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서
[The Psychology Times=최윤서 ]
출처: freepik
과거에 비해, 연쇄 살인과 같은 범죄는 많이 없어졌지만 여전히 현재에 이르러서도 여러 형태의 범죄가 곳곳에서 일어나는 건 사실이다. 가끔은 뉴스에서도 일반적인 사고로선 절대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한 범죄가 보도되기도 한다. 필자도 여러 매체에서 여러 사건들을 많이 접하면서 ‘어떻게 사람으로서 저런 범죄를 행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이 들기도 하였다. 그러다 문득 그런 범죄를 행하는 범죄자의 심리가 궁금해졌다. 아무리 충동적인 감정과 생각이 들더라도 그것을 절제하고 통제할 수 있는 것이 인간이 동물과 다른 큰 차이점인데, 그 절제를 하지 못해 끔찍한 결과를 만들어낸 그들의 심리가 궁금하였다. 범죄는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주변 여건과 같은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 이 글에서는 범죄자의 ‘심리적 특성’에 중점을 두고 살펴보고자 한다.
범죄유발 심리요인
1. 정신분석학적 접근
범죄는 다양한 심리적 요인에 의해 일어난다. 오스트리아의 아들러 심리학자는 ‘열등감 콤플렉스’는 각종 신경증의 근본적인 원인이 되는 동시에 각종 범죄와 비행의 큰 원인이 된다고 설명하였다. 사람은 사회 안에서 다른 사람과 접촉하면서 자신에 대한 열등감과 이를 보상받으려는 욕구를 지니게 되는데, 그 욕심이 과해지게 되면 사람은 여러 가지 내적, 외적 갈등에 휩싸이게 되며 그것이 범죄와 비행까지 이어지게 된다는 것이다. 여기서 열악한 가정환경이나 신체적인 문제와 같은 환경적 요인이 더해지면 더 강한 열등감의 형태로 나타나게 된다.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인 에이크혼은 소년들이 비행을 저지르기 위해선 사회적인 스트레스뿐만 아니라 소년들의 반사회적 행위를 유발하는 여러 심리적 요소도 필요하다고 하였다. 그는 그런 심리적 요소를 ‘비행의 잠복’이라 일컬으며, 충동적이거나, 자신의 개인적인 욕구만을 중시하는 자기중심적 성격을 갖고 있거나, 선악 구분 없이 본능을 따를 때 중 하나의 성격만 갖춰도 형성된다고 하였다.
2. 인격 장애
위와 같은 범죄행위에 대한 심리학 전문가들의 정신분석학적 접근뿐만 아니라 인격 장애로 이한 범죄유발요인도 찾아볼 수 있다.
1) 반사회적 인격 장애
반사회적 인격 장애는 인격 장애 중 하나의 분야로써, 자신이나 사회를 바라보는 시각이 보통 사람의 수준보다 현저하게 한쪽으로 편향되어 있거나 광범위하여 사고의 유연성이 어려운 상태가 계속되는 증상이다. 반사회적 인격 장애가 있는 사람은 사회적 규범을 이해하지 못해 자신의 행동에 대한 죄의식이 없이 쉽게 타인의 권리를 무시하고 침해한다. 충동적이고 공격적인 성향을 띄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는 반복적인 범법행위와 거짓말, 사기의 특징을 보이며 흉악한 범죄까지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2) 신경증
신경증은 뇌나 기타 기관의 기질적 병변이 동반된 신경학적인 증상인 성격장애와 달리, 내적인 심리 갈등이나 외부의 스트레스에 의해 생긴 심리적 긴장이나 심신 기능 장애를 의미한다. 신경증은 망상, 환각, 환상 등을 겪지 않고 현실 판단력에 큰 문제 없이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하다. 하지만, 불안정한 정서와 생활 태도는 불안 장애와 감정조절 장애, 강박증, 공포증 등으로 이어져 심해질 경우, 범죄를 유발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3) 이상 성욕
이상 성욕도 범죄 발생의 한 심리적 요인이 될 수도 있다. 한 논문에 따르면, 이상 성욕은 성욕 앙진, 성욕 감퇴와 같은 양적 이상과 성 대상의 이상(유아애, 동성애 등), 성 목표의 이상(노출증)과 같은 질적 이상으로 나뉜다. 성 기능 부전과 성 기호 이상과 같은 성 장애로 인한 성적 욕구 결핍 또한 범죄행위의 중요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성욕 앙진증이 성격 이상과 병합되면 강간 행위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성욕 감퇴나 성 대상의 이상이 유아애로 나타난 경우에는 유아에 대한 강제적인 외설 행위나 강간에 이를 가능성이 큰 것이다.
사이버 범죄
사이버 범죄는 과학 기술이 현저히 발달한 현재, 가장 심각하게 주목되고 있는 범죄 유형이다. 이는 사이버 공간에서 행해지는 범죄이며, 해킹, 컴퓨터 바이러스와 같은 사이버 테러형 범죄와 사이버 명예훼손, 사이버 폭력, 인터넷 사기, 저작권 침해와 같은 일반 사이버 범죄로 나뉜다. 한 논문에 따르면, 사이버 범죄를 유발하는 심리적 요인은 1단계 상업성 및 사익추구와 같은 생리 욕구, 2단계 처벌인지 부족과 군중심리와 같은 안전 욕구, 3단계 충동성, 사회성 결여 및 마찰, 과대망상 등과 같은 사회 욕구, 4단계 명예욕과 익명성 등의 존경 욕구, 5단계 비인격성, 절제력 부족, 도덕성 결여와 같은 자아실현이라고 설명하였다.
성범죄
1. 아동 대상 성범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성범죄 또한 심각한 범죄 유형이다. 나이가 어린 만큼 그 충격과 피해 정도도 매우 크기 때문에, 피해 아동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다시는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재범 방지를 위한 방안 도입이 시급하다.
한 논문에서는 범죄자는 본인이나 피해자의 주거지역 근처에서 성범죄를 행하는 경향이 있고, 사전에 치밀한 계획을 세우고 유인이나 폭력을 사용했다는 공통점이 있음을 설명했다. 그들은 미성숙한 발달과 불안정한 감정조절 등의 문제로 사회생활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해, 그에 대한 불만을 나약하고 쉽게 통제할 수 있는 아동에게서 해소하려는 심리적 요인이 범죄의 큰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극소수의 경우엔 어린 시절 겪은 성적 학대나 성폭력의 경험도 중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2. 청소년 성범죄자
갈수록 청소년의 범죄가 더 지능적이고 흉악해지면서, 성매매 등의 청소년 성범죄 증가율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청소년 성범죄자들은 공감 능력이 부족해 타인의 관점을 이해하면서 친밀하게 지내는 데 어려워하고 이에 심한 고독감을 느낀다. 사람들과 친밀하게 지내는 적절한 대응 전략이 부족하기 때문에 성적 환상이나 행동을 대응 전략으로 사용하게 된다. 또한, 가족과의 불안정한 애착 관계나 가정폭력, 학대, 방임 등으로 인한 불만을 표출하고 스스로 그 외로움을 달래는 과정에서 성에 대해 집착하고 중독적인 모습을 나타내기도 한다.
지난 기사
참고문헌
강지현. (2018). 개인범죄 반복피해의 영향 요인과 피해 후유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68권(1호), p3~29.
이만종. (2006). 범죄 유발심리요인에 관한 고찰. 한국경찰연구, 5권(1호), p175~198.
임헌욱. (2021). 사이버범죄를 유발하는 심리적 요인 분석. The journal of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7권(2호), p157~163.
정승민. (2010). 아동대상 성범죄자의 범죄심리학적 특성에 관한 고찰. 한국범죄심리연구, 6권(3호). p189~190.
고은숙, 이세정, 이호준. (2018). 청소년의 성범죄 실태와 그 심리. 법학연구, 69권(1호), p432.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ena592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