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연수 ]



나 혹시 우울증인가?




우울증의 진단 기준은 크게 아홉 가지인데그중 한 가지가 흥미’와 '우울'이 없는 것이다우울증이라고 진단을 내릴 때 두 가지 중 한 개는 반드시  있어야 한다다시 말해 우울증이지만 우울감은 느끼지 않고흥미가 없기만 할 수도 있다흥미가 없다는 건 무엇일까? 평소 좋아하는 사람과 시간을 보내는 것특별한 취미를 하면서 자신만의 휴식을 취하는 것에 어느 순간 의욕이 점차 사라지는 것이다

 

이때 보통은 내가 우울증이구나.’ 라고 인지하는 게 아니라 다 끝났구나.’라고 느낀다이 단계에서 정확하게 진단을 받고 치료를 시작해야 하는 시기라는 것을 알아차리기만 해도 출발이 달라질 것이다

 

또한 즉시 알 수 있는 기준은 우울이 으로 나타나는 것이다즉 생물학적신체적 변화로 보이는 것들이다대개 우울한 감정은 기분의 문제라고 생각하지만이는 신체적인 문제로 나타나게 되어 있다성욕과 수면 같은 리듬에 문제가 오는지를 살펴보면 된다

 

마지막으로 평소에 자신만의 우울을 극복하는 방법이 통하느냐는 것이다간단히 말해 자극을 통하는지를 본다평소 우울할 때 하는 자극즉 디저트을 먹거나 와인을 마시는 방법이 우울증에는 잘 통하지 않는다그렇게 되었을 때 모든 것이 소용없다고 느껴지거나 포기하고 싶은 마음이 들고 자살을 생각하게 된다나아질 가능성이 없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새로운 치료 방법, 규칙


  


우울증은 이처럼 평소의 자극’ 만으로는 해결되지 않기 때문에 정신과에서는 새로운 방법으로 치료한다. 그것은 바로 '질서에 따른 정해진 규칙'이다일반적으로 주변 사람들은 우울하다고 하는 사람에게 자꾸 무엇을 하라고 권한다하지만 우울한 상황 속에서는 낯선 환경에 적응하는 것으로 더 큰 스트레스를 불러 일으킨다. 학교를 바꾸는 것은 물론심지어는 학교를 쉬라는 것도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보통은 평소의 리듬을 바꾸지 않고익숙한 환경을 유지하는 게 좋다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한데 우울한 상황에선 그것이 어렵기 때문에 약물 치료를 시도하는 것이다약물 치료즉 규칙을 통한 치료는 짧은 순간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다따라서 약을 먹는다고 당장 눈에 띄게 개선되지 않는다다만 2~3주가 지나면 다르네?’라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우울증은 절대 순간적인 것으로 극복 할 수 있다는 것이 아니라는 얘기이다

 


괜찮지 않아도 돼


 

몸에 이상이 있으면 병원에 가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흔히 마음의 병이라고 하는 우울증은 마음이 다른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뇌의 작용으로 생기는 것이다그러니 우울증은 뇌의 변화로 인해 생긴 질환이다. 그러니 온전히 마음의 문제로만 치부하지 말고 병원을 가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다

 

우울이라는 감정이 시작되는 출발선은 각기 다르다하지만 적어도 우울이라는 동굴로 들어서기 전 너무라도 열심히 살고 있었다누구보다 열정적이고 누구보다 밝게 살고 싶어 했던 사람이었다이게 다 너무 열심히 살아서인 거 아닐까지금도 삶에 무척이나’ 열심히 임하고 있는 우리들

 

괜찮다’ 라고 말하고 뒤돌아서서 웃을 수 없는 하루말로 표현할 수 없이 공허하고 마냥 울고 싶은 마음으로 가득한 하루가 있다괜찮다고 말하지만 괜찮지 않은 너와 나 우울이라는 감정이 가져온 마음의 병을 이제는 이야기 해보는 것은 어떨까




지난 기사

미술작품은 자신의 마음이자 경험의 산물입니다.

그림을 통한 마음의 진단, 미술 심리 진단

진단과 치료로서의 가치를 담고 있는 미술




참고문헌


- 이가희. 아임낫파인 (2018). 팩토리나인 

- 우울증도 물리치는 방법이 있다 (중년 건강 백과, 2016. 5. 26., 오한진)

- 우울과 우울장애 (국가정신건강서비스포털 의학정보)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950
  • 기사등록 2022-11-13 22:25:2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