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지현 ]


우리는 흔히 전날까지 활동적이다가, 다음날 우울해지는 친구에게 또는 감정 기복이 심한 친구에게 “너 조울증이야?”라고 하지만 인간이라면 누구나 감정의 기복을 경험하며 그 정도는 사람마다 다양하다. 감정 기복이 느리고 그 폭이 작은 사람이 있는 반면 그 반대되는 특징을 가진 사람도 존재한다. 조울증의 또 다른 진단명은 “양극성 장애”로, 양극성 장애는 고양된 기분과 우울한 기분이 번갈아 나타나, 정확히 진단 내리기 어려운 정신병리 중 하나이다. 이번 글에서는 양극성 장애의 진단 기준과 증상에 대해 중점적으로 이야기해 보고자 한다. 



 


1형 양극성 장애란?


양극성 장애는 우울한 기분 상태와 고양된 기분 상태가 교차하여 발생하는 장애로, 조증과 울증이 반복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조울증이라 불리기도 한다.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제1형 양극성 장애, 제2형 양극성 장애로 구분된다. 먼저 제1형 양극성 장애는 가장 심한 상태로 비정상적으로 의기양양하거나 자신만만하며 과도한 목표지향적 행동을 나타내는 조증 삽화가 가장 특징적인 장애이다. 다음 7개 중 3가지 이상의 항목에서 중증의 증상이 나타나야 하며 한 번 이상의 주요 우울 삽화가 2주일 이상 나타나야 1형 양극성 장애로 진단할 수 있다. 

 



조증 삽화의 진단 기준


⓵자존심의 팽창 또는 심하게 과장된 자신감

⓶수면 욕구의 감소(3시간의 숙면만으로 충분하다고 느낀다)

⓷평소보다 말이 많아지거나 말이 끊기지 않는다

⓸사고의 비약 또는 사고가 연달아 일어나는 주관적인 경험을 한다

⓹주의 산만

⓺목표지향적 활동, 흥분된 운동성 활동이 증가한다.

⓻고통스러운 결과를 초래할 쾌락적인 활동에 지나치게 몰두한다. (무분별한 소비, 투자, 성행위 등)

 



2형 양극성 장애


다음으로 2형 양극성 장애로 1형과 매우 유사하나, 경조증 삽화를 경험해야 하며, 조증 삽화는 단 한 번도 경험한 적이 없어야 한다. 여기서 경조증 삽화란 조증 삽화의 7가지 기준 중 3개를 미약한 상태로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경조증 삽화와 주요 우울 삽화가 일정한 주기로 반복되어서 나타날 때 양극성 장애로 진단 내릴 수 있다.

 



양극성 장애의 발병 원인과 약물 치료


양극성 장애는 서로 반대되는 특성을 가진 조증과 울증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독특한 장애이다. 양극성 장애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장 설득력 있는 입장은 인지적 입장이다. 우울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자기 삶이 비관적, 부정적으로 변할 것이라는 부정적 왜곡을 하는 것처럼, 양극성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부정적 왜곡과 대성공, 많은 부를 축적하는 등 현실에 대한 과도한 긍정적 왜곡 2가지 모두 하기 때문에 상반되는 정신병리가 발병한다고 보았다. 유전의 영향 또한 무시하지 못하는데, 부모가 양극성 장애를 갖고 있을 때 자녀에게 발병할 확률이 약 12%, 일란성 쌍둥이는 40%의 일치도를 보였기 때문이다. 


울증으로 인해 저하된 기분을 올리고자 하면 조증이 악화하는 등 양극성 장애는 서로 대비되는 삽화로 인해 약물 처방이 까다로운 정신병리 중 하나이다. 그 때문에 조증과 울중 중 한 증상의 완화를 목표로 하며 대부분은 리튬 처방을 통해 뇌세포인 뉴런의 회복 기제를 도와 조증 삽화의 강도를 억제한다. 

 



끝맺으며


양극성 장애는 평생 유병률이 0.4~1.6% 정도로 낮은 편이지만, 재발률은 90% 이상으로 매우 높은 편인 동시에 증상이 전환되는 시기에는 자살 위험성이 25%에 달할 정도로 매우 위험한 장애 중 하나이다. 조증 상태일 경우에는 고양된 기분으로 인해 자신의 상태를 명확히 인지하지 못하며, 주변 사람들 또한 해당 변화가 병리적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럼에도 양극성 장애는 조기 발견했을 때 인지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만으로 재발 방지 효과가 현저히 높아진다. 그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증상이 완화되어 괜찮을 것이라는 만연한 생각은 하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지난 기사


'누군가가 나를 해치려고 해' 조현병에 대하여 1부

‘누군가가 나를 해치려고 해’ 조현병에 대하여 2부

강박이 의심된다면 -1부

강박이 의심된다면 -2부







참고문헌

권석만(2014). 이상심리학의 기초. 학지사

사진출처 : 조울증 [pixabay 이미지]. (2023.10.15). URL :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278&mcode=m223hf74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371
  • 기사등록 2023-10-31 15:35:2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