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정채빈 ]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상상을 해봅시다. 당신은 이 프로젝트에 많은 시간과 노력을 투자합니다. 그러나 투자한 노력에 비해 성과가 좋지 않습니다. 이때 당신은 더 나은 성과를 기대하며 이 프로젝트를 계속 진행할까요? 아니면 그 즉시 이 프로젝트를 포기해버릴까요? 대부분의 사람들은 프로젝트를 더 진행시켜보는 방향을 선택할 것입니다. 

 

투자를 한다고 가정해봅시다. 투자한 회사가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할 때, 즉 당신이 돈을 잃고 있을 때는 어떤 선택을 할까요? 많은 사람들은 손실에도 불구하고 쉽게 투자 포기를 하지 못하며 회사가 곧 좋은 성과를 낼 것이라는 희망을 품고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성공할 가능성이 작거나 잘못된 결정이라는 단서가 있음에도 계획을 중단하지 않고 시간, 노력, 자원을 투자하는 현상을 몰입 상승효과 (escalation of commitment)라고 합니다. 

 

몰입 상승효과는 위의 예시처럼 희망이 보이지 않는 곳에 자원, 노력 등을 투자하는 것을 멈추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성적으로 생각하면 손실만 내는 곳에 투자를 멈추지 않는 것은 말이 되지 않습니다. 대체 왜, 무엇이 우리를 몰입 상승효과에 빠지게 하는 것일까요? 이 글에서는 여러 논문에 제시된 여러 이유 중 몇 가지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낙관주의


사람들은 자신이 진행 중인 일에 대해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중요한 정보 일부를 편향된 방향으로 받아들이는 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낙관적인 사고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부정적인 피드백보다 쉽게 수용하고 상황을 과대평가해 이해하는 경향을 불러오기 쉽습니다. 그리고 이는 곧 현실을 현실적으로 받아들이는 데 영향을 미쳐 근본적인 문제를 보지 못하게 하며 투자를 이어 나가는 데 영향을 끼칠 수도 있는 것입니다.

 


매몰 비용 효과


사람들은 투자를 시작한 곳에 계속 투자하는 경향이 있으며 투자한 자원이 클수록 이를 지속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는 매몰 비용, 즉 이미 투자해 회수할 수 없는 비용 때문입니다. 사람들은 매몰 비용 때문에 자신이 자원을 투자한 곳에 감정적으로 집착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는 몰입 상승효과로 이어지게 됩니다.

 


책임감 이론 (responsibility theory)


책임감 이론은 개인이 가진 책임감이 막중할수록 몰입 상승효과를 보이는 경향이 크다는 주장을 제시합니다. 사람들은 자신이 책임을 맡고 있는 일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을 때 과거의 선택을 더욱 정당화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자신의 과거 선택을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원을 투자해 성공할 확률을 높여야 하므로 몰입 상승효과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다시 말해 책임감을 가진 개인은 자신의 선택을 더욱 강력하게 지지하고 지속적으로 투자해 성공함을 보여주고자 하는 경향이 있고 이는 몰입 상승효과로 이어지게 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일관성에 대한 규범 (Norms for consistency)


몰입 상승효과는 개인의 의사결정뿐 아니라 사회가 제시하는 기준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Staw와Ross의 연구에 따르면 계획을 변경하지 않고 완료하는 리더가 더욱 긍정적인 효과를 받는다는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다시 말해 사회는 일관적으로 일을 수행하는 리더를 긍정적으로 평가하기 때문에 개인들은 일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도 사회적 평판을 위해 일관성을 고집하며 일을 완료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사람들은 여러 가지 다른 이유로 실패하는 길을 놓지 못하고 유지합니다. 그러나 멈춰야 할 때를 아는 것은 자신을 지키는 현명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희망이 없어 보이는 곳에 끊임없는 노력이나 돈과 같은 자원을 투자해 성공하는 경우도 분명히 있습니다. 하지만 가끔은 빨리 현실을 자각하고 다른 방안을 찾아 나서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인 경우도 있습니다. 그러니 아무리 노력해도 진전이 없는 일을 하고 있을 땐 몰입 상승효과 때문에 그만두지 못하는 건 아닌지 다시 한번 뒤돌아보시길 바랍니다.

 






지난기사

올해의 새해 다짐, 아직도 기억하시나요?

음악과 공부하기

우리의 본능, 사회비교

벼락치기의 신이 되는 이유

정말 별자리가 성격과 관련이 있을까?

조현병의 진실

피그말리온이 사랑한 조각상, 갈라테아







참고문헌

Putting Escalation of Commitment in Context: A Multilevel Review and Analysis (dustin et al., 2017)

집단의 의사결정에서의 몰입상승 현상 (노혜경, 2015)

Escalating commitment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process: A review and analysis of the literature (krill, Wendy L., 1998)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481
  • 기사등록 2023-06-07 14:00:4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