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원택
[The Psychology Times=서원택 ]
SNS에 대한 집착
인스타그램을 하면서 사람들이 자신의 스토리에 좋은 반응을 보이기를 기대한 적 있는가? 카카오톡을 하면서 상대방의 답장에 대해 과도하게 신경을 썼다고 생각을 한 적이 있는가? 이렇게 SNS에 과하게 집착하는 점들은 애착 불안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애착 불안이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자.
애착불안은 무엇일까?
애착 불안은 관계에 대해서 지나치게 몰두하며 타인에게 거절당하고, 버려지는 것을 두려워하는 것을 의미한다. 서로 친밀해지는 것을 꺼려하는 애착 회피와는 다른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애착 불안을 가진 사람들은 자신에 대한 상대방의 긍정적인 피드백에 대한 욕구가 강하면서도, 피드백을 받았을 때 피드백에 대해 부정적인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점들은 애착 불안을 가진 사람들의 과도한 재확인 추구 성향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애착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스스로의 가치를 확인하고 싶기 때문에 사귀는 사람의 피드백에 과도하게 의존을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상대방에게 긍정적인 피드백을 원하면서도, 피드백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반응할 경우, 오히려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을 수 있고, 결국 관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애착 불안과 SNS는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을까?
SNS와 애착불안의 연관성
현대인들의 인간관계에 SNS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SNS에는 인맥을 관리하고, 자신의 정체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SNS에는 이러한 장점들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SNS를 통해서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데, 이렇게 맺어진 인간관계는 직접 만나서 소통하는 것을 줄이고, SNS에서만 친분을 유지하게끔 만들 수 있다. 이처럼 현실에서의 인간관계의 문제를 회피하고, SNS 상에서의 관계에 의존하게 되면 다른 사람의 피드백에 집착하게 되는 양극적인 관계적 특징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SNS 중독 경향성과 애착 불안은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다. 애착 불안은 타인이 자신을 거절하는 것에 민감하고, 유기당하는 것에 불안함을 가지는 특성을 가진다. 애착 불안이 높은 사람일수록 SNS에서 인간관계에서의 유대감과 비슷한 애착을 느끼며, SNS 상에서의 관계에 몰두하는 경향이 있다. 이렇게 애착 불안이 높은 사람들은 자아존중감과 자아 통제력이 낮다고 할 수 있다.
자아존중감과 SNS중독의 관계
자아존중감은 줄여서 자존감이라고도 부르는데, 스스로를 가치가 있는 존재로 여기고, 부정적으로 생각하지 않는 감정을 의미하고, 자기통제력은 좀 더 지속적이고 나은 목표를 위해 현재의 충동을 조절하는 능력이다. 이러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은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다. 애착 불안을 가진 사람은 자아존중감이 낮기 때문에 자신의 가치가 낮다고 평가하지만, SNS에서는 자신을 자신이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충동을 조절하지 못하고, 순간의 즐거움만을 추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SNS 중독에 빠질 수 있다. 그렇다면 반대로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을 높이게 된다면 SNS 중독에서 벗어날 수 있지 않을까?
건강한 SNS 사용법
이렇게 애착 불안과 SNS 중독이 연관되어 있고,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력이 SNS 중독과 관련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기통제력을 높인다고 해서 SNS를 아예 금지하라는 것이 아니다. 이미 현대인들에게 SNS는 삶의 일부가 되었다고 해도 과장이 아니다. 그래도 자신이 하루의 쉬는 시간 대부분을 SNS에서 소비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검토해 보자. 만약 습관적으로 SNS를 이용하고 있는 자신이 떠오른다면 SNS를 이용하는 시간을 따로 정하거나, 하루 정도는 SNS를 끄고 현실에 집중하고 살아보는 것도 자기통제력을 높이는 좋은 방법일 것 같다.
지난 기사
[참고자료]
김수진,최지영.(2021).대학생의 애착불안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자아존중감과 자기통제의 이중매개효과.한국인간발달학회
안하얀.서영석.(2010).성인애착, 심리적 디스트레스, 대인관계문제: 피드백에 대한 반응, 정서적 대처, 사회적 지지 추구의 매개효과 검증.한국심리학회지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wt208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