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손미리 ]


물가폭등으로 인한 경제적 위기, 장기적으로 지속된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단절, 크고 작은 전쟁과 재난 등으로 인해 이 사회는 병들어 가고 있다고 말해도 과언이 아니다. 


실제로 우울, 불안장애 등을 호소하고 정신건강 지원을 필요로 하는 소리가 커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단이 조사한 최근 5년(2017~2021년)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료현황 분석에 따르면, 우울증과 불안장애 환자 수가 모두 증가하고 있다고 한다. 우울증 환자는 2021년 93만 3,481명으로 2017년 대비 35.1% 올랐으며, 불안장애 환자도 2021년 86만 5,108명으로 2017년 대비 32.3% 증가했다.


정신질환 장애로 분류되는 정도의 심각한 수준은 아니더라도 우리는 매일 경미한 우울과 불안 증세를 안고 살아간다. 중요한 것은 이를 어떻게 처리하고 해소하냐는 것이다. 


정신분석이론에서는 이러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무의식적으로 작동하는 다양한 방어기제를 제시한다.




나를 보호하기 위한 움직임, 방어기제


정신분석의 창시자인 프로이트는 자아가 느끼는 불안을 현실 불안, 신경증적 불안, 도덕적 불안 이 세 가지로 구분했다.


현실 불안은 외부의 실재적 위협에 대한 것으로 현실의 위험요소를 제거함으로써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신경증적 불안과 도덕적 불안은 개인 내부에서 생기는 불안으로 원초아, 자아, 초자아 간의 갈등에 의해 발생한다. 성욕, 공격적인 충동으로 인해 이성적인 판단을 할 수 없을 것 같을 때 느끼는 두려움과 도덕적 규범을 위배했을 때 느끼는 수치심, 죄책감도 이 안에 속한다.


우리는 이러한 내면적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 일상에서 수없이 방어기제를 사용한다. 프로이트의 막내딸인 안나 프로이트는 1936년 『자아와 방어기제』를 통해 총 10가지의 방어기제를 제시했다. 이는 억압, 부인, 반동형성, 투사, 합리화, 퇴행, 동일시, 지성화, 승화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어기제가 모두 적절한 방식이라고는 볼 수 없다. 미국의 정신과 의사인 조지 베일런트는 자아의 성숙도와 방어 기제의 발달 사이에 관계를 주목하였으며, 자아의 성숙도에 따라 방어기제가 분류된다고 말한다. 그는 방어기제를 자기애적 방어 기제, 미성숙 방어 기제, 신경증적 방어 기제, 성숙한 방어 기제 총 4가지 유형으로 분류했다.


베일런트는 그의 저서 『행복의 조건』에서 행복의 조건으로 성숙한 방어기제를 가졌는지에 대해서 논한다. 그는 성숙한 방어기제로 이타주의, 유머, 억제, 승화를 설명하였는데, 특히 우리가 감상할 수 있는 예술작품은 승화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화가 윤형근, BTS도 사용한 방어기제, 승화

Burnt Umber - Ultramarine Blue - 윤형근 (출처•국립현대미술관)

“내 그림은 화려한 것과는 거리가 멀어요. 삶의 핵은 올바른 삶. 그 체험을 함축시킨 것이 내 그림이죠. 사람이 나이를 먹으면 그 체험에서 오는 어떤 감정의 변화를 일으키듯이 그림도 거기에 따라 저절로 변해가는 것 같아요. 그러니까 그림이라는 것은 삶의 체험에서 오는 하나의 흔적이라고 볼 수 있겠죠.”(2003)


 이와 같은 그 자신의 말처럼 화가 윤형근의 작품은 시간에 따라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의 활동 후기의 작품을 보면 초기와 달리 번짐은 절제되고 먹빛에 가까운 검은 기둥면이 강조된 작품을 볼 수 있다. 


이는 그의 삶의 영향으로 볼 수 있다. BHAK갤러리의 '윤형근: 흙갈피' 전시 소개글에 따르면 그는 한국 근현대의 격동기를 보낸 화가로 1950년 한국 전쟁 직후에는 학창 시절 시위 전력으로 ‘보도 연맹’에 끌려가 학살을 당할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또, 1956년에는 6개월간 서대문형무소에 복역했으며, 1973년엔 숙명여고 미술교사로 재직 중, 부정입학했던 학생의 비리를 따져 물었다가 반공법 위반으로 잡혀가기도 했다.

 

이렇듯 공포와 불안이 가득했던 그의 청년 시절은 작품 안에 녹아들어 있다. 또한 참혹했던 당시 현실에 대한 저항과 슬픔은 그의 작품 속 먹빛 그림 안에 아름답게 재창조되었다.


이와 같은 승화로서의 예술은 현대 예술가들에게도 포착된다. 대표적으로 세계적인 K-POP가수 BTS에게서 엿볼 수 있다. 


BTS Answer: Love Myself 앨범 재킷 사진(출처•벅스)

어쩌면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보다/더 어려운 게 나 자신을 사랑하는 거야

저 수많은 별을 맞기 위해 난 떨어졌던가/저 수천 개 찬란한 화살의 과녁은 나 하나


BTS의 정규 3집의 리패키지 앨범 Answer: Love Myself에 수록된 Answer: Love Myself 가사의 일부이다. 가사 작업에는 BTS의 멤버인 RM, j-hope, SUGA가 참여한 만큼 20대 청년들의 연약함과 고민을 담은 가사가 담겨있다. 


이처럼 예술은 예술가의 표출 창구이다. 동시에 그를 소비하는 대중들에게 생의 희비애락(喜悲哀樂)을 전하는 매개체가 되어 공감과 감동을 선사한다.




지극히 사소하고 친근한 승화


승화는 예술가들의 전유물이 아니다. 거창한 활동이 아니더라도 일상에서 충분히 실현 가능하다. 그림이나 음악으로 표현되는 것뿐만 아니라 스포츠 활동도 해당한다. 프로이트가 말한 공격적인 충동을 축구, 농구, 테니스, 요가 등과 같은 운동으로 인해 해소하는 것이다. 그 외, 우리가 일상에서 쉽게 할 수 있는 일기와 같은 가벼운 글쓰기도 도움이 된다. 


이러한 활동들은 우리의 일상과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특히 mz세대를 중심으로 확산된 자기관리, 자기개발 라이프스타일로 인해 승화는 현대사회를 사는 우리의 삶과 친근하다. '갓생(신을 의미하는 'God' 인생을 뜻하는 '' 합성어로 부지런하고 타의 모범이 되는 삶을 뜻하는 신조어)'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미 승화를 실천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






지난기사

작심삼일, 당신이 금주하지 못하는 이유는 ‘애착관계’에 있다.

우리가 그토록 복수극에 열광하는 이유

당신에게 무슨 일이 있었나요?

‘먹고 토하는’ 섭식장애, 사소한 왜곡으로부터 시작된다





참고문헌

건강보험심사평가단 (2022). 최근 5년(2017~2021년) 우울증과 불안장애 진료현황 분석. https://www.hira.or.kr/bbsDummy.do?pgmid=HIRAA020041000100&brdScnBltNo=4&brdBltNo=10627

권석만. (2012.08.30.).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 이론. 학지사

갓생 [오픈사전]. (2021. 09. 15.). URL: https://ko.dict.naver.com/ko/search?range=all&query=%EA%B0%93%EC%83%9D 

방어 기제 [심리학용어사전]. (2014. 04.).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070208&cid=41991&categoryId=41991

조지 베일런트. (2010.01.20.). 행복의 조건. 프런티어

BHAK갤러리 (2023). Umbermark 흙갈피 Exhibition Introduction. https://galeriebhak.com/?p=exhibition-detail&eh=53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089
  • 기사등록 2023-04-18 20:52:0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