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노신영 ]


Pixabay자신이 맡은 모든 일을 완벽하게 해내는 사람을 알고 있는가? 이러한 사람들을 ‘완벽주의자’라고 칭한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완벽주의자들을 쉽게 마주칠 수 있다. 학교 시험에서 만점에 가까운 점수를 받기 위해 밤낮없이 공부하는 친구, 자신에게 주어진 많은 과제를 완벽하게 수행하려고 고군분투하는 동료를 본 적 있을 것이다. 때로는 강박적인 만큼 완벽한 성과에 집착하는 사람들도 있다. 이러한 사람들의 성향에 대해 알아보자.

 


당신도 완벽주의자인가요?


Pixabay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완벽주의 성향을 가지고 있다. 취업사이트 ‘잡코리아’의 설문조사 결과, 직장인 1176명 중 67.2%가 ‘직장에서 완벽주의를 추구한다’고 답했다.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사람의 특징은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완벽주의자는 실패하는 것을 무서워한다. 조금이라도 실패할 가능성이 보인다면 도전을 회피한다. 그들은 실패를 경험하면 자신의 부족함과 한계를 직면하고 좌절감에 빠진다. 이에 따라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실패에 대한 걱정이 더욱 커진다. 두 번째로 고통스러운 감정을 두려워하고 실패를 인정하지 않는다. 자신의 실패를 받아들이고 다시 일어나는 사람과 달리 완벽주의자는 행복한 삶에 집착하고 부정적인 감정을 거부한다. 셋째로 만족을 모른다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웬만한 성취를 성공으로 받아들이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그들은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늘 현실보다 더 나은 상태가 있다고 믿는다. 

 

캐나다의 심리학자 고든 플렛(Gordon Flet)과 폴 휴이트(Paul Hewitt)는 완벽주의를 세 가지 요소로 설명했다. 그들은 자기지향 완벽주의, 타인지향 완벽주의,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제시했다. 자기지향 완벽주의는 자신에게 매우 높은 잣대를 적용한다. 이와 달리 타인지향 완벽주의는 다른 사람에게 완벽함을 요구한다. 사회부과 완벽주의는 자신이 완벽해야 타인과 사회로부터 인정받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높으면 우울, 불안 등의 부정적인 심리 증상을 겪을 수 있다.

 


건강한 완벽주의VS신경증적 완벽주의


Pixabay완벽주의는 건강하고 긍정적인 완벽주의와 신경증적 완벽주의로 나뉜다. 건강한 완벽주의는 ‘최적주의’라고 불리기도 한다. 최적주의자는 실패를 자연스럽게 받아들여 고통스러운 감정을 외면하지 않는다. 실제로 자신이 달성 가능한 목표를 계획하기 때문에 성공을 성취하고 만족할 수 있다. 신경증적 완벽주의자는 앞서 언급했듯이 그들은 실패를 회피하고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다. 실패로부터 오는 부정적인 감정 또한 거부한다. 1980년 심리학자 데이비드 번스(David D. Burns)는 완벽주의자를 “불가능하거나 터무니없이 높은 기준을 추구하는 사람, 강박적으로 끊임없이 불가능한 목표를 지향하는 사람, 자신의 가치를 전적으로 생산성과 업적으로 측정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했다. 신경증적 완벽주의자가 이에 해당한다.



 "최적주의자가 되고 싶어요"


Pixabay

최적주의자가 되기 위해 우리는 많은 실패를 겪어봐야 한다.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우리는 실패하지 않으면 배울 수 없다. 최적주의자들은 실패와 그로부터 오는 감정들을 거부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 계속해서 실험과 모험에 도전하는 최적주의자들은 주변의 반응에 열린 마음을 가지고 있다. 다른 사람들의 조언이나 실패 그 자체가 주는 피드백에서 배우는 자세를 가져야 한다. 파레토의 법칙을 사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완벽하게 성공하지 못할 일은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일을 미루기 쉽다. 모든 일에 완벽을 추구하다 보면 중요하지 않은 일에도 과도한 시간을 투자하게 된다. 이때 우리는 파레토의 법칙으로 유명한 80대 20법칙을 사용해보자.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는 이탈리아 땅 80%를 단 20%의 인구가 소유하고 있단 것을 관찰했다. 이를 통해 그는 파레토의 법칙을 고안했다. 해당 법칙을 우리의 상황에 적용해보자. 모든 것을 완벽하게 하는 것보단 원하는 결과의 80%를 얻을 수 있는 20%에 집중하는 것이다. 시험 기간에 모든 교재의 내용을 꼼꼼하게 읽는 것보단 대충 훑어보고 ‘시간 비용 대비 효과가 가장 크다’라고 생각되는 20%를 집중적으로 공부하면 된다.

 

실패 없는 성공은 존재할 수 없다. 실패를 경험해 본 자만이 배움을 얻는단 것을 기억하자. 또한 그로부터 오는 부정적인 감정 또한 겸허히 받아들이고 극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태도가 건강한 완벽주의자를 만들 것이다. 실패를 두려워하고 성공에만 집착하는 완벽주의자에서 현실적이고 긍정적인 최적주의자로 나아가자. 

 




지난기사

과소비 멈춰! 합리적인 소비자가 되는 방법

우리가 가짜뉴스에 현혹되는 이유




참고문헌

이동귀, 손하림 외 1명. (2021). 네 명의 완벽주의자. 흐름출판.

탈 벤 샤하르. (2020). 완벽주의자를 위한 행복 수업. 슬로디미디어.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895
  • 기사등록 2023-03-24 10:22:2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