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성민기 ]


Pixabay

당신은 꼭 사고 싶었던 물건을 시간과 돈을 들여 결국 구매하였을 때 물건이 생각했던 것과 달라 실망했음에도 들어간 비용과 시간이 아까워 버리지 못하고 끝까지 사용했던 경험이 있는가?


예를 들어, 필자는 영화관에서 영화를 볼 때 제목이나 포스터만 보고 끌려서 영화를 선택하였다가 내용이 생각과 달라 실망한 적이 있다.


하지만 영화를 보기 위해 영화관까지 왔던 시간과 영화 관람을 위해 지불한 비용이 아까워 내용이 지루했음에도 끝까지 영화를 보고 나왔던 경험이 있다.


이런 경험들이 있다면 당신은 '콩코드의 오류'에 빠져 있을 가능성이 크다.


우리에게 '부루마블'이라는 보드게임으로 약간은 친숙한 콩코드 여객기는 영국과 프랑스의 합작으로 만들어진 세계 최초의 초음속 여객기이며 프랑스어로 '화합'과 '협력'을 의미한다.


콩코드 여객기는 제작 당시 지구상에서 가장 빠른 속도와 세련된 디자인으로 엄청난 화제를 모았다.


콩코드기 개발국인 영국과 프랑스는 콩코드 여객기의 개발비용으로 4억 달러를 책정하였지만 개발 도중 개발을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6억 달러를 추가 투자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부딪히게 되었다.


그러나 콩코드는 기존에 운영되던 여객기보다 속도가 우월하게 빠른 대신 몸체가 좁아 수용인원이 타 기종에 비해 적고 연료 또한 훨씬 많이 소모되어 운영 비용이 매우 비싸다는 큰 단점으로 인해 추가 투자를 하더라도 적자가 예상되는 사업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발국인 영국과 프랑스는 지금까지 들어간 개발비용과 정부의 자존심을 고려하여 콩코드 여객기에 대한 추가 투자를 강행하였다.


결국 2000년 기체 결함에 의한 콩코드기 폭발로 탑승자 전원이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었고 2003년 운항이 중단되었다.


이렇듯 콩코드의 오류는 이미 투자한 자본이나 노력으로 인해 계속 투자를 이어 나가야 한다는 결정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경제학에서 '매몰비용의 오류'라고 불리는 현상으로 투자자들은 비록 미래에 불리한 결과가 예상되더라도 이미 투자한 비용이 많기 때문에 이미 투자한 부분에 대해 포기하기 어렵다는 심리적 압박을 느끼게 된다.


또한 콩코드의 오류는 심리학적으로는 사람들이 손실회피를 선호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즉, 사람들은 불확실한 상황에서 손실을 피하는 것을 선호하며 이미 투자한 자본이나 노력을 포기하는 것은 손실로 인식한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오류 현상은 왜 발생하게 될까?


콩코드의 오류는 우리가 어떤 일에 시간이나 돈, 노력 등을 투자할 때 자주 발생하게 된다.


우리가 어떤 곳에 투자를 하였을 때 손해를 볼 수 있는 상황에서 이미 투자한 비용이나 노력이 많은 경우 이를 포기하는 것이 감정적으로 어렵고 오히려 더 많은 투자를 하거나 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더 괜찮아 보인다는 것이다.


이러한 심리적 요인들은 현실 속의 많은 결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기업을 예시로 들자면 기업이 이미 투자한 자본이나 노력이 많음에도 미래에 이익이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면, 적극적으로 철수해야 하지만 콩코드의 오류로 인해 투자를 이어 나가게 될 경우 이 결정은 기업에 막대한 손실로 돌아올 수 있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개인적인 결정에서도 이러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예시로 예쁜 옷을 비싼 값에 구입했는데 착용감이 불편해 몇 번 입지 못하고 구입할 때 들었던 비용이 아까워 옷장에 계속 보관만 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사람들은 이러한 현상을 인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생각해야 한다.


이미 투자한 비용은 지나간 것이니 깊게 생각하지 말고 미래의 이익에 대해 중점적으로 고려하는 자세를 가지는 것이 좋은 결정과 더 나은 결과를 도출해 내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포기는 배추 셀 때 쓰는 말'이 있듯이 시도조차 해보지 않고 포기하는 것은 절대 금물이지만 때로는 빠르고 과감한 포기를 통해 전략을 변경하는 것이 성공의 지름길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결단일 수도 있다는 것을 깨달아야 한다.





지난기사

협력할 것인가? 배신할 것인가? 그것이 문제로다...

당신이 오늘도 당첨되지 않을 복권을 구매하는 이유






참고문헌

“[해시태그 경제 용어] 콩코드 효과”. [매거진 한경]. (2022)

url: https://magazine.hankyung.com/business/article/202203300937b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847
  • 기사등록 2023-03-23 20:38:1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