2020). URL: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30164626&memberNo=39007078

huffpost news [Website]. (2016). URL:https://www.huffingtonpost.kr/2016/01/23/story_n_9058148.html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3740
  • 기사등록 2022-06-10 10:03:3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