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서두연 ]


필자는 최근에 넷플릭스 핫한 예능, 데블스 플랜을 재밌게 시청했다. 데블스 플랜은 두뇌 게임을 통해 경쟁하는 예능이다. 필자는 데블스 플랜에서 군중심리를 엿볼 수 있었는데, 데블스 플랜에서 볼 수 있었던 군중심리에 주목하여 이야기하고자 한다.


넷플릭스_데블스 플랜 포스터

데블스 플랜의 궤도는 과학 유튜버로 뛰어난 두뇌를 가지고 있는 인물로 보인다. 궤도는 약자를 보호할 목적을 가지고 있어 같이 경쟁해야 하는 사람들 중 약자로 생각되는 사람들을 보호하는데 앞장선다. 궤도 말고도 가수, 배우, 의사, 일반 대학생, 바둑 기사 등 다양한 사람들이 출연하여 게임을 한다.


데블스 플랜의 게임은 애초에 연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소수 연합에 속한 사람들과 궤도와 약자로 칭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한 다수 연합으로 나뉘어 연합이 생성되었고, 이 연합은 쉽게 깨지지 않고 끝까지 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소수 연합의 사람들은 다수 연합에 위협을 느끼고 자신들도 다수 연합에 참여하고 싶어 하지만, 다수 연합의 사람들은 쉽게 연합에 끼워주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첫 게임 후 소수 연합은 피스가 많아 강자의 프레임에 씌워져 사람들에게 견제를 당한다. 하지만, 다수 연합이 사람 수가 많다보니 이후 소수 연합에게 불리한 게임이 많았고, 다수 연합이 소수 연합에 승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필자가 봤을 때 소수 연합이 인원이 작아 게임에 불리하여 오히려 강자가 아닌 약자처럼 보였다. 


다수 연합_ 전략세우기

사람들은 살아남기 위해 다수 연합에 합류하여 궤도의 도움을 받는다. 필자는 아무것도 안 하는 사람들이 생존을 위해 궤도에게 붙어서 전전긍긍하는 것처럼 보였다. 필자는 심리전을 오가는 게임과 다양한 게임이 재밌어서 이 프로그램을 흥미롭게 시청했다. 또한, 이 프로그램에서 군중심리를 엿볼 수 있다는 점도 흥미로웠다.


필자가 다수 연합의 사람들을 봤을 때 다수가 모여서 더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되는 것처럼 보인다. 필자는 하석진의 멘트 중 기사의 제목에서 볼 수 있듯이 “이게 그냥 데블스 플랜 아니고 빌붙어 플랜이지” 하는 대사가 인상적이었다. 결국 사람들은 무리에 소속되고 싶어하며 다수에 소속되어 그들의 힘을 발휘하고자 하는 것이다.


하석진의 명대사_빌붙어 플랜사람들은 본인에게 유리하게 여론을 굴릴 목적으로 군중심리를 이용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정치, 연예,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댓글로 자신에게 유리한 여론으로 만드는 경우를 쉽게 접할 수 있다.




군중이란?


군중이란 국적, 직업, 남녀에 구애받지 않고 형성된 개인의 집단이자 일정한 장소를 점유하고 있는 조직화되어 있지 않은 인간의 집합체이다.




군중심리란?


사회심리 현상의 하나로 많은 사람들이 모인 군중이 자기 이상의 행동을 하는 심리상태를 말한다. 군중은 성원의 공통된 관심 대상을 가지고 있는 하나의 집단을 군중으로 간주한다. 공통된 관심 대상을 가진 집단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 및 이익을 찾아 활동, 행동하지만 군중심리의 영향을 받아 개개인의 욕구 표현과는 다른 형태의 인간 심리 표출이 나오게 된다.


군중 속에서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에 대한 책임이 다수에게 분산된다고 믿기 때문에, 자신의 비이성적 행위에 대해서 개인적 책임감을 덜 느낀다. 군중 속에 소속하게 되면 폭력 성향이 커지고 절제력을 잃고 남을 따라 행동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군중심리의 특성에는 무책임하고 폭력성이 있다. 군중을 형성하는 개인은 오로지 수적인 요인만이 적용되어 수적인 힘을 느끼게 되고, 수적인 힘 속에서 익명성이 보장되면서 자신을 억제하지 않아도 된다는 무책임성이 발휘되어 혼자였을 때 배제되어 있던 그들의 본능을 무한정 발산한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사회성은 인류가 삶을 영위함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자 원초적인 욕구이다. 이러한 인간의 사회성은 군중이라는 인간의 군집 형태를 이루었고 그 안에서 군중심리 표출을 통해 인류의 문명과 삶이 변화하고 발전하였다. 인간은 생존을 위해 군중을 이룬다. 군중을 이루는 목적은 다양하며 목적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인간은 가치 추구와 욕구 충족을 위해 군중을 형성한다. 


군중심리는 단체생활을 하는 인간이 그룹에서 모나지 않기 위해 생긴 습성이라고 설명한다. 또한, 집단에 동화되어 비상식적인 행동도 정당하게 생각하고 정당하다고 믿는다. 인터넷, SNS에서는 군중심리가 잘 보인다. 특정 인물을 비난하거나 특정 이슈에 대해 공통된 입장을 내놓는 것이다. 이들은 집단에 반대되는 의견을 적대시하는 특징을 가진다.


필자가 앞에서 언급한 데블스 플랜은 군중심리를 잘 보여준다. 사람들을 한곳에 모아놓고 게임을 하니 군중심리가 더 두드러지게 드러난다. 사람들은 게임에서 승리하기 위해, 결국 마지막 우승자가 되기 위해 게임 플레이어들은 군중을 형성하고, 자신들과 다른 상대편을 붕괴시키고자 한다. 데블스 플랜은 소수연합의 붕괴라는 공동의 목적을 가지고 그 목적을 이루고자 군중을 형성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다수연합 사람들은 자신들에게 유리한 게임을 이뤄가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더욱 뭉친다. 이는 군중이 소수연합의 사람들을 탈락시키는 군중의 힘을 보여주는 결과이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일상생활에서 군중심리는 많이 보인다. 군중심리는 온라인뿐 아니라 정치, 사회이슈, 학교, 직장 등에서 발생한다. 군중은 비이성적이라는 사실을 인지하고, 군중이 올바르지 않다면 우리는 군중을 따라갈 필요가 없다. 우리는 군중심리를 휩쓸려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 것을 무서워하지 말아야 한다. 정의롭지 않은 군중은 피해를 입히기도 하기에 군중을 경계할 필요가 있다. 군중의 의견을 의심하고 군중심리를 너무 따라가지 말아야 할 것이다.






지난 기사


외모보다 내면이 중요하다는 말, 진짠가요?

교사, 당신의 심리는 안녕하신가요?

잠'들지 못하는 하루, 수면심리학으로 들여다 보기

혼자가 편해요






출처.

이슬범.(2014). 생물 군집현상을 해석한 작품연구: 군중심리를 중심으로(석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군중심리의 위험성 (brunch.co.kr)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7395
  • 기사등록 2023-10-30 10:57:3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