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하영]


“너 정말 내로남불이다”


드라마에서, 영화에서, 혹은 일상에서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는 말이다. 내가 하면 로맨스지만 남들이 하면 불륜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는 단어인, ‘내로남불’. 이 단어가 가지는 의미는 절대 작지 않다. 자기 행동을 정당화하고 타인의 행동을 비난할 수 있는 든든한 심리적 지원군이 되어주기 때문이다.


당신도 내로남불의 태도를 지녔는가? 


@pixabay이 질문에 답할 수 있는 한 가지 사례를 제시하겠다. 바쁜 출근길, 회사 앞 사거리 신호등이 고장으로 인해 파란불로 바뀌지 않고 있다고 가정하자. 뒤늦게 관계자들이 나와 교통을 정리했지만, 이미 출근 시간인 9시를 넘겨 지각하게 되었다. 이 상황에서 많은 이들은 상사에게 자신의 지각에 대한 억울함을 호소할 것이다. 하지만 반대로 옆 팀의 직원이 이와 같은 이유로 사유서를 제출했다면, 과연 단 1%의 부정적 감정 없이 너그러이 이해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단번에 ‘이해할 수 있다’라고 답변할 수 없다면, 당신도 내로남불의 태도를 지닌 드라마 주인공과 별반 다르지 않을지도 모른다.


내로남불 현상은 주로 연인 간,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에서 자주 발생한다. 예를 들어 기혼 부부가 자신의 혼외관계에 대해서는 너그럽고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해서는 비판적일 경우, 혼외문제로 인한 부부간의 갈등은 한층 더 심화하는 원인을 이 현상에서 찾을 수 있다. 내로남불은 특정 사람들과의 관계 외에도 일상생활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다. 카페에서 자신이 친구와 수다를 떨 때는 시끄럽다고 생각하지 못하다가, 옆자리에 앉은 사람들이 큰 소리로 수다를 떨기 시작하자 급격히 예민해지는 경험을 한 적이 있다면 이것 역시 내로남불의 태도를 보인 것이다.


내로남불 속 '귀인이론'


흔히 ‘내로남불’이라고 불리는 심리적 현상은 그저 인간의 이기적인 마음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렵다. 그렇기에 심리학자들은 다양한 탐구와 연구를 해왔고 ‘귀인이론’으로 설명이 가능했다. 귀인이론이란, 자신이나 다른 사람들의 행동 원인을 찾아내기 위해 추론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이다.


귀인이론은 크게 프리츠 하이더(Fritz Heider, 1896-1988)의 이론과 켈리(Harold Kelley, 1921-2003)의 이론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하이더의 귀인이론의 경우, 다른 사람의 행동에 대한 원인을 타인의 성격, 특성 등의 내부적 요소와 외부 압력, 사회적 규범 등의 상황적 요소로 구분했다. 이는 내부 귀인의 사고를 하는지 외부 귀인의 사고를 하는지에 따라 타인에 대한 인상 형성이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켈리의 공변 모형 이론의 경우, 우리가 한 가지 정보에 따라 판단하기보다는 상대방에 대해 축적된 정보를 바탕으로 귀인 하는 과정을 거친다고 주장했다.


두 주장의 공통점은, 우리는 심리적으로 타인의 행동을 분석하고, 평가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귀인의 과정에서 ‘기본적 귀인 오류(fundamental attribution error)’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자신의 사고와 태도를 언제나 신뢰한다면 단순 귀인이 아닌 ‘내로남불’이라는 부정적 태도로 변화할 수 있는 것이다.


'내가 해도 불륜, 남이 해도 불륜'의 태도를 가져야 할 때


@pixabay

내로남불은 ‘귀인이론’이라는 심리적 현상에서 자연스레 발생하는 감정과 태도이기에, 원치 않아도나도 모르게 마음이 움직이는 현상일지도 모른다. 적당한 내로남불의 태도는 타인을 분석하고 귀인하려는 인간의 사회적 심리이기에 무조건 비난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하지만, 내로남불의 태도를 근거로 타인을 지나치게 비판하고, ‘불륜’ 등 사회적으로 용인되기 힘든 자세는 지니지 않아야 할 것이다.


누구나, 언제든지 지닐 수 있는 태도인 내로남불. 타인의 이러한 태도에 깊게 상처받을 필요도 없으며, 그렇다고 해서 자기 행동을 정당화하는 무기로 사용해서도 안 될 것이다. 건강한 사회적 유대관계와 타인에 대한 이해의 도구로 올바르게 사용하는 것이 어떨까?





지난기사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때로는 휴식이 필요합니다.





참고문헌

이원준. (2020). 본인 및 배우자의 혼외관계에 대한 기혼부부의 인식 관련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20(6), 690 page

내 삶의 심리학 mind [mind-journal.co]. (2019). http://www.mind-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670  

심리학용어사전. (2014). 한국심리학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821
  • 기사등록 2023-03-14 21:19: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