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시은 ]


한 조사에 따르면 사람들은 매일 150개의 선택을 하고 이 중 30개의 선택에는 신중을 가한다고 합니다. 선택이란 앞으로의 진로를 결정하는 것처럼 꼭 거창한 것만이 아닙니다. 아침에 언제 기상할지, 어떤 옷을 입고 나갈지, 어떤 교통수단을 통해 이동할지, 누구를 만나고 무엇을 하며 시간을 보낼지는 매일 발생하는 개인의 선택에 의한 것입니다. 이렇게 우리는 선택해야 하는 수많은 상황에 놓이고 그 상황엔 각각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선택하는 기준은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 대부분 선택의 결과를 비교하고 검토하여 기대 효용이 가장 큰 대안을 선택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150개의 선택 중 오직 30개의 선택에 신중을 가한다고 언급한 것처럼 나머지 120개의 선택은 그저 자동으로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건 바로 사람은 모두 제한적인 정보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대부분의 의사결정은 어쩔 수 없이 무의식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우리는 이를 ‘휴리스틱’이라 부릅니다. 




휴리스틱에 대하여 - 생각의 지름길



휴리스틱이란, 개인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이나 편견에 의해 의사결정을 하는 것으로 문제를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단순하게 생각하는 직관적인 사고방식입니다. 마치 먼 길을 돌아가지 않는 지름길처럼 말입니다. 해당 상황에서 제공되는 모든 단서를 활용하여 의사결정을 하는 것은 고도의 인지 자원이 요구되는, 에너지 소모가 큰일입니다. 따라서 강한 동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한 쉽지 않죠.


대신 휴리스틱에 의한 의사결정은 쉽고 간단하기 때문에 신속한 결론을 내릴 수 있도록 돕습니다. 휴리스틱에는 다양한 유형이 있는데 그중 가용성 휴리스틱, 대표성 휴리스틱, 감정 휴리스틱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  


가용성 휴리스틱은 어떤 사건이나 현상에 대해 객관적인 정보보다는 주관적인 기억에 의해 판단하는 것입니다. 기억 과정에서 얼마나 쉽게 떠오르냐에 의해 판단하는 것이므로 자주 발생하여 익숙하거나 최신에 습득한 정보일수록 유리합니다.


대표성 휴리스틱은 의사결정이나 선택 상황에서 표본의 크기나 확률을 무시하고 사건이나 현상을 대표하는 전형적인 속성을 기준으로 판단하는 것입니다. 사례의 일부 특성으로 전체를 추론하고자 합니다. 

마지막으로 감정 휴리스틱은 의사결정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이성에 의해 판단하기보다는 감정적으로 판단하는 것을 말합니다. 




당신은 첫인상을 100% 신뢰하나요?



우리의 제한적인 정보 처리 능력은 인지적인 부담을 덜어줄 수 있지만 오류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일상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첫인상에 관한 것인데요. 첫인상을 형성하는 시간에 대해 누구는 0.1초도 안 걸린다고 하고, 누구는 3초 정도 걸린다고 합니다. 확실한 건 매우 짧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그 인상은 아주 강하게 남아 한 번 형성되면 쉽게 바뀌지 않습니다. 이는 처음 제시된 정보가 뒤에 제시된 정보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초두 효과’에 의한 것인데 역시 사람의 제한적인 정보 처리 능력에 의한 것입니다. 초두 효과에 의해 설정된 틀에 부합하는 정보는 빠르게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정보는 걸러집니다. 


하지만 첫인상이 늘 그 사람과 부합했나요? 인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 단서들에 의해 바뀔 수 있는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이 가능성을 간과한다면 결국 세상을 올바르게 바라보는 걸 방해할지도 모릅니다.


휴리스틱도 마찬가지입니다. 휴리스틱에 의한 의사결정은 상대적으로 들이는 노력이 적기에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신중하게 하는 선택에 비해 효과적인 결과를 도출한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휴리스틱은 어림법이라고 불리는데요. 어림의 사전적 의미는 ‘대강 짐작으로 헤아림.’입니다. 휴리스틱이 늘 정답을 찾아주는 것은 아니므로 과하게 의존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이걸 아는 것만으로도 이미 현명하게 세상을 바라보는 것에 가까워졌을 지도 몰라요. 







지난 기사


삶이란 그저 주어지는 것이 아닌,

웃으면, 복이 와요!






출처

김월호.  2022. 관광상품 선택과부하 상황의 관광소비자 휴리스틱에 관한 연구. 제34권 12호

김지민, 이정훈. 2023. 휴리스틱 의사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 연구 : 라이브커머스와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한규석. 사회심리학의 이해. 한지사

네이버 사전. ko.dict.naver.com/#/entry/koko/2b6a13e9312d4ed59809341aa7c93aee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184
  • 기사등록 2023-09-23 00:10:2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