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해름 ]


언젠가부터 혼자 여행을 떠나는 것이 내 버킷 리스트가 되었다. 나는 유년시절 한 번, 초등학생 때 한 번, 고등학생 때 한 번 해외여행을 갔다 왔고 나머지는 가족들과 제철여행을 다니는 아이였다. 여행을 못 가본 것도 아니었고 여행이 취미도 아니었다. 나에게는 동네 앞을 놀러 나가는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스무 살 성인에 진입하고 스스로 돈을 벌어 살아보면서 여행이 소중해졌다. 여행을 가기 위해 생활비를 절약하고 저축을 했으며 일상에서 가끔씩 느껴지는 고됨을 버틸 수 있었다. 여행이 나에게 판타지가 된 것이다. 확실히 성인이 되고 난 이후에 와닿는 여행은 결이 달랐다. 더 많은 것들이 보이다 보니 더 많은 것들을 느낄 수 있었다. 여행을 떠나기 전, 여행 중, 여행 후의 내 모습을 통해 나를 더 잘 알게 되었다. 여행을 준비하면서 마음에 드는 장소들을 저장하고, 먹고 싶은 음식들을 적어 두고 어떤 시간에 무엇을 할지 생각해보면서 내가 추구하는 라이프스타일도 알게 되었다. 솔직히 전에는 내가 도심을 좋아하는지 휴양지를 좋아하는지 조차도 몰랐다.

 






그럼 친구와의 여행과 혼자 떠나는 여행의 차이가 무엇일까? 나는 왜 혼자 여행에 도전해보고 싶은 것인가? 

 



혼자 떠나는 여행은,

 

첫째로 나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보낼 수 있다. 


아무리 사랑하고 편한 상대라도, 누군가와 함께하는 여행은 온전히 나에게만 집중할 수는 없다. 상대방과 이해관계를 맞추고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 여행을 떠나기 전부터 마음이 상할 수도 있고, 여행 중에 다툼이 일어날 수도 있다. 평소에는 그저 밖에서 몇시간 보내던 사람과 눈을 감는 순간까지 함께 시간을 보낸다는 것에는 생각보다 수많은 배려와 신경이 들어간다. 누군가와 함께하는 여행에서는 ‘다른 사람과 맞춰가는 나’ 를 새롭게 발견하고 배워간다면 혼자 하는 여행에서는 ‘내가 좋아하는 것’ 과 ‘내가 싫어하는 것’을 탐구하고 확실하게 알 수 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나 자신과 진실되게 마주하는 법에 대해 알지 못한다. 생각 자체를 아예 하지 않아봤거나 아직 그 단계가 얕은 것이다. 오로지 나를 위해 장소를 정하고 나를 위해 음식을 선택하고, 나를 위한 발걸음들을 옮기다 보면 나의 취향과 마주하게 된다.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하고 싫어하는지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이것들을 인식하고 있을 때 세상을 대하는 나의 태도가 바뀌기 때문이다. 내가 나에 대해 확신을 가지고 있을수록 타인을 대하는 태도와 타인과의 관계로부터 비롯되는 수만가지 감정들을 대처하는 힘이 생기고, 일상 생활에서도 혼자 시간을 보내는 날들을 즐길 수 있게 된다.

 



둘째로 두려움을 극복할 수 있다.


아무리 모험 정신을 즐기는 사람이라고 하더라도 막상 혼자 떠날 날이 다가오면 조금은 걱정되는 것이 인간이다. 나 역시도 여행 자체의 두려움을 가지고 있지 않았고, 일상 생활에서도 혼자 놀고 혼자 밥 먹는 것을 좋아하고, 아무 생각 없이 패러글라이딩에 도전할 정도로 모험을 즐긴다. 하지만 길치 이기도 하고, 아는 사람이 없는 타지 같은 곳에서 혼자 밥을 먹고 혼자 숙소에 들어오는 것은 살짝 걱정이 되기도 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 걱정은 상상에서 그치지 않고 실천으로 옮겼을 때 극복할 수 있다. 확실히 처음부터 끝까지 내가 직접 해보고 나면 ‘별거 아니었네’ 라는 생각이 드는 것과 동시에 성취감, 즐거움, 다음 것에 대한 기대까지 만들 수 있다. 이러한 마음은 내가 성장했다는 증거이기도 하기에 혼자 여행은 건강을 선물하기도 한다.

 



나는 이번 년도 혼자 여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 친구와 여행을 떠나며 못했던 이야기도하고, 쉽게 얻을 수 없는 추억들도 쌓으며 많은 것을 배웠고, 리프래시하고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 그렇게 여행을 떠나다 보니, ‘아 이 때 다른 거 안하고 이것만 하면 좋았을 텐데’, ‘이 시간에는 온전히 그것만 하고싶다’ 라는 생각들을 하게 되었다. 카페에서 커피 한 잔과 함께 바다 앞에서 온전히 책 속 세상에만 집중하고 싶었던 여행이 있었지만, 혼자 하는 여행이 아니었기에 읽고 있던 책을 덮고 옆 사람에게 눈을 돌려야 했던 시간이 조금은 아쉬웠다. 이번 여행 때는 그런 것들을 해보려고 한다. 어떤 시간에는 한적하고 조용한 곳에서 나를 들여다보고 또 어떤 시간에는 시끌벅적한 거리를 혼자 돌아다니며 새롭게 다가오는 것들을 눈에 담고 오고 싶다.

 


혼자 여행에 떠나고 싶다는 것은, 조금 더 깊이 있고 확실하게 나와 마주하는 시간을 갖고 그 어떠한 것에도 방해받지 않는 시간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혼자서도 충분한 여행을 마친다면 현실세계로 돌아왔을 때 한 단계 성장해 있지 않을까?

 

이 글을 읽는 독자분들도 나만의 시간을 갖는 것에 망설이지 않았으면 좋겠다.






지난기사

나는 mbti가 여러 개인가?

"사람의 심리를 이용하면 관계에도 방법이 있다"

이 글을 보는 여러분도 중독되었습니다

입을 옷이 하나도 없어

사람 먹는 이야기를 아시나요?

돌아오는 흥행작, 하트시그널 시즌 4

5월의 도서 추천, 양귀자 작가의 『모순』

연애도 시장 가치입니다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628
  • 기사등록 2023-06-21 07:07:4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