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현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
줄을 그을 때 완벽히 대칭을 맞추려 하거나, 주변에 먼지가 한 톨도 없도록 청소하는 모습, 계속해서 특정한 무언가를 제차 확인하는 모습을 볼 때 우리는 흔히 “너 강박 있어?”라는 말을 자주 하게 된다. 위 3가지 행동 모두 “강박 장애”와 관련되어 있지만, 정확히 어떤 행동을 근거로 “강박”을 가지고 있냐고 물어보면 대부분 “완벽해 보이려는 태도, 지나치게 꼼꼼한 성격” 때문이라고 추측하곤 한다. 이번 글에서는 “강박 장애”라는 정신병리의 정의와 강박장애의 대표적인 증상에 대해 말해보고자 한다.
강박 장애(obsessive compulsive disorder)
강박은 어떤 생각이나 감정에 사로잡혀 심리적으로 심하게 느끼는 압박을 의미한다. 일단 강박 장애가 발병하면 개인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불쾌한 생각, 충동 등의 강박사고가 자꾸 떠올라 심리적 압박을 느끼게 된다. 이때 이를 제거하기 위해 의식적 또는 무의식적으로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강박행동을 경험하며 부적응 문제가 야기된다. 즉, 개인은 강박행동 덕분에 강박사고로 고통받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며 강박 행동을 더욱 반복하고 그 결과 증상은 더욱 악화된다. 이를 토대로, 앞서 말한 3가지 사례 각각 줄이 삐져나올 경우, 먼지가 자신에게 묻을 경우, 확인하지 않아 생기는 문제 등에 대한 걱정과 불안의 강박사고로 인한 강박 행동이라는 가설을 도출할 수 있다.
강박사고, 강박행동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가?
강박사고에는 음란, 공격성, 오염, 순서화, 의심 등에 관한 사고, 충동 등이 포함되며 이는 매우 부적절한 것이라고 강하게 믿는다. 부적절한 생각들을 떠올리지 않기 위해 의식적으로 강한 노력을 기울이지만 그럴수록 통제가 안 되며 해당 사고가 반복되기 때문에 고통을 경험한다. 이러한 강박사고는 자아 이질적 사고와 자아 동조적 사고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자아 이질적 사고는 자신이 알고 있는 자아 속성에 위배되는 사고로, 자기 생각이 부적절함을 인지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때문에 혼란을 느끼고 자신에게 문제가 있다고 생각하며 괴로워한다. 자아 동조적 사고란, 자신에게 맞는 특성을 지녀 불편감을 느끼지 않는 사고를 말한다. 즉, 자신이 옳지 않은 생각을 하고, 그에 따라 자신을 나쁜 사람이라고 당연하게 생각하는 것이 자아 동조적 사고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강박 행동은 강박사고를 없애기 위해, 즉 불안으로 인한 강박사고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반복적으로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강박행동은 외현적 행동과 내현적 행동으로 구분되는데 여기서 외현적 행동이란 샤워하기, 청소하기, 반복적으로 확인하기, 정리하기 등 직접 몸을 움직여 억제하는 유형이다. 이와 반대로 내현적 행동은 숫자 세기, 기도하기, 속으로 특정 단어 반복하기 등 마음속에서 이루어지는 생각을 의미한다. 이때 이런 행동과 사고가 하루에 1시간 이상 소모되거나, 이로인해 일상생활에 손상을 초래, 고통을 유발할 경우 강박 장애로 진단할 수 있게 된다.
글을 마치며.
여기까지 강박 장애의 정의와 대표 증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다음 글에서는 강박사고와 강박행동 간 연관성을 설명하는 과정을 통해, 어떻게 강박 장애가 발병하고 유지, 악화하는지 또 강박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강박장애는 정말 사소한 사고에서 시작되는 만큼 우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장애 중 하나이다. 그만큼 “혹시 나에게도 해당하지 않을까”라는 걱정도 클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지만 단순히 몇 가지 증상에 내가 포함된다고 해서, 무조건 강박장애로 진단되는 것이 아니라, 이런 행동들로 인해 자신에게 극심한 고통이 초래될 때 진단할 수 있는 것임을 유념해 두고 자신의 심리상태에 대해 과도한 걱정으로 스트레스받지 않았으면 한다.
지난 기사
출처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사진출처 : 나를 더 괴롭히는 강박증 강박장애 증상은?[네이버 블로그]. (2023.08.22). URL : https://blog.naver.com/hamds2qwe/223190581932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mile-02@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