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강도연]


@pixabay

벌써 2022년도 곧 막을 내리고 어느덧 2023년이 코앞으로 다가왔다. 이맘때쯤에는 '내년에는 얼마 이상 모아야지'라던가, 아니면 '1월 1일부터는 꾸준히 OO 해야지' 등의 새로운 목표를 세우는 사람들이 많다. 12월 말에 대형 서점을 가보면 평소보다 사람이 훨씬 많고, 또 신년 다이어리가 불티나게 팔리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작게는 매주의 시작인 월요일부터 매월 1일, 또는 첫해의 시작인 1월 1일 등 처음을 가리키는 날짜는 왠지 모를 특별한 힘이 있는 것 같다. 이때만 되면 이전까지와는 조금 다른 거창한 계획을 세우고 싶고, 일명 '갓생'을 살고자 하는 의지가 샘솟는다. 


당신의 새해 목표는 무엇인가? 목표가 꼭 있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무언가를 성취하고자 할 때 '목표'를 우선 설정하는 것은 해당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다. 로크(Locke)의 '목표 설정 이론(Goal Setting Theory)'에 따르면 인간이 합리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이성을 가진 존재라는 기본적인 가정에 기초했을 때, 개인이 의식적으로 얻으려고 설정한 목표는 개인의 동기 및 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다. 목표는 개인이 의식적으로 얻고자 하는 사물 혹은 상태를 의미하며, 장래의 어떤 시점에 달성하기 위해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의식적인 생각이 개인의 행동을 조절하기 때문에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동기부여와 행동 수행 모두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SMART'한 목표를 세우는 방법



무언가 결심하기 딱 좋은 시기, 더 의미 있고 보람찬 한 해를 보내기 위해 다들 신년 목표를 세워보는 건 어떨까? 이미 세우고 있다면 올바른 목표를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SMART 목표 수립' 방법을 소개한다. SMART 목표란 1981년 George T. Dora가 발행한 글에서 처음 제시되어 Robert S. Ruben 교수가 구체화시킨 개념으로, 총 다섯 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1. S(Specific) : 구체적인 계획

먼저 첫 번째, 계획은 구체적이어야 한다. '2023년에는 반드시 다이어트를 할 것이다'라는 목표를 세웠다고 가정하자.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다이어트를 어떻게, 얼마나, 어느 수준으로 할 것인지 명확하고 구체적인 문장으로 정의하는 게 좋다.


2. M(Measurable) : 측정할 수 있는 계획

두 번째, 목표는 측정이 가능해야 한다. '다이어트를 할 것이다'라는 목표를 '2023년 6월까지 -10kg을 감량할 것이다' 또는 '50kg까지 감량할 것이다' 등 정확한 수치가 포함된 문장으로 세우는 것이 좋다. 측정 가능한 목표와 기준을 설정하면 목표를 달성했는지, 아직 달성하지 못했다면 자신이 어디쯤 와있는지를 객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3. A(Achievable) : 달성할 수 있는 계획

세 번째, 목표는 달성이 가능해야 한다. 목표를 이루기 위한 최종적인 목적을 먼저 살핀 후, 자신의 능력 내에서 이룰 수 있는 달성 가능한 범위 내의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설득력이 없거나 지나치게 허무맹랑하거나, 또는 지극히 고상한 목표만을 추구해서는 안 된다. 예컨대 '한 달 안에 20kg를 감량하겠다'는 목표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까우므로 올바른 목표라고 볼 수 없다.


4. R(Realistic & Relevant ) : 현실적인 계획

네 번째, 목표는 현실적이어야 한다.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웠다 하더라도 목표를 달성하기까지의 시간과 노력이 충분히 확보되지 못한다면 실현은 불가능하다. 만약 다이어트를 위해 '매일 아침 출근하기 전에 새벽 수영 다녀오기'라는 목표를 세웠지만 수영을 다녀올 시간과 체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달성이 불가능할 것이다.


5. T(Time-bound) : 기한이 있는 계획

다섯 번째, 목표는 데드라인이 정해져 있어야 한다. 기한이 없다면 목표는 무기한으로 미뤄질 수밖에 없다. 이때 중요한 것은 완료 시점을 정할 때 추상적인 표현은 되도록 피해야 한다. 예를 들어 '올해 안에는 다이어트에 성공할거야' 보다는 이왕이면 '6월까지 다이어트를 성공해서 몸무게를 50kg으로 만들 거야'라는 문장이 좋다.




지난 기사

"의미없는 대화를 굳이?" vs "상대방에 대한 예의가 아냐"

영상 길이만큼 점점 짧아지는 현대인의 집중력

피해자의 '트라우마'로 함께 눈물 흘리는 시청자들

죽음조차 소외된 사람들

진정한 어른이란 스스로를 잘 알고있는 사람이야

같은 시간, 그리고 다른 시각

헤어진 연인을 쉽게 잊지 못하는 이유





참고문헌

NAVER [지식백과 심리학용어사전 목표 설정 이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226&cid=41991&categoryId=41991

Tableau [SMART 목표란 무엇이며 나만의 SMART 목표 세우는 방법]

https://www.tableau.com/ko-kr/learn/articles/smart-goals-criteria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365
  • 기사등록 2023-01-01 21:25: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