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연
[The Psychology Times=정세연 ]
인간관계는 인간이 인생을 살아가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인간관계는 행복의 주된 원천이자 불행의 주된 원천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원활하고 친밀한 인간관계만을 맺음으로써 항상 행복감만 경험할 수 있다면 매우 좋겠지만, 인간관계는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이기 때문에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적응하기도 매우 힘들어 그 속에서 갈등과 불행을 경험하기 매우 쉽다. 실제로 현재 많은 현대인들이 거대한 인간사회 속에서 다양한 인간관계를 겪으며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인간관계는 인간의 삶 속에서 절대 떼놓을 수 없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에 대해 이해할 필요성이 있다.
부적응적 인간관계는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크게는 4가지, 더 세분해서는 8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권석만,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2017, p.69
1) 인간관계 회피형
인간관계 회피형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인간관계에 대한 동기와 욕구가 적어 인간관계를 회피하며 사람과 함께 하는 일을 가능한 한 피하는 등 고립된 생활을 하는 경향이 있다.
① 인간관계 경시형
인간관계 경시형의 사람들은 우리 삶에서 인간관계가 거의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인간관계에 시간을 들이는 것이 낭비라고 생각하며 고독을 즐긴다.
② 인간관계 불안형
인간관계 불안형의 사람들은 사람을 만나는 것에 대한 불안함과 두려움이 있어 인간관계를 피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사람을 사귀고자 하는 욕구는 있지만 사람들이 자신을 싫어하거나 그들에게 거부당할 것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사람들을 피한다.
2) 인간관계 피상형
인간관계 피상형의 사람들은 의미 있고 깊이 있는 인간관계를 형성하지 못하고 피상적인 인간관계를 맺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겉으로 보기엔 원만한 인간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자신의 진정한 속마음을 마음 편히 터놓고 이야기할 수 있는 친한 친구는 없다. 따라서, 평소엔 큰 문제 없이 지내지만 어려움이 생길 경우 심한 외로움과 고독감에 빠지게 된다.
① 인간관계 실리형
인간관계의 실리형의 사람들은 인간관계의 주목적을 실리적인 것에 두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인간관계를 현실적 이해관계를 바탕에 두고 생각하여 자신에게 이득이 될 것 같은 사람들은 가까이 두며 자신이 얻을 것이 없다고 생각되는 관계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즉, 애정 중심적인 관계보다는 업무 중심적 인간관계에 지나치게 치중한다고 볼 수 있다.
② 인간관계 유희형
인간관계 유희형의 사람들은 즐거움과 쾌락을 인간관계 속에서의 최고의 가치로 생각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무겁고 진지한 주제의 이야기를 싫어하며 가벼운 농담이나 다 같이 신나게 놀고 즐길 수 있는 놀이를 하는 것을 좋아한다. 또한, 자유분방함을 지니고 있어 구속과 규제를 싫어하며 자기 조절 능력과 통제 능력이 부족한 사람들이 많아 무책임한 사람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3) 인간관계 미숙형
인간관계 미숙형의 사람들은 대인 기술 또는 사회적 기술이 부족하여 인간관계를 원활히 형성하지 못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인간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는 상당하지만 대인 기술이 부족하여 친밀한 관계를 잘 형성하지 못한다.
① 인간관계 소외형
인간관계 소외형의 사람들은 미숙한 대인 기술로 인하여 다른 사람들로부터 소외당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다른 이들과 친밀하게 지내고 싶은 마음이 커 적극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자신의 행동이 타인에게 어떤 불쾌감을 주는지에 대해 잘 인식하지 못해 여러 부적절한 행동을 행하며 소외당하게 된다.
② 인간관계 반목형
인간관계 반목형의 사람들은 인간관계에서 대립과 갈등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친밀한 관계를 형성할 때도 있지만 다른 사람의 언행으로부터 쉽게 감정이 손상되며 자신 또한 상대방의 감정을 자주 손상시킴으로써 인간관계에서 여러 사람과 많은 반목을 경험한다. 또한, 갈등을 원활히 해결하는 기술이 미숙하여 갈등이 더욱 확산될 때가 많아 이로부터 많은 불편감과 불쾌함을 느낀다.
4) 인간관계 탐닉형
인간관계 탐닉형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과의 친밀한 관계를 강박적으로 추구하며 친밀해진 사람들을 구속한다. 이들은 홀로 있으면 불안함을 많이 느껴 자신과 항상 함께 붙어있으며 이러한 불안함과 허전함을 덜어 줄 수 있는 사람을 찾아다닌다.
① 인간관계 의존형
인간관계 의존형의 사람들은 자신 스스로를 나약한 존재로 보기 때문에 자신의 모든 것을 맡기고 의지할 수 있는 사람들을 찾는다. 또한, 의지하는 사람과 항상 붙어있으며 애정을 지속적으로 받길 원한다. 이들은 이러한 의존적 인간관계 속에서 심리적 불안정감과 고통을 해소한다.
② 인간관계 지배형
인간관계 지배형의 사람들은 인간관계 속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상대방을 자신의 마음대로 지휘하고 지배할 수 있을 때 행복감을 느낀다. 또한, 자기주장이 세고 경쟁적이어서 협력을 해야 하는 상황에서 많은 갈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인간은 누구나 다 부적응적 인간관계의 요소를 조금씩 가지고 살아간다. 그러나, 이러한 부적응적 요소를 과도하게 많이 가지고 있거나 부적응적 인간관계로부터 심한 고통과 불편감을 경험한다면 이는 전반적인 삶을 불행하게 느끼도록 만들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부적응적 인간관계에 대해 이해하고 내가 경험하고 있는 부적응적 인간관계를 하루빨리 파악하여 이를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다행히도 인간관계의 부적응은 노력을 통해 개선될 수 있기에 더 늦기 전에 자신의 인간관계를 되돌아보고 부적응적 요소가 있다면 이를 교정하기 위해 노력하하는 것을 통해 좀 더 나은 인간관계를 맺고 이로부터 더 많은 행복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기사
참고자료
권석만. (2017).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학지사.
차은아. (2009). 청년기 부정적 자아개념과 인간관계 부적응에 대한 성경적 상담(석사). 총신대학교, 서울.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eyeon042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