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연수 ]


삶의 과도기에 서 있는 청소년







오늘날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담



학교상담의 창시자라 할 수 있는 Wiliamson & Foley(1949)는 학교 상담이란두 사람이 얼굴과 얼굴을 마주 대하는 관계로 정의하며 그 중의 한쪽은 전문적인 훈련 과정을 거친 사람으로 다른 한쪽의 사람으로부터 신뢰를 받고 있으므로 그가 적응 상의 문제를 직면했을 때 그것을 수용하고 반영하며 명료화하여 해결하는 것이라 하였다

 

Dugan(1960)은 학교상담이란 개인적 차이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의 발달을 격려하는 것이고 적절한 적응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라고 말하였다학교 상담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상담 활동을 말하며 상담자인 교사나 전문상담교사가 내담자인 학생들과의 상담을 통하여 학생의 개인적인 성장을 돕고 학교생활과 관련된 제반 문제의 예방과 해결을 위해 제공하는 전문적인 상담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청소년들은 학업 성취에 따른 긴장감과 앞으로의 진로 문제와 같은 걱정을 경험하게 되며 이에 대한 부적응으로 인해 심리적 갈등을 겪고 있다이러한 청소년들의 교육 현장인 학교 상담에서 문제점이 심각하게 제기되고 있는 상황이다하루의 대부분을 학교에서 보내는 청소년들을 위해 그동안 많은 교육 전문가들은 교육에 관한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해결하기 위해 여러 대책안과 함께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

 

최근에는 이런 문제점 개선과 교육의 발전을 위해 학교 상담의 중요성과 상담 교사와 학생간의 관계의 중요성전문성을 지닌 전문 상담 교사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보인다왜냐하면 학생들의 문제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학교 내에서의 학생들을 위한 학교 상담은 사전적 예방 차원이나 사후적 해결 차원에서 그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질 것이기 때문이다상담 교사는 청소년을 위해 사회적 인격 형성과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하도록 돕는 것은 물론 그들의 당면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건전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상담자로서의 자질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고등학교 3학년 나의 안식처가 되어준 '위 클래스' 학교 상담 


 

실제로 나는 고등학교 3학년 때 또래 상담 동아리 활동을 하며 상담 선생님과 많은 소통을 하며선생님의 추천으로 위 클래스에서 상담을 받은 적이 있다상담 선생님께서는 나를 있는 그대로 지지하며소중한 사람으로 믿어주셨다또한 내가 상담 받는 것 자체를 격려해 주셔서 큰 용기가 생겼다특히 나의 과거의 사건이나 상처를 이야기 하도록 허용해 주셔서 나의 감정에 온전히 머무를 수 있었다. 또한 입시 스트레스와 같이 분노 감정의 경우 이를 충분히 표현하며 '카타르시스'를 경험할 수 있었다. 이는 몇 년 후 상담심리학을 전공하고 있는 나로서 효과적인 상담 요인이었다는 것을 경험을 바탕으로 생생하게 지각할 수 있었다

 

심리검사를 통해 그 결과를 해석하고 적용하는 과정을 통해 나 자신을 이해할 수 있었고이는 상담에 있어서 효과요인으로 작용했다자존감과 자신감이 다소 낮았던 고등학교 3학년 시절나의 장점을 찾아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장점을 활용하여 대학교 면접 때 최초 합격이라는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 수 있었다지금 와서 생각해보니 그 당시 상담에서 '수용'받음으로써 긍정적 경험을 통해 상담과 상담자에 대해 신뢰를 형성할 수 있었고상담의 효과로 이어질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 또한 선생님의 영향으로 나 또한 '학생들에게 따뜻한 애정을 가지고 마주하며, 학생들이 자신의 감정과 걱정거리를 거리낌 없이 털어놓을 수 있는 친구 같은 "전문상담교사"의 꿈을 꾸게 되었다. 


학교는 학생들의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장소 중 하나이다학교는 배우는 공간이면서 동시에 사회를 경험하는 공간이기도 하다그러므로 학교 상담은 문제 있는 어느 특정한 학생만을 위해 상담 활동이 필요한 것이 아니라 모든 학생의 개인적 성장을 위한 문제 예방적 차원에서도 활발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지난기사

요즘 MZ 세대들은 자신의 아바타로 상담 받는다고요?

사회공포증,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불안과 공포

전문상담사와 함께 성장과 회복을 위해 노력하는 공간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촉진하는, 학교 상담







참고문헌 


-  김순늠. "중학교의 학교상담 인식에 대한 요구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경북외국어대학교, 2012. 대구 

-  심정연. "Wee 클래스 효과 분석."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서울

학교상담 [學校相談, school counseling] (교육학용어사전, 1995. 6. 29.,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147
  • 기사등록 2023-05-03 22:51:5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