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연우
[The Psychology Times=박연우 ]
영화 <잠>은 렘수면 행동 장애를 소재로 이 장애를 겪는 주인공과 그 아내가 꿈과 현실의 경계에서 벌어지는 미스터리 사건들로 인해 느끼는 혼란과 공포를 담은 스릴러 영화이다. 영화 속에서 주인공은 자신도 모르는 사이 꿈에서 경험한 다양한 행동을 현실에서 그대로 재현한다. 이는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들이 겪는 현상과 매우 유사하며, 영화 <잠>은 이 장애에 대한 대중의 관심과 궁금증을 자아내게 했다.
렘수면 행동 장애의 숨겨진 위험
1. 꿈을 넘어선 행동: 렘수면 행동 장애의 위험한 세계
렘수면 행동 장애는 렘수면 동안 일어나야 할 근육의 이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꿈에서 경험하는 내용을 실제로 행동으로 옮기는 장애이다. 렘수면 행동 장애의 증상은 단순히 꿈을 꾸는 것을 넘어서, 수면 중에 대화를 하거나, 걷거나, 심지어는 주먹질을 하거나 발로 차기, 깨물기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멍이 들거나 치아가 깨지거나 크고 작은 골절이 생기는 등의 다양한 상해를 입기도 한다. 이러한 상해의 위험은 환자 본인은 물론이고, 같은 공간을 공유하는 이들에게도 따른다.
실제 병원에 내원한 환자들의 증상을 보면, 34세 남성 A씨는 수면 중 누군가와 싸우는 듯 주먹을 휘두르거나 소리를 지르고, 30세 여성 B씨는 수면 중 꿈을 꾸며 팔, 다리를 휘두르고, 소리를 지르거나, 벽에 머리를 박는 등의 이상 행동으로 본인에게 상해를 입히는 것 뿐 아니라 배우자가 맞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위험을 피하고자 배우자와 다른 침대를 사용하거나 자신의 몸을 로프로 묶는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는 환자들의 보고도 있었다.
따라서 렘수면 행동 장애를 겪는 환자들의 삶의 질이 낮음을 예상해 볼 수 있는데, 실제 국내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건강한 일반인에 비해 수면의 질이 낮고 우울감이 심하며 전반적인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였다고 한다.
2. 렘수면 행동 장애와 신경퇴행성 질환의 연결고리
최근의 연구는 렘수면 행동 장애가 단순한 수면 장애를 넘어서, 파킨슨병이나 치매와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시사한다. Lancet Neurology 저널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렘수면 행동 장애 환자 중 상당수가 진단 후 10년 이내에 파킨슨병, 루이소체 치매, 다중계통위축증과 같은 신경퇴행성 질환을 겪음을 알 수 있다.
미국 미시간대학 버코우스키 박사팀 연구결과 렘수면행동장애 치료 및 관리를 하지 않으면 파킨슨병 진행 위험 점차 증가
이러한 연구 결과는 렘수면 행동 장애가 신경퇴행성 질환의 초기 전조증상일 수 있음을 시사하며, 환자의 조기 진단과 적극적인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더불어 이 장애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 신경 퇴행성 질환의 메커니즘, 진단 및 치료에 대한 지식이 크게 발전할 수 있음을 밝히며 해당 연구의 중요성을 밝혔다.
렘수면 행동 장애의 진단과 치료
1. 간편해진 진단 방법: 집에서 시작하는 렘수면 행동 장애의 이해
렘수면 행동 장애의 진단은 주로 환자의 수면 패턴을 자세히 관찰하고, 수면 중 발생하는 행동을 정밀하게 기록하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이루어진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으로 홈 수면 모니터링 기기가 보급되면서, 가정에서도 초기 진단이 가능해졌다. 스마트 워치나 수면 추적 장치의 기술을 통해 환자가 병원을 직접 방문하기 전에 스스로 수면의 질을 점검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2. 안전한 밤을 위한 첫걸음
렘수면 행동 장애의 치료는 주로 클로나제팜이나 멜라토닌과 같은 약물을 통해 이루어지며, 이는 환자가 수면 중에 보이는 위험한 행동을 줄이고, 수면의 질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러한 약물 치료와 더불어 보조적인 치료 방법으로는 인지 행동 치료, 물리 치료 및 운동을 통한 치료가 있다.
인지 행동 치료를 통한 수면의 질 개선, 스트레스 관리 기술의 학습, 이완 기법 등으로 증상 관리에 도움을 준다. 또한 인지 행동 치료는 수면 패턴을 정상화하고 수면 장애와 관련된 불안이나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기여한다. 정기적인 운동과 물리 치료는 전반적인 수면의 질을 향상시키고, 꿈에서의 격렬한 행동으로 인한 부상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더불어, 침실 환경을 안전하게 조성하는 것도 환자의 안전을 위해 중요하다. 예를 들어, 침대 주변에 부드러운 매트를 깔거나, 날카로운 모서리를 보호하는 조치를 취함으로써, 수면 중 발생할 수 있는 사고의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보조적 치료로 설명한 위 방법들은 초기 단계와 렘수면 행동 장애의 관리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료이지만, 반드시 전문의료진과 상의 및 정기적인 상담이 중요하다.
꿈과 현실 사이, 렘수면 행동 장애에 대한 새로운 이해
렘수면 행동 장애는 단순한 수면 장애가 아니라, 우리 몸과 마음, 그리고 뇌의 복잡한 상호작용을 이해하는 열쇠일 수 있다. 이 장애에 관한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은 더 나은 수면의 질을 추구하고, 신경퇴행성 질환에 대한 조기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우리는 수면의 중요성과 더불어, 수면 장애가 우리의 삶에 미칠 수 있는 영향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여 모두가 수면의 질을 중요시하고, 필요할 경우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참고문헌
김한아, 한수현, 이상암. (2015). 젊은 나이에 발생한 렘수면행동장애와 정량적 분석을 통한 진단적 접근. Journal of sleep medicine, 12(1), 18-22.
유수연, 전수명, 조용원. (2018). 렘수면 행동 장애. Journal of sleep medicine, 15(1), 1-7.
Kim, K. T., Motamedi, G. K., & Cho, Y. W. (2017).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an idiopathic rapid eye movement sleep behaviour disorder in Korea. Journal of sleep research, 26(4), 422–427.
Jean-François Gagnon, Ronald B Postuma, Stéphanie Mazza, Julien Doyon, Jacques Montplaisir,(2006). Rapid-eye-movement sleep behaviour disorder and neurodegenerative diseases, The Lancet Neurology, Volume 5(5), p424-432.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수면센터.(수면센터 | 분당서울대학교병원 (snubh.org))
성모사랑정신의학과, (2024.1.7), 심한 잠꼬대가 있다면 렘수면 행동 장애를 의심하세요!.
의사신문, (2018.1.23), MRI 검사' 통해 세계 최초로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의 '파킨슨병 진행 여부' 예측. http://www.doctorstimes.com/news/articleView.html?idxno=192725
기사 다시보기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pyw1018@sookmyung.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