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연
[The Psychology Times=이정연 ]
작년 3월 귀여운 레서판다가 주인공인 ‘메이의 새빨간 비밀’이 개봉했다. 이 영화는 주인공의 성장을 판타지적 요소를 활용하여 표현한 애니메이션이다. 어느 날 갑자기 레서판다로 변한 주인공 메이가 여러 일을 겪으며 자신을 알아가고 받아들임으로써, 부모님으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여 성장하는 이야기이다.
심리적 독립은 청년기의 중요한 발달 과업이다. 그러나, 요즘 부모로부터 심리적 독립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마마보이, 파파걸, 캥거루족이다.
마마보이와 파파걸이란 부모로부터 심리적으로 독립하지 못하고 의존하며 살아가는 사람을 칭하는 말이다. 캥거루족은 아직 경제적인 여유가 되지 않아 부모님과 여전히 동거하는 청년으로, 취업난이나 물가 상승 등 감당해야 할 문제에 대한 두려움과 이러한 문제를 부모님께 의존하고 싶은 마음 등 심리적인 요인들이 포함된 단어이다.
심리적 독립
심리적 독립은 자녀가 부모와의 의존적 유대관계 또는 결속 관계에서 벗어나 독립적이고 자율적으로 사고하며 행동하려 하는 변화의 과정과 욕구를 의미한다.
청년기는 내외부적으로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현실적이고 확고한 정체감 유지가 요구되는 시기이다. 이로 인한 스트레스를 극복하고 새로운 상황과 조건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정서적 안정감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심리적 독립을 통해 자연스럽게 터득할 수 있다.
Hoffman의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척도(psi)에 따르면, 독립은 4가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기능적 독립은 자신의 개인적인 일을 부모의 조언이나 도움 없이 스스로 결정하고 처리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정서적 독립은 부모로부터 지나친 친밀함, 인정, 정서적 지지를 받고자 하는 감정에서 벗어난 정도를 뜻하며, 학업 적응과 관련되어 있다. 갈등적 독립은 부모에 대한 죄책감, 부담감, 적대감, 분노 등의 부정적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운 정도를 의미하며, 대인 적응과 관련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태도적 독립은 부모의 신념, 가치관과 다른 자신만의 태도를 지니는 것을 의미한다.
심리적 독립과 대학생활
2012년 통계청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 학생의 97%가 대학 이상의 교육을 받고자 하였으며, 2014년 e나라지표의 조사에서는 전년도 고등학생의 71%가 대학에 진학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대학의 보편화로 우리나라 청소년은 입시 위주의 교육을 받으며 성장하여, 대학에 입학하여 자신의 가치관 및 정체성에 대해 고민하게 된다.
따라서 대학생 시기는 심리적, 신체적, 사회적인 면에서의 변화와 내외부적인 혼란 등에 의해 심한 스트레스를 겪거나 불안정한 심리적 상태에 놓이기 쉽다.
이 시기에 생활 만족도와 행복, 사회적응, 정신건강 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심리적 독립을 통해 스스로 선택하고 외부의 통제 없이 결정하는 자율성을 충족한 독립된 개체로서 존재해야 한다.
Baker & Shryk의 1984년 연구에 따르면, 심리적 독립이 높을수록 대학생의 정서적 문제가 낮았다고 한다. 또한, Fleming & Andersin의 1986년 연구에 따르면, 부모로부터 미독립한 대학생일수록, 더 낮은 자존감, 숙달감, 대학 적응을 보였다고 한다.
이외에도 심리적 독립이 진로 의사결정, 의식성숙, 결정수준, 정체감, 이성 관계에서 갈등 해결,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에게 의존하며 살아온 시간이 길면, 독립하여 혼자 무언가를 하는 것이 두려울 것이다. 그러나, 독립하지 않으면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을 잘하는지’, ‘얼마나 멋진 능력이 있는지’ 알 수 없다. 그렇기에 두려움을 이겨내어, 자신을 탐험하고 무언가에 오로지 혼자 부딪혀 보며 자신만의 삶을 주체적으로 자신감 있게 살아가게 되길 바란다.
지난 기사
[출처]
이은정.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자기개념 명확성 및 정서표현 갈등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충청남도
오하나. "부모와의 심리적 미독립이 대학생의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서울
정원근. "심리적 독립과 성인애착이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14. 경상북도
이데일리. '新 캥거루족'의 등장...취업해도 독립하지 않는 청춘들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1200486625738744&mediaCodeNo=257&OutLnkChk=Y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a200jhy@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