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채진우 ]



스스로를 특별하게 여기는 왜곡된 믿음


과대망상(Grandiose delusions, GDs)은 과대망상 또는 팽창망상이라고도 불리며, 자신이 유명하거나 전능하며, 부유하거나 대단히 높은 지위에 있다고 믿는 비정상적인 신념을 특징으로 하는 망상의 한 유형이다. 이러한 망상은 종교적이거나 과학소설적, 또는 초자연적인 주제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자신이 신이나 유명인이라고 믿거나, 상상 속에서나 가능한 특별한 재능, 업적, 초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믿는 것이 대표적이다.




일반적인 과대 신념과의 차이


비망상적 과대 신념과 과대망상의 경계


일반적으로 비망상적인 과대 신념은 인구의 약 10%에서 흔히 나타나며, 이는 종종 개인의 자존감을 긍정적으로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그러나 이러한 신념이 개인에게 심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경우, 임상적 평가를 통해 정신적 장애로 진단될 수 있다.


과대 신념과 과대망상은 일부 겹치는 측면이 있지만,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다. 과대 신념은 자신의 우월성, 독창성, 중요성, 또는 불굴의 자신감과 같은 태도를 포함하는 반면, 과대망상은 자신이 부, 권력, 종교적 혹은 역사적으로 특별한 지위를 가지고 있다는 구체적이고 비현실적인 사실적 신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과대망상의 심리학적 이해


왜곡된 인지와 감정의 복잡한 상호작용


과대망상은 단순히 비현실적이고 비합리적인 믿음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개인의 심리적, 인지적, 정서적 과정을 복합적으로 반영하는 상태로, 심리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다.




인지적 요인


왜곡된 사고 패턴과 신념 체계


과대망상은 종종 인지 왜곡의 결과로 발생한다. 특히 아래와 같은 사고 패턴이 관여한다:


자기중심적 사고: 자신을 세상의 중심으로 간주하며 타인의 관점을 수용하기 어려워한다.


과잉 일반화: 특정 사건이나 경험을 통해 자신이 특별하거나 강력한 존재라는 결론을 내리는 경향.


확증 편향: 자신의 비현실적 믿음을 뒷받침하는 정보를 선택적으로 수집하고, 반대되는 증거를 무시한다.


이러한 인지적 왜곡은 과대망상을 강화하며, 외부 세계와의 현실 검증 능력을 약화시킨다.




정서적 요인


자존감과 불안 간의 상호작용


심리학적으로 과대망상은 종종 낮은 자존감이나 깊은 불안을 보상하려는 심리적 방어기제로 작용한다.


자존감 결핍: 무의식적으로 자신을 하찮게 여기거나 부족하다고 느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과대망상을 통해 자신을 이상화하려 한다.


불안 관리: 자신이 강력하거나 특별한 존재라고 믿음으로써 내재된 불안과 두려움을 완화하려는 시도.

이처럼 과대망상은 외부에서 보기에는 자신감이 넘치는 듯하지만, 그 이면에는 극도로 불안정한 심리 상태가 자리잡고 있다.




사회심리적 요인


환경과 관계의 영향


과대망상은 개인의 사회적 경험과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사회적 고립: 타인과의 관계에서 단절되거나 배제된 경험이 있는 경우, 현실에서 인정받지 못한 욕구를 망상을 통해 충족시키려는 경향.


과도한 사회적 압력: 사회적 성공이나 지위에 대한 강박적인 욕망이 과대망상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환경적 강화: 주변에서 망상적 믿음을 지지하거나 강화하는 경우, 과대망상이 지속되거나 심화될 가능성이 커진다.




과대망상의 심리적 구조


심리학적 모델로 본 과대망상


심리학적으로 과대망상을 이해하기 위해 종종 다양한 모델이 활용된다.


정신분석적 관점: 프로이트의 이론에 따르면, 과대망상은 억압된 열망과 욕구가 외부로 투사된 결과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자신이 약하다는 무의식적 감정을 부정하기 위해 자신을 전능하다고 믿는 것이다.


행동주의적 관점: 과대망상은 특정 행동이나 신념이 보상받거나 긍정적으로 강화되는 과정을 통해 학습된다.


인지행동적 관점: 비현실적 신념과 이에 따른 행동 간의 악순환이 과대망상을 지속시키는 핵심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심리학적 관점에서의 치료와 접근법


현실 검증과 정서적 치유의 조화


과대망상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접근이 필수적이다.


인지행동치료(CBT): 왜곡된 사고 패턴을 수정하고, 현실 검증 능력을 회복시키는 데 중점을 둔다.


정신분석 치료: 무의식적 갈등과 억압된 감정을 탐구하여 과대망상의 근본적 원인을 해결하려고 한다.


사회적 기술 훈련: 타인과의 건강한 관계를 구축하고, 사회적 맥락에서의 자기인식을 개선한다.


심리학적 접근은 과대망상을 단순한 병리로 보는 것을 넘어, 개인의 전반적인 심리적 회복과 성장으로 이어질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




과대망상의 다차원적 이해와 중요성


과대망상은 단순히 비현실적 믿음의 문제를 넘어, 인지, 정서, 사회적 맥락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심리적 상태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리학적, 사회적, 그리고 임상적 관점에서의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과대망상은 그 자체로 고통스러운 경험이 될 수 있지만, 적절한 치료와 지원을 통해 개인이 자신의 삶을 다시 균형 있게 바라볼 수 있도록 돕는 것이 가능하다.




참고문헌

1) Louise, I., Laura, G., Anne‐Marie, B., Alice, H., Natalie, W., Rory, B., Bryony, S., Richard, P. B., and Daniel, F., (2019).

2) Understanding, treating, and renaming grandiose delusions: A qualitative study. Retrieved from: https://pmc.ncbi.nlm.nih.gov/articles/PMC7984144/.






지난 기사보기

프레골리 증후군: 희귀하고 복잡한 인식 장애의 이해와 치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증후군: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아노소그노시아(Anosognosia)란 무엇인가?

심리학과 음향현상: 소리가 우리의 마음에 미치는 영향

알츠하이머병: 퇴행성 뇌 질환

출처 기억 상실 (Source Amnesia): 정보의 출처를 잊는 우리의 뇌

조류공포증(Ornithophobia)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장애, 현대 사회의 숨겨진 문제

두 사람의 광기: "폴리 아 되" 증후군과 그 특성

장소복제기억착오증: 두 개의 장소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믿는 착각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518
  • 기사등록 2025-01-10 18:15:1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