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김나연 ]


최근 뉴스에서 '우울증 갤러리' 사이트를 통한 청소년 자살이 자주 언급되었으며, 청소년 자살과 우울증이 심각한 사회적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추세이다. 청소년 우울증에 대한 이해와 해결책 부진으로 인해 청소년들이 온라인 그루밍, 성착취, 그리고 심지어 동반자살과 자살 부추김 등의 범죄의 대상이 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청소년 우울증에 대해 올바르게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청소년 우울증 현황]


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불리며 감정의 변화가 큰 청소년 시기에 우울감을 느껴본 경험이 있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로 여겨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필자 역시 청소년기에는 감정의 변화가 크기 때문에 조그만 일에도 기뻐하고 사소한 일에도 우울해했던 경험이 있다. 


그러나 최근 10대 청소년의 우울증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기에 주의깊게 살펴봐야 한다. 2016년 2만 6000여명 정도였던 우울증 치료 인원은 2021년 5만 8000여명으로 증가하였다.[1] 우울증을 치료하고자 하는 인원이 증가한 것이라고도 볼 수 있겠지만, 객관적인 수치가 크게 증가한만큼 우울감을 누구나 한 번씩은 겪는, 당연하고 가벼운 감정으로만 생각하고 넘겨서는 안된다는 것을 시사하기도 한다.

 



[청소년들의 '우울증 갤러리' 커뮤니티 사용]


우울증이 생기게 되면 짜증이 많아지기도 하고 평소와는 다른 행동들을 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부모님과의 충동도 잦아지게 되며, 청소년들은 자신의 우울감을 터놓을 공간을 상실하게 된다.이러한 상황에서 많은 청소년들이 자신의 감정을 터놓고 위로받기 위한 공간으로 SNS를 선택하게 되고, 이곳에서 많은 사람들로부터 위로를 받기도 하는 SNS의 순기능을 경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커뮤니티에는 심각한 역기능이 존재하기도 하는데, 바로 범죄의 장으로 역할하기도 한다는 것이다. 언어적 폭력, 성적인 희롱이 남발하는 커뮤니티이지만 가족과의 갈등을 겪고 심신이 안정하지 못한 상태에 있는 청소년의 경우 초반에 조금만 친절하게 대해주더라도 흔들릴 확률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이렇게 취약한 상태의 청소년들은 쉽게 범죄의 타겟이 되기도 한다. 청소년의 경우 우울의 정도가 높아질수록,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낮아질수록 자살을 생각하는 정도가 높아진다.[2] 즉, 최악의 경우 자살까지 생각하고 있을만큼 심신이 불안정한 청소년의 경우 범죄의 대상이 되어 범죄 행위를 당하거나 자살을 부추기는 말을 듣게 되는 경우 실제 행위로 옮길 확률이 더욱 높아질 위험성이 있다는 것이다.

 



[청소년 우울증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그렇다면 이렇게 심각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우울증 갤러리' 커뮤니티와 같은 형태의 SNS의 위험성에 대한 인지와 대처도 중요하다. 그러나 근본적으로 자살의 경우 자살생각-계획-시도-행동의 과정을 거쳐 진행이 되기 때문에 가장 선행단계의 생각을 지니고 있는지의 유무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3] 홍명숙의 논문 연구결과에 따르면 우울은 자살생각의 강화요인이었으며, 사회적 지지는 자살생각의 완화요인으로 나타났기에 가장 선행단계인 자살생각을 줄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요구된다.


우울증은 우울감이 느껴지고 무기력감을 느끼게 되기 때문에 행동에 변화가 생기는 등 일종의 신호가 나타나게 된다. 부모는 물론 주변 어른의 시선에서는 갑작스럽게 아이가 변하는 것이 보기 힘들고 화가 날수도 있겠지만, 화를 내기 전에 아이가 왜 갑자기 다른 행동을 하는 것인지에 대해 생각해보고 아이의 마음을 이해해주기 위한 시도를 해야한다. 또한 예전보다는 인식이 나아지고 있긴 하지만 여전히 정신과 치료와 상담치료에 대한 장벽이 높은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이러한 전문 인력과의 상담 프로그램에 대해 선입견을 갖지 않고 자신이 갖고 있는 감정에 대해 터놓고 전문가로부터 도움을 받는 것 역시 효과적인 해결 방법이 될 것이다.


사회적 제도의 적극적인 시행과 주변인의 적극적인 관찰과 개입이 있다면 많은 청소년들은 주변 어른들로부터 도움을 받아 홀로 외롭게 어두운 공간에서 빛을 바라보지도 못한 채 스스로를 포기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많은 청소년들이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는 행복한 사회가 오길 바란다.






지난 기사


내가 삶을 사는 이유는...? '로고테라피'를 통해 무력감 극복해 나가기

트라우마 이겨내기: 의도적 반추를 활용한 외상후 성장

이젠 집에서 ‘앱’으로 치료…디지털 기기 활용한 심리케어

속마음을 듣는 또 다른 방법, '놀이' 를 활용한 심리치료






[참고문헌]

[1] [뉴스라이더]우울증 갤러리 부작용...폐지만이 답일까?. (2023.05.02). YTN. https://www.ytn.co.kr/_In/0102_202305020859087592

[2] 유용식. (2014).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10호.

[3] 홍명숙. (2017).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개발학회.


[1] [뉴스라이더]우울증 갤러리 부작용...폐지만이 답일까?. (2023.05.02). YTN. https://www.ytn.co.kr/_In/0102_202305020859087592

[2] 유용식. (2014). 우울 및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권, 10호.

[3] 홍명숙. (2017). 자살생각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개발학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342
  • 기사등록 2023-10-23 10:57:4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