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한서연 ]


사진 출처=pixabay.com

 

방학 동안 나를 따라다녔던 생각들이 있다. ‘뭐라도 해야 하는데’, ‘시간을 이렇게 보내면 안 되는데’ , ‘나만 뒤처지면 어쩌지’, ‘나중에 후회하면 안 되니까’ . 여유가 있는 생활은 불안하고 나를 작아지게 만드는 것 같았다. 나는 계속 사회에서의 내 쓸모를 찾고 증명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빼곡한 일정을 소화하고 나면 개운함과 성취감이 남는 게 아니라 더 큰 후회만 남았다. 나는 스스로 내게 진단명을 내렸다 나는 실패와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하다.



나를 작아지게 만드는 것들


 

한국인들에게는 공통적인 인사가 있다 ‘밥 먹었어?’ 끼니를 챙기며 안부를 묻는 말인데 최근에는 ‘요즘 바쁘지?’라는 말들을 더 자주 듣고는 한다. 우리 사회에는 ‘바쁘다’라는 것이 일상에 묻어나 안부로 물을 만큼의 인사인 것이다. 직장 상사가, 혹은 동료가, 선배가 일을 쥐여줄 때 우리는 버거운 경우에도 그 일을 받는 경우가 더 많다. 내가 하지 않아도 누구든지 나를 대체할 수 있다는 생각이 우리를 괴롭히는 것이다. 사회가 나의 쓸모를 요구하고 내 능력으로 대답해야 한다.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강박감이, 스트레스가 나를 갉아먹고 있었다. 물론 모든 스트레스가 나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스트레스가 업무 능력을 향상시킨다?



’스트레스‘라는 단어를 들으면 우리는 피곤하고, 힘든, 나를 압박하는 심리적 상태에 대해서 떠올리고는 한다. 그렇기 때문에 스트레스는 그저 부정적인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지만 스트레스에도 종류가 존재한다. 캐나다의 내분비학자 ’한스 셀리에‘는 자극과 반응이 사람에게 긍정적이고 부정적인 영향을 모두 끼칠 수 있다고 봤다. 많은 사람이 경험하는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으로 부정적인 자극과 경험들은 ‘디스트레스(Distress)‘에 해당한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효율을 높이는 긍정적 스트레스인 ‘유스트레스(Eustress)에 주목해야 한다. 우리의 뇌는 외부에서 자극받을 때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결정하는데 이 과정에서 활성화된 교감신경이 우리를 각성시킨다. 즉, 적절한 스트레스가 개개인이 처한 상황에 대응하도록 도움이 되는 셈이다. 1908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존 도슨과 로버트 여키스는 인간의 감각 및 지각의 각성 상태와 문제 수행 능력 사이에는 역 U자의 형태 관계가 성립한다는 이론인 여키스 - 도슨 법칙을 밝혀냈다.


사진 출처=게티이미지 코리아


일정한 수준까지 생리적, 정신적 각성이 증가할수록 인간의 과제 수행 능력은 향상하지만 중압감, 걱정, 과한 긴장감 등의 자극 수준이 과하게 높아지는 경우에 오히려 수행 능력이 다시 감소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다시 말해, 적절한 자극이 최고의 성과를 낸다는 것이다. 이렇게 최고의 성과를 내는 적당한 수준의 각성을 '최적 각성 수준'이라고 한다.



나의 저항력을 키우기 위하여



적절한 스트레스가 업무 능력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여전히 스트레스가 만연한 사회에서 스스로를 지키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사소한 것들을 놓치지 않기 위해 노력한 것이 중요한 것조차 놓치게 되는 결과물을 가지고 오기도 한다. 70 퍼센트만 노력해도 충분하다. 채우지 않았던 30 퍼센트는 다른 목표로 나아갈 원동력을 제공할 것이다. 내가 지금 얼마만큼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지 생각해 볼 시간이다.






지난 기사


내가 시험 때마다 다른 생각에 사로잡혔던 이유






출처

송동림.(2009).완벽주의에 대한 심리학적 고찰.광주카톨릭대학교 / 최혜윤, 정남운.2003.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한국심리학회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126
  • 기사등록 2023-09-12 13:54:17
  • 수정 2024-01-31 18:27:4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