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소영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심리학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무엇이 생각날까?
네이버나 구글에 '심리학'이라는 단어를 검색해 보면 꼭 뇌 좌측 사진, 뇌 속이나 밖에 둥둥 떠다니는 여러 말풍선, 물음표, 톱니바퀴, 퍼즐 등등을 볼 수 있다. 알 수 없이 떠다니는 톱니바퀴나 물음표들이 이야기해주듯, 심리학이라는 분야는 마치 미지의 공간을 자아내는 듯한 분위기를 풍겨낸다. 어떻게 보면, 우리가 모두 가지고 있는, 우리의 삶과 이야기 속에 녹아내려 있는 가장 흔한 학문인데도 말이다.
물론 심리학을 다루는 문맥에 따라 다르겠지만, 병적인 주제를 떠나, 어떻게 우리 일상생활에서 심리학이라는 주제를 다뤄 볼 수 있는지 살펴보려 한다. 정신 건강과 웰빙(WellBeing)이란 개념이 무엇인지, 이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미래 상담사분들 뿐만 아니라, 모두의 정신 건강을 위해, 우리가 알고 있는 톱니바퀴나 물음표들을 넘어서 한번 답을 알아보자.
정신 건강 또는 웰빙(WellBeing)이란 무엇일까?
단순한 육체적, 정신적 '건강'을 넘어서, 웰빙은 훨씬 포괄적인 건강과 행복을 암시한다. 이 개념을 정의한 중요한 인물 중 한 명인, 마가렛 스워브릭 박사에 의하면, 웰빙은 삶을 대하는 긍정적, 적극적인 태도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에 대한 열정, 그리고 이에 따른 만족감 등을 나타낸다. 이에 따라, 인생의 굴곡에서 위기의 순간을 잘 넘겨낼 수 있는 내면의 힘과 회복 탄력성을 일컫기도 한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건강이라는 개념과 달리, 웰빙은 삶의 여러 요인을 통틀어 몸의 균형이나 전체적인 조화를 말하는데, 이 이유로 웰빙은 정확한 측정이 힘든 개념이 되기도 한다. 특히, 스워브릭 박사의 8차원 웰빙 모델에 의하면, 웰빙을 정의하는데 큰 요인인 금전, 사회, 종교, 직업, 육체, 지능, 환경, 그리고 감정은 분리되어 있는 것 같아도 실제론 서로 복잡하게 얽혀 우리의 정체성을 정의해 주고, 사회에서 가지는 우리의 역할과 관계 등을 알려준다. 예를 들어, 개인에 따라 특별히 중요하거나 인생에 큰 역할을 하는 차원이 있을 수 있고, 또 누구에겐 이 8가지 차원들 뿐만 아니라 더 세세하게 구별되는 범주들도 있을 수 있다. 이 모델을 통해, 우리는 우리가 살아온 삶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회 속 우리의 역할을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앞으로 이루고자 하는 개인의 다짐이나 목표를 기억할 수 있다.
스스로 마음 챙기기(Self-Care)
스워브릭 박사가 언급하였듯, 이러한 삶의 균형과 조화를 찾는 방법의 핵심은 자기 삶을 개선해 줄 수 있는 생활 방식, 또는 일상의 패턴을 찾는 것인데, 당연히 이 방식은 개인마다 다른 모습을 가진다. 개인적으로, 이런 습관(Self-care)의 예로, 일주일에 2~3번 요가를 하거나, 따뜻한 녹차를 마시면서 음악을 듣거나, 일기를 쓰거나, 가끔 오래 간직하고 싶은 순간을 사진으로 기록하는 것 등등이 있다.
하지만, 특히 코로나 동안 다른 사람들과의 접촉이 단절되면서, 이러한 습관들이 상업화되어 소셜 미디어나 인터넷을 통해 자신을 챙기는 모습이 남에게 보여주기식으로 변질되었다. 다른 사람들을 따라 하려는 마음보단, 진심으로 자기가 좋아하고, 싫어하는 것이 무엇인지, 자신을 가장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하고 관찰하는 시간이 더 중요하겠다.
이 글을 마치며
물론, 자신을 되돌아보고 탐구하는 시간이 어떤 사람들에게는 일종의 사치라고 생각될 수도 있다. 한낱 한시가 바쁜 사회 속, 직장과 학업에 치이고, 긴 하루를 겨우 끝내고 돌아오는 몇몇 분들에게, 이러한 시간은 일상 속 무의미한 습관이라고 여겨질 수도 있다. 막연하게 들릴 수도 있겠지만, 마음 챙김 시간이 가장 필요한 사람은 그 누구보다도 지금 이 글을 읽으며 속으로 뜨끔한 바로 그 독자들이지 않을까. 단기적인 건강함을 넘어서 장기적으로, 조화로운 삶을 산다는 것은 또 다른 노력이 필요한 책임이기도 하다.
작은 것부터 시작하면 큰 목표도 이루어진다고 했다. 아무리 바빠도 하루에 한 번은 꼭 자기가 좋아하고 행복해질 수 있는 순간을 만들어 보도록 하자.
지난 기사
참고문헌
Mapping Mental Health: Dr. Swarbrick & The eight wellness dimensions [Website]. (n.d.). URL: https://alcoholstudies.rutgers.edu/mapping-mental-health-dr-swarbrick-the-eight-wellness-dimensions/
Swarbrick, M. (2006). A Wellness approach.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9(4), 311-314. https://www.tamug.edu/success/hullabaloo/instructor/A-Wellness-Approach_8-dimensions-foundation.pdf.
Swarbrick, M., & Yudof, J. (2015). Wellness in eight dimensions. Collaborative support programs of NJ (CSPNJ). https://www.center4healthandsdc.org/uploads/7/1/1/4/71142589/wellness_in_8_dimensions_booklet_with_daily_plan.pdf.
Weiss, L.A., Westerhof, G.J., & Bohlmeijer, E.T. (2016). Can we increase psychological wellbeing? The effects of intervention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PLoS ONE, 11(6), 1-16.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p5562@nyu.ed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