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소연 ]


현대 교육은 인지적 능력에 기반한 문제해결 능력의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지적 문제해결 능력을 지나치게 중시함으로 인하여 개인의 감정 또는 정서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는다는 한계가 제시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성격의 전체적인 과정에서 감성을 중추적인 역할자로서의 위치를 부여하는 성격 이론들이 연구되고 있습니다. 성격 이론들이 연구되고 있는 과정에서 Salovey와 Mayer은 감성지능이라는 이론을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평가하고 표현하는 능력, 또는 자신과 타인의 감성을 효과적으로 절제 및 활용하여 이에 기반한 삶을 계획하고 행동의 방향을 결정하는 능력’으로 소개하였습니다. 감성지능은 개인의 정서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정서 인식 명확성과도 연관이 있습니다. 정서 인식 명확성이 높은 사람은 사회적 상황 속에서 타인과 상호작용하고 관계를 맺을 때, 표정을 통해 정서와 의도를 정확하게 추론하고 공감하는 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인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공감 능력은 타인과 자신을 이해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이후의 관계 양식이 연결되는 범위까지 포함됩니다. 이러한 감성지능, 정서 인식 명확성, 공감 능력은 교육을 통해 후천적으로 향상할 수 있습니다, 이들 요인은 바람직한 사회생활뿐 아니라 학습 단계에 있는 학생에게 특히 중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러한 요인들을 발달시켜야 하는데, 저는 심리학을 애용하여 발달하는 것을 권유해 드리고 싶습니다.

 

 


어떤 심리학이든 상관없다.


심리학 수업의 유형과 무관하게, 전체 연구 대상의 감성지능과 정서 인식 명확성, 공감 능력 수준이 향상되었습니다. 조금 더 세부적으로 이야기하자면, 감성지능은 자기 감성 이해, 감성 활용이 향상되었고, 공감 능력은 인지적 공감이 향상되었습니다.

 

성격심리학이라는 수업을 수강한 학생의 경우 다양한 이론을 통하여 자신의 성격 이면에 감추어진 내면의 모습과 감정을 이해하고, 자신의 성격과 타인의 성격을 이해하기 위한 과제 등을 통해 일차원적인 감정을 먼저 파악하고 그것을 글로 서술하는 과정에서 인지적 여과 과정을 거치게 되면서 자신의 감성을 이해할 수 있었던 것으로 봤습니다. 학생들이 성격심리학을 수강하기 전에는 성격을 유전과 환경의 상호작용이라고만 생각했으나, 성격의 심리적 기제 안에 자리 잡은 감정의 부분들을 무시하거나 신경 쓰지 않았던 것을 인지하게 된 것만으로도 자신의 감성을 이해하는 것에 변화해주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공감 능력에서는 치유심리학과 영화와 관련된 교양에서 향상되었습니다. 이 교양은 영화를 보고 관점의 차이 이해하기, 나의 감정 이해하기, 나의 현실적 문제 직시하기, 내면 아이 찾기 등과 같은 질문에 대답하는 교양이었습니다. 대학생의 공감 능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이론 수업보다는 실습이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영화를 감상할 때, 감상자는 자신과 등장인물 사이에서 동일시 과정을 경험하는데, 유사점을 많이 발견할수록 정서가 증가하고 방어 수준이 감소하게 됩니다. 이러한 동일시 과정과 더불어 등장인물의 행동과 동기를 제삼자의 관점에서 관찰하고 분석함으로써 대상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게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공감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사람에게 추천합니다.


대부분 학생은 자기 내면에 심리적 기제를 통해 감추어진 내면의 모습들 혹은 감정들을 바라보는 기회가 없었음을 제출된 과제의 내용을 통해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일이 줄어들도록 학생들 개개인이 내면과 감정을 바라보는 일들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현대 사회에 사는 우리에게는 이러한 기회를 가질 생각조차 하기 힘들다는 게 현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회를 더 만들기 위해서는 국가 또는 학교가 개입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학교에서 꼭 심리학과 관련된 교양이 아니라 자기 내면과 감정을 바라보는 기회를 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만약에 개인적으로 조금이라 심리학 또는 자신의 마음, 또는 타인과 잘 지내는 방법에 관심이 있다면 심리학 교양을 들어보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앞으로의 세상을 꾸려나갈 학생들이 조금 더 서로의 마음의 알아주고 배려해주는 세상이 되지 않을까요?

 




지난 기사

나의 일상에 스며든 나를 사랑하는 습관들

세상을 다채로운 색으로 꾸며나가길 바라며,

사랑에도 유형이 있다.

트라우마에 대한 새로운 시각

뚜렷하진 않지만 남아있는 것






참고문헌

J. H. Gwak, K. E. Yang, "Education Differentiated based on Emotion and Personality", OUGHTOPIA, Vol.33, No.3, pp.209-242, Nov. 2018.

P. Salovey, J. D. Mayer, "Emotional intelligence",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Vol.9, No.3, pp.185-211, March 1990.

B. M. Kim, S. G. Cho, J. H. Lee, "A study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based on empathy ability: Using eye-tracker",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Vol.27, No.1, pp.49-65, Feb. 2013.

] Y. S. Kang, “The Influence of the Verse Activity Program on the First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7.

Y. L. Moon, “Professor Mun-Yong Lin's lecture on emotional intelligence”, Booksnut, Seoul, pp.203-221, 2011.

S. Yang,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young children's bibliotherapy program based on the response-based approach", Unpublished Doctor’s Thesi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2013.

R. Krznaric, “Empathy: A handbook for revolution”, Random House, pp.73-82, 2014.

A. R. Lim, “Study of Differences in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College Students’ Counseling Course-taking Experi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20, No.9, pp.103-110, 2019.

E. S. Choi, H. J. Bang, “The Emotional Identific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improvement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Vol.26, No.1, pp.17-39, March 2013.

G. H. Song,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ral Self, Self-Control, Empathy, and Moral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Unpublished Doctor’s Thesis, Dong-A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2012.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220
  • 기사등록 2022-12-11 22:35:5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