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먹방, 마음으로 먹고 있는 미디어 - 먹방의 긍정적 그리고 부정적 영향 - 푸드 포르노, Problematic Mukbang Watching (PMW), 그리고 음식 중독
  • 기사등록 2024-10-10 10:16:30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박소영 ]


먹방, 먹는 방송을 뜻하는 줄임말이다.


요즘 유튜브나 방송에서 대량의 음식을 앞에 놓고 먹는 방송을 많이 볼 수 있다. 예전에는 ‘이런 걸 뭐 하러 봐?’라고 생각 했지만, 언젠가부터 필자 또한 유학 생활을 하며 먹고 싶은 음식이 있으면 괜히 찾아보게 되었다. 특히, 먹방은 누군가에게는 혼자 끼니를 해결할 때 말동무가 되기도 하고 때로는 먹고 싶은 음식을 먹지 못할 때 대리만족을 시켜주는 존재이기도 하다. 하지만 먹방은 하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에게 긍정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먼저, 근래 학술자료나 뉴스에서 먹방에 대한 부정적인 이야기를 꺼내는 경우가 많다. 먹방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면서 몇몇 유튜버는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음식을 먹으며 우울증에 걸리거나 과식으로 인한 심장마비로 사망하기도 하였다. 채널A의 기사에 의하면 한국과 해외 먹방 유튜버 중 몇몇은 두려움과 함께 심한 우울증을 겪고 있다고 한다. 먹방을 시청하는 청소년 또는 청년들에게 이러한 자극적인 방송은 위험할 수 있다. 이들에게 지나친 먹방 시청은 반사회적인 모습이나, 일상생활을 회피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방송을 따라하며 청소년들은 건강하지 못한 식습관과 아동비만의 문제가 될 수 있다. (Sanskriti et al., 2023).


한 논문에 의하면 먹방을 보는 사람들의 동기는 사회적, 성적, 재미, 또는 자신의 일상을 회피하기 위해서 라고 한다 (Kircaburun et al., 2021). 언급되었듯, 이러한 이유들이 우리에게 끼치는 긍정적, 부정적 영향이 있는데, 부정적 영향은 음식에 대한 전체적인 태도가 바뀐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먹는 습관과 선호하는 음식이 바뀔 수 있다. 더 나아가, 식이장애와 같은 정신장애를 유발할 수도 있고, 자신도 모르게 음식을 점점 더 많이 먹게 되며 음식 중독에 이를 수도 있다 (Kircaburun et al., 2021). 비슷하게도 ‘푸드 포르노'라는 용어가 있는데, 식욕을 돋우기 위해 시각적 그리고 청각적 자극이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면 아마도 음식에 대한 중독이 생긴 것으로 의심해 볼 수 있다 (전신영, 2024).


더 나아가, 다른 심리학 논문에 의하면 513명의 어른 중 먹방을 일주일 동안 보게 한 뒤 정신검사를 해보았을 때, 감정조절을 힘들어하고 불안하고 초조한 모습을 보였다 (Kircaburun, 2024). 외국의 학술자료에 의하면 건강하지 못한 먹방 시청을 Problematic Mukbang Watching (PMW)라는 용어를 사용해 표현할 만큼 먹방은 그만큼 심리학계에서 관심이 많이 가는 주제이다 (Kircaburun et al., 2024). 행동장애의 하나로 보는 PMW는 부인, 충동, 그리고 자기조절 실패로 인해 정의가 된다.


물론, 먹방이 이끌었던 한 세대적인 인기와 유행, 그리고 사회적, 경제적으로 긍정적 도움을 주었던 영향 또한 있다. 위에서 언급되었던 논문 중 먹방 시청의 긍정적 영향은 사회적으로 고립되어 있고 외로움을 느끼고 있는 시청자들에게 닿을 수 있다는 점이다 (Kircaburun et al., 2021). 더 나아가, 국제문화홍보정책실의 한 기사에 언급되었듯, 음식을 통해 교류하며 즐거움을 느끼는 공간을 먹방이라고 볼 수 있다. 개인적으로 느끼기에도 특히 코로나 시기 이후 많은 식당이 경제적으로 힘들어할 때, 먹방 콘텐츠가 뜨며 여러 식당이 명성을 얻고 경제가 활발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필자 또한 먹방을 보는 것에 대해서 결백하다고 이야기할 수 없지만, 의사들이 하나같이 입을 모아 이야기하듯 먹방은 우리의 육체적 뿐만 아니라 심리적 건강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하였듯, 먹방은 먹는 사람뿐만 아니라 시청하는 대중들에게도 주의가 필요한 주제이다. 




참고문헌

1) Channel A News. (2024). [세계를 보다]우울증에 심장마비…‘먹방’ 유행의 그림자 / 채널A / 뉴스A. Channel A News.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sxNxbv9-fhs 

2) Kircaburun, K., Harris, A., Calado, F., & Griffiths, M. D. (2021). The psychology of mukbang watching: A scoping review of the academic and non-academic liter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ddiction, 19(4), 1190–1213. https://doi.org/10.1007/s11469-019-00211-0

3) Kircaburun, K., Harris, A., Calado, F., & Griffiths, M. D. (202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roblematic mukbang watching scale and mukbang watching motives scale: a cross-sectional study with adult mukbang watchers. Psychiatry Research Communications, 3(3), 100138.

4) Kircaburun, K., Harris, A., Calado, F., & Griffiths, M. D. (2024). Emotion regulation difficulties and problematic mukbang watching: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impulsivity. Psychiatry Research Communications, 4(1), 100152. 

5) Sanskriti, S., Guglani, I., Joshi, S., & Anjankar, A. (2023). The spectrum of motivations behind watching mukbang videos and its Health effects on its viewers: a review. Cureus, 15(8).

6) 윤소영. (2017). 먹방의 숨겨진 즐거움. 국제문화홍보정책실. https://www.kocis.go.kr/koreanet/view.do?seq=7171  

7) 전신영. (2024). 먹방 보면서 밥 먹는 사람 '이것' 중독: 식욕 자극하는 푸드 포르노를 아시나요? 데일리. https://www.daily.co.kr/life31351410779#lifeback 





지난 기사보기

샤워 심리학: 청결로 보는 루틴의 중요성

창의와 영감 심리학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177
  • 기사등록 2024-10-10 10:16:30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