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원
[The Psychology Times=김예원 ]
책을 읽던 중에, 또는 드라마나 영화를 시청하던 중에 두 인물이 대립한다면 당신은 어느 쪽을 응원하고 싶어지는가? 언더독 효과에 따르면 사람들은 둘 중 약해 보이는 쪽이 이기기를 원한다고 한다. 이번 기사에서는 이 언더독 효과가 무엇인지 소개하려 한다.
언더독 효과란
언더독 효과(Underdog effect)는 사람들이 약자라고 믿는 주체를 응원하게 되거나, 또는 약자로 연출된 주체에게 부여하는 심리적 애착을 뜻한다. 이에 따르면 두 마리의 개가 겨루는 투견 시합에서 약자인 언더독(Underdog)과 강자인 탑독(Topdog) 중 사람들은 언더독을 응원한다. 언더독 효과는 사람들이 본능적으로 약자에게 동병상련과 연민의 감정을 느끼기 때문에 발생한다. 사회적 약자나 곤경에 처한 타인에 대해 감정적 공감대를 형성하고 도움을 주고 싶어하는 성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약자가 예상을 뒤엎고 강자를 이겼을 때의 짜릿함을 경험하고 싶어 하는 욕구로 인한 심리적 효과이기도 하다.
삶 속에서 나타나는 언더독 효과
언더독 효과는 스포츠, 문학, 예술, 정치 등 분야를 막론하고 그 사례를 우리 삶 속에서 자주 접할 수 있고 또 확인할 수 있다. 대표적인 사례 몇 가지를 분야별로 소개하겠다.
첫 번째로, 문학 분야의 언더독 효과이다. 구약성경에 등장하는 다윗과 골리앗 이야기에서, 소년 다윗은 거대한 골리앗과 싸우게 되었다. 현실적으로 다윗이 이길 확률은 극히 낮았지만, 결국 다윗은 골리앗을 제압하였다. 또 신데렐라 이야기나, 흥부놀부전 역시 핍박받던 약자 신데렐라와 흥부가 결국 악인이자 상대적 강자였던 사람들에게서 벗어나는 이야기이다. 독자들은 다윗, 신데렐라, 흥부를 응원하는 경향을 보이기 때문에 이 이야기들은 언더독 효과를 드러내는 대표적 이야기, 문학 작품들이라고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경제 분야의 언더독 효과이다. 렌터카 회사, 라면 회사, 기업 등 다양한 회사들이 자신들이 2등이며, 그렇기 때문에 끊임없이 더 노력한다는 점을 광고에서 강조한 적이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실제로 이 광고들에 공감하고 심리적 지지를 보냈다. 소비자들이 2등이라는 점에 감정이입, 공감, 일체감 형성 등을 하였기 때문이었다.
세 번째로, 정치 분야의 언더독 효과이다. 1944년 미국 대통령 선거 때, 부통령 후보였던 해리 트루먼은 계속 상대 후보에 지고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당선된 사람은 해리 트루먼이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대중에게 트루먼이 약자 이미지로 각인되었기 때문에 일종의 동정표가 모인 것이라고 한다.
살다가 탑독을 만난다면
언더독 효과는 약자도 언젠가는 승리할 수 있다는 기대감과 희망, 상대를 뛰어넘는 도전의식을 주며, 만약 이겼을 경우 더 큰 승리의 희열을 선사한다. 실제로 수영선수 시몬 매뉴얼은 ‘수많은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더 노력하게 해 주기 때문에 언더독이라 불리는 것을 좋아한다’라고 인터뷰한 바 있다. 또 맨체스터 더비(맨체스터 지역을 연고로 하는 축구팀 맨체스터 시티와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축구 경기)를 앞둔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소속 축구선수도 ‘언더독으로 평가받는 것을 즐긴다’라고 하기도 했다. 언젠가 우리의 삶에서도 이루기 힘든 일, 뛰어넘기 힘든 경쟁자 등 ‘탑독’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럴 때면 지레 겁먹고 미리 포기하지 말고, 탑독을 이기는 언더독이 되어 보자는 메시지를 전하고 싶었다.
지난 기사
참고문헌
곽정현, 이선희. (2020). 스포츠와 언더독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29(2), pp.227~237.
성정연, 정유정, 전선규. (2013). 언더독(Underdog)에 대한 감성적 반응이 상표태도와 선호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소비자학회. 24(1). pp.363~387.
NAVER 시사상식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695902&cid=43667&categoryId=43667
NAVER 지식백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431802&cid=58393&categoryId=58393
NAVER 유럽축구 엠블럼 사전.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5550979&cid=60363&categoryId=60363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kyw132435@gmai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