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한국심리학신문=채진우 ]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복잡한 심리적 유대


스톡홀름 증후군은 피해자가 자신을 위협하거나 억압하는 가해자에게 정서적 유대감을 느끼는 독특한 심리적 현상을 말한다. 이 용어는 1973년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발생한 은행 강도 사건에서 비롯되었다. 당시 인질들이 가해자들에게 호의적인 태도를 보이며 경찰보다 그들을 더 신뢰하는 모습을 보였던 것이 학계에 보고되면서 이 개념이 자리 잡게 되었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심리적 메커니즘


생존 본능과 왜곡된 관계 형성


스톡홀름 증후군은 인간의 기본적인 생존 본능과 심리적 적응 메커니즘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이해된다. 이 현상은 단순히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극단적인 스트레스 상황에서 인간이 자신의 생명을 보호하려는 본능적 반응이 심리적 왜곡과 결합될 때 나타난다. 피해자는 가해자의 행동을 생존을 위협하는 동시에 자신을 보호하는 양면적인 존재로 인식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은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서 다양한 심리적 요인을 포함하며 다음과 같이 구체적으로 설명할 수 있다.




1. 인지적 왜곡


가해자의 행동에 대한 왜곡된 합리화


스톡홀름 증후군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피해자가 가해자의 폭력적 행위와 드물게 보여지는 긍정적 행동을 동시에 경험하면서, 후자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 긍정적 측면의 확대 해석

  • 예를 들어, 가해자가 피해자를 물리적으로 위협하거나 억압하면서도 음식을 제공하거나 잠시 말을 거는 행위를 보일 경우, 피해자는 이를 "가해자가 나를 걱정하고 있다" 또는 "이 상황에서도 나를 배려한다"는 식으로 긍정적으로 해석하게 된다. 이러한 해석은 본능적으로 자신이 처한 극단적인 상황을 견디기 위한 심리적 방어기제로 작용한다.

  • 위협의 정당화

  • 가해자의 폭력이나 억압을 '필연적' 또는 '어쩔 수 없는 행동'으로 정당화하려는 경향도 관찰된다. 이는 가해자가 단순한 폭력적 존재가 아니라 "어쩔 수 없이 나를 위협하지만 나름대로는 이유가 있다"는 신념으로 이어진다.



2. 학습된 무기력


반복되는 무력감과 순응의 학습


지속적으로 억압적인 환경에 놓인 피해자는 자신의 행동이 이 상황을 변화시킬 수 없다고 믿게 된다. 이는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의 학습된 무기력 이론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 탈출 불가능성의 인식

  • 피해자는 탈출 시도가 실패하거나 가해자로부터 더 큰 위협을 경험할수록 자신의 생존 가능성을 낮게 평가한다.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면, 피해자는 탈출보다는 순응하는 것이 오히려 생존 가능성을 높이는 선택이라고 판단하게 된다.

  • 수동적 행동의 학습

  • 시간이 지남에 따라 피해자는 능동적인 저항보다는 가해자의 요구를 따르고 상황에 순응하는 행동을 학습한다. 이는 단기적으로는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피해자가 심리적으로 가해자에게 종속되도록 만든다.



3. 정서적 전이


가해자와의 감정적 유대 형성


정서적 전이는 피해자가 가해자와 감정적으로 연결되는 중요한 과정으로, 이는 생존 본능과 심리적 적응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된다.


  • 가해자의 친절함에 대한 과잉 반응

  • 가해자가 일시적으로 친절함이나 배려를 보일 경우, 피해자는 이를 가해자의 본질적인 성격으로 해석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는 피해자가 가해자를 전적으로 악한 존재로 인식하지 않도록 돕는 심리적 방어기제의 일환이다. 예를 들어,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물 한 잔을 건네거나 대화를 나누는 행동은 "가해자가 나를 이해하고 있다"는 신념으로 이어질 수 있다.

  • 의존감의 형성

  • 피해자는 극단적인 상황 속에서 자신의 생존을 위해 가해자에게 의존하게 된다. 이러한 의존감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서적 유대로 발전하며, 피해자는 가해자를 자신을 보호하는 존재로 오인하게 된다.

  • 감정의 왜곡된 방향성

  • 이 과정에서 피해자는 자신을 억압한 가해자에게 감사나 애정을 느끼는 반면, 자신을 구출하려는 외부 요인에 대해서는 적대감을 느끼는 역설적인 반응을 보이기도 한다. 이는 가해자와의 관계를 생존의 필수 조건으로 인식하게 된 데서 기인한다.

 



사회적, 환경적 요인


스톡홀름 증후군을 형성하는 외부 조건


스톡홀름 증후군은 개인적 심리뿐만 아니라 특정한 사회적, 환경적 요인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 장기적 고립 상태

  • 피해자가 가해자와의 상호작용 외에 다른 관계를 형성할 기회가 차단되면, 가해자가 유일한 소통의 대상이 된다.

  • 불균형한 권력 구조

  •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명백한 권력 차이는 피해자가 가해자를 보호자로 인식하도록 왜곡된 관계를 강화한다.

  • 정체성 손실

  • 피해자는 지속적인 심리적 압박 속에서 자신에 대한 정체성을 상실하거나 가해자의 시각에 동조하는 방향으로 정체성을 재구성하기도 한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심리학적 이론


학문적 접근과 설명


스톡홀름 증후군을 설명하는 데 다양한 심리학적 이론이 활용된다.


정신분석적 관점


  1. 프로이트의 이론에 따르면, 피해자는 가해자의 힘을 무의식적으로 동일시하며 자신을 가해자에게 동화시킴으로써 공포와 불안을 완화하려 한다.

  2. 사회인지 이론

  3. 사회적 맥락에서 가해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그들의 입장을 '합리화'함으로써 관계를 유지하려는 심리적 경향을 설명한다.

  4. 애착 이론

  5. 피해자는 가해자와의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왜곡된 형태의 애착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어린 시절의 불안정한 애착 경험과 연관될 수 있다.



스톡홀름 증후군 극복과 심리치료


희생자의 회복을 위한 접근법


스톡홀름 증후군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피해자에게 심리적 지원과 안정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1. 인지행동치료(CBT)

  2. 왜곡된 신념과 사고 패턴을 수정하며, 피해자가 가해자와의 관계를 객관적으로 재평가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심리적 디브리핑

  4. 사건 이후 경험한 트라우마를 해소하고, 피해자가 스스로의 정체성을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5. 사회적 지지

  6. 가족, 친구, 또는 심리치료 전문가와의 긍정적 관계를 통해 피해자가 새로운 신뢰와 애착을 형성하도록 돕는다.

스톡홀름 증후군은 단순한 심리적 반응이 아니라, 피해자의 생존 본능과 억압적 환경의 상호작용에서 비롯된 복잡한 현상이다. 이를 이해하고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는 것이 피해자의 회복과 심리적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스톡홀름 증후군의 사회적 이해와 대응의 필요성


스톡홀름 증후군은 단지 가해자와 피해자 간의 관계 왜곡을 넘어, 인간 심리와 환경적 요인의 복합적 상호작용을 반영한다. 이를 단순한 '이해할 수 없는 현상'으로 치부하지 않고, 심리학적, 사회적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1) Jamie, E., (2020). What is Stockholm syndrome?. Retrieved from: https://www.medicalnewstoday.com/articles/stockholm-syndrome.






지난 기사보기

프레골리 증후군: 희귀하고 복잡한 인식 장애의 이해와 치료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증후군: 현실과 환상의 경계에서

아노소그노시아(Anosognosia)란 무엇인가?

심리학과 음향현상: 소리가 우리의 마음에 미치는 영향

알츠하이머병: 퇴행성 뇌 질환

출처 기억 상실 (Source Amnesia): 정보의 출처를 잊는 우리의 뇌

조류공포증(Ornithophobia)에 대한 이해

의사소통 장애, 현대 사회의 숨겨진 문제

두 사람의 광기: "폴리 아 되" 증후군과 그 특성

장소복제기억착오증: 두 개의 장소가 동시에 존재한다고 믿는 착각

과대망상의 정의와 특성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9554
  • 기사등록 2025-01-22 15:56:0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