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지하늘 ]



우리는 삶을 살아가며 다양하고 새로운 경험을 한다. 낯선 곳으로 여행을 간다거나 먹어보지 못한 음식을 먹는다거나, 또는 한 번도 시작해보지 않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도 있다. 자신이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것을 경험할 때 설레고 떨리는 마음이 드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하지만 가끔 우리는 그러한 마음보다 이상한 기시감을 느낄 때가 있다. 분명 처음 경험하는 일이 맞음에도 과거에 경험한 것 같은 착각이 드는 것이다. 이것을 바로 데자뷔라고 한다.


화자 또한 이런 기시감을 느낀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친구들과 새로운 여행지에 갔는데 분명 언젠가 와본 것만 같은 착각이 들기도 했고, 또 수다를 떨다가도 지금 나누는 이 대화와 이 장면을 꿈속이나 어디에서 본 것 같았다. 그럴 때면 내가 정말 과거에 겪은 기억이 희미하게 나는 것인지, 아니면 한 번도 겪지 못했지만 겪은 것처럼 착각하는 데자뷔를 느낀 것인지 혼란이 오곤 한다. 그렇다면 데자뷔는 대체 무엇이고, 우리는 왜 이런 기시감을 겪는 것일까?

 

흔히 데자뷰라고 불리기도 한 데자뷔는 한국말로 기시감과 같은 뜻이다. 데자뷔(déjà vu)는 프랑스어로 ‘이미 보았다’라는 의미다. 한 번도 경험한 적 없는 장면이나 상황이 언제, 어딘가에서 이미 경험한 것처럼 낯설지 않고 친숙하게 느껴지는 일을 말한다.


데자뷔가 처음 규정된 것은 1900년, 프랑스 의학자 플로랑스 아르노에 의해서다. 이후 에밀 보아락이 처음으로 데자뷔라는 단어를 사용하였다. 그는 데자뷔의 원인이 무의식이나 과거의 망각한 경험에서 비롯한 기억의 재현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데자뷔 현상은 그것 자체로 이상하다고 느끼는 뇌 안의 신경 화학적 요인 때문이라고 해석했다.


데자뷔에 관련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평생 한 번 이상 데자뷔를 겪은 사람의 비율이 67퍼센트에 이른다고 한다. 이는 나이에 따라서도 다르게 관찰되는데, 나이가 많은 사람보다 10대 후반과 20대 때 가장 많이 데자뷔 현상을 경험하고 나이가 들면 점차 줄어든다고 한다.

 

데자뷔 현상을 경험하는 원인은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현상에 대한 다양한 가설들과 데자뷔 현상의 알지 못했던 몇 가지를 더 알아보도록 하자.


데자뷔 연구자인 크리스 뮬랭에 따르면, 데자뷔는 일반적으로 완전하게 새로운 경험을 할 때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그래서 여행을 많이 할수록 데자뷔 현상을 자주 느낀다는 연구 결과도 있는데, 여행은 데자뷔의 대표적 기폭제라고 할 수 있다. 익숙하지 않은 장소들에서 친숙하다는 느낌과 실제 경험이 아닌 단순 지식 사이에서 충돌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또, 젊을수록 기시감을 더 자주 느끼는데, 40~50대쯤이면 절반으로 떨어지고, 60대에 접어들면 데자뷔를 경험하는 횟수가 1년에 한 번 정도로 줄어든다. 반면 어떤 이들은 온종일 데자뷔를 느끼기도 하는데, 이는 심해질 경우 측두엽 뇌전증인 간질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데자뷔의 원인은 다양하다. 일부 연구자들은 도파민과 같은 신경전달물질에서 데자뷔의 원인을 찾기도 한다. 사람의 뇌는 나이가 들수록 도파민을 적게 만들어내고, 또 도파민에 반응하는 능력 또한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된 흥미로운 보고가 있는데, 2001년 39세의 남성은 독감 치료를 위해 의사가 처방해준 약물을 복용한 후부터 데자뷔를 경험하기 시작했다. 그 후로 10일 뒤 약물 복용을 마치자 데자뷔 현상이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그가 복용했던 약물은 아만타딘과 페닐프로파놀라민으로, 도파민의 활동을 증가시키는 약물이었기 때문이다.

 

다른 이론으로는 데자뷔가 뇌의 측두엽과 관련되었다는 연구다. 측두엽이 과거에 경험한 일들에 대한 감정과 기억을 불러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측두엽이 예상치 못하게 작동하게 되면 잘못된 기억이나 ‘가짜 익숙함’을 불러오게 한다는 것이다.

 

재밌고 흥미로운 이론으로는 두 개의 평행우주가 부딪히는 순간, 데자뷔가 발생한다는 이론도 있다. 또, 환생한 사람이 전생에 대한 기억을 느끼는 것이라는 이론 또한 제기되기도 했다.

이처럼 데자뷔는 아직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은 흥미로운 현상이다. 일상에서 소소하게 느끼는 데자뷔는 사람들에게 행복감이나 활력을 주기도 한다.




지난 기사

사람에게 쉽게 상처받는 당신에게

당신의 우울, 지금 괜찮나요?

주기적으로 예민해지는 당신을 위한 PMS 안내서

일상을 리셋하고 새로 시작하고 싶을 때 – 도파민 단식

무섭지만 공포영화는 보고 싶어!





출처

-'어디서 본 듯한...' 데자뷰는 어디에서 오는가 [사이언스온]. (2015). URL: http://scienceon.hani.co.kr/277072

-데자뷰: '이 장면, 어디서 봤더라?' 기시감에 대한 8가지 사실 [BBC NEWS 코리아]. (2019). URL: 

https://www.bbc.com/korean/news-46718817

-데자뷔 [두산백과].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222553&cid=40942&categoryId=31531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216
  • 기사등록 2022-12-10 19:27:2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