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수민
[The Psychology Times=채수민 ]
새해가 밝았다. 이 시기에는 새출발을 위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한 해를 계획하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그러나 작심삼일이라는 말이 있듯이 계획을 끝까지 실천하는 것은 쉽지 않다. 마음먹은 것을 3일 동안 지키기도 어려운데 몇 달, 몇 년짜리 계획을 지키기는 더 어려울 것이다. 어떻게 해야 장기적으로 계획한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
실현이 가능한 목표 생각하기
꼭 이룰 수 있는 것을 목표로 삼아야 한다. 처음에는 목표를 쉽게 이룰 수 있을 것 같아 보였지만, 나중에 그것은 터무니없는 목표였다고 여기는 일이 없도록 주의해야 한다. 특히 지금까지 수많은 계획을 세우고 실패하는 일을 반복해 왔다면 스스로를 과대평가하지 말자. 사소한 목표라도 달성하는 것이 처음부터 원대하고 멋있어 보이는 목표를 세웠다가 실패하는 것보다 훨씬 낫다. 그리고 그 사소한 목표라도 이루고 나서 그 성취감을 원동력으로 삼아 좀 더 큰 목표를 바라보게 될 수도 있다.
종료점 확실히 세우기
계획의 시작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계획의 종료이다. ‘운동 열심히 하기’는 좋은 계획이라고 할 수 없다. ‘~kg까지 빼기’ 혹은 ‘~월 ~일까지 매일 수영 다니기’처럼 계획의 확실한 종료 지점이 있어야 한다. 이 종료점은 계획을 잘 지킬 수 있도록 당신에게 약간의 압박감을 준다. 종료점이 없는 계획은 미루기 쉽다. 또한, 계획의 종료점은 동기부여도 된다. 중간에 포기하고 싶어져도 ‘내가 이만큼이나 왔네. 조금만 더 하면 되겠다.’라고 생각하며 마음을 다잡을 수 있다.
자신의 성향에 대해 파악하기
목표를 세웠다면 이것을 포기하지 않도록 도와줄 자신만의 족쇄를 채워두는 것이 좋다. 자신의 강한 의지만으로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정말 훌륭한 일이지만 이제껏 우리 모두 경험해 봤다시피 인간은 유혹에 약하다. 특히 장기 목표는 긴 시간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당신의 계획을 방해하는 것들이 단기 목표에 비해 많을 것이다. 그러니 당신이 목표를 포기하게 만드는 유혹들을 외면하고 오로지 이루고 싶은 목표만 바라보게 도와줄 것이 필요하다. 이 족쇄는 당신의 성향에 따라 다를 것이다. 남들의 눈치를 보는 성향을 가진 필자는 목표를 꼭 남들에게 말해둔다. 그러면 다짐해 놓고도 목표를 이루지 못한 자신의 부끄러운 모습을 남들에게 보이고 싶지 않다는 생각에, 어떻게든 목표를 이루려고 노력하게 된다. 혹은 다른 예시도 있다. 바쁜 일상을 보내다 보면 연초에 계획했던 목표를 머릿속에서 잊을 수도 있다. 그러니 목표를 잊지 않도록 살면서 자주 보게 되는 장소에 목표를 적어서 붙여놓는 방법도 있다. 누군가는 그 장소가 아침에 일어나서 양치질할 때 보는 거울일 수도 있고, 누군가는 일을 할 때마다 보게 되는 컴퓨터 모니터일 수도 있고, 혹은 핸드폰의 배경 화면일 수도 있다. 이처럼 각자에게 효과적인, 목표를 외면할 수 없게 만드는 족쇄를 만드는 것이 좋다.
행동을 습관화하기
장기 목표를 이루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행동의 습관화이다. 만약 ‘다음 주 수학 쪽지 시험에서 100점 맞기’가 목표라면 3일 동안은 설렁설렁 공부하다가 남은 4일 동안 밤을 새워가며 열심히 노력해서 좋은 성적을 받을 수도 있다. 이렇게 단기 목표는 순간의 집중력과 노력으로도 해낼 수 있다. 하지만 ‘일 년 뒤 수능에서 수학1 등급 달성’과 같은 장기 목표를 이런 방식으로 이루려고 한다면 반드시 실패할 것이다. 장기 목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꾸준함이다. ‘일 년 뒤 수능에서 수학1 등급 달성’이라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아침 자습 시간에 수학 모의고사를 한 개씩 풀고 오답 노트 적기’를 매일 한다면 목표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어떤 행동을 미루지 않고 꾸준히 하는 것은 정말 힘든 일이다. 그러니 ‘하기 싫다.’라는 생각조차 들지 않을 만큼, 그 행동을 하는 것이 당연하게 느껴질 만큼 습관화되어야 한다.
다음 기사에서는 장기 목표를 이루는 데 도움이 되는 또 다른 조언들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지난 기사
상처가 있는 치료자들의 이야기 2 - 고통은 날 더 강하게 해
상처가 있는 치료자들의 이야기 3 - 치료자도 상처받습니다
참고문헌
Höchli, B., Brügger, A., & Messner, C. (2018). How focusing on superordinate goals motivates broad, long-term goal pursuit: A theoretical perspective. Frontiers in psychology
Fite, R. E., Lindeman, M. I., Rogers, A. P., Voyles, E., & Durik, A. M. (2017). Knowing oneself and long-term goal pursuit: Relations among self-concept clarity, conscientiousness, and gri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kitty01c@naver.com
목표를 이루려면 위에서 말씀하신 것처럼 나의 상태를 인지하고 현명히 과정을 설정해 차근차근 해나가는 것이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