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다경 ]





지난 기사

들어가기만 해도 성적이 오르는 공간이 있다?

공부? 자면서도 해!

현명한 광고 전략

엘리베이터의 비밀

한숨의 무게

심리상담법, 뭐가 문제야?

당신의 별점은?




[참고문헌]

 

유혹의 이름, 술. [인천투데이]. (2012)

URL : https://www.incheon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381

[심리학 새책]필름 끊길 정도로 마시고도 어떻게 집에 왔지?. [동아일보]. (2008)

URL : https://www.donga.com/news/It/article/all/20081014/8643737/1

술 마시면 정말 '용기' 생길까?. [이웃집과학자]. (2017).

URL : https://shindonga.donga.com/3/search/13/2805601/1

과음 후 필름 끊기는 이유. [The ScIence Times]. (2010). 

URL : 

https://www.sciencetimes.co.kr/news/%EA%B3%BC%EC%9D%8C-%ED%9B%84-%ED%95%84%EB%A6%84-%EB%81%8A%EA%B8%B0%EB%8A%94-%EC%9D%B4%EC%9C%A0/

우울해서 한잔?…기분장애는 알코올 의존 더 경계해야. [뉴스캐스트]. (2022). 

URL : https://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220729_0001960598#_enliple

[코로나19 장기화, 주의해야 할 정신질환] ① 알코올 의존증후군. [정책브리핑]. (2022).

URL : https://www.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899158

지난해 음주 빈도 줄고, 음주량 늘었다. [메디컬투데이]. (2022).

URL :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95568354664

[질환백과]베르니케 코시코프 증후군(Wernicke-korsakoff syndrome). [서울아산병원].

URL :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3727

Mallett, K. A., Lee, C. M., Neighbors, C., Larimer, M. E., & Turrisi, R. (2006). Do We Learn from Our Mistakes? An Examination of the Impact of Negative Alcohol-Related Consequences on College Students' Drinking Patterns and Perception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7(2), 269–276.

이황빈, 정혜경, 최진희, 김규현, 장동원. (2001). 알코올 의존 환자의 혈장 5-hydroxyindoleacetic Acid 농도와 음주 행태와의 상관 관계. ㆍKorean Academy Addiction Pstchiatry Vol. 5 

Hartzler, B., & Fromme, K. (2003). Fragmentary and en bloc blackouts: similarity and distinction among episodes of alcohol-induced memory los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64(4), 547–550. https://doi.org/10.15288/jsa.2003.64.547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350
  • 기사등록 2022-09-03 17:30:5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