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우
[한국심리학신문_The Psychology Times=장동우 ]
20대의 젠더 갈등?
최근 20대의 젠더 갈등은 전례가 없는 수준으로 치닫고 화제가 되고 있다. 지역갈등, 세대갈등이 오랫동안 이어져 온 갈등이었다면, 젠더 갈등은 비교적 최근에 급격히 부각되고 있는 갈등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신문이 현대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2021년 6월 12~14일 실시된 여론조사에 따르면, 가장 심각한 한국사회의 갈등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전체연령의 13.1%가 젠더갈등을 뽑은 반면에, 20대의 42%가 젠더 갈등을 꼽았다.
이러한 현상은 정치권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 서울시장 재보궐 선거에서 급격한 지지율 차이를 보였고, 대선후보와 지지정당에서도 극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전통적으로 20대는 진보적인 성향이 강했지만, 현 상황에서는 그렇지 않다.
커뮤니티의 영향력
필자는 이렇게 젠더 갈등이 급격히 심해진 원인 중 하나로 커뮤니티를 꼽고 싶다. 방학을 맞아 설치한 축구 게임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관련 커뮤니티를 방문한 적이 있다. 그러나 이 커뮤니티에는 축구과 축구게임에 관련된 글 보다는, 여성혐오와 갈등을 조장하는 글이 수없이 많이 올라오고 인기를 끌고 있었다. 다른 남성 커뮤니티도 마찬가지이다.
사실 관계도 구체적으로 확인되지 않은 혐오를 조장하는 글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일부 여성 커뮤니티도 비슷하다. 남성 혐오와 비하 발언들이 자주 등장하고, 갈등을 유발하는 글들이 꽤 보인다. 남성, 여성 할 것 없이 커뮤니티는 ‘혐오의 장’이 되었다.
기술의 발달로 한국에서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20대는 찾기 힘들다. 또한, 커뮤니티를 하지 않는 20대보다 커뮤니티를 즐겨 하는 20대가 월등히 많다. 많은 20대가 커뮤니티를 통해 사회적 이슈와 뉴스를 접한다. 코로나로 인해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지면서, 커뮤니티의 회원 수와 게시물을 훨씬 더 늘어나고 있다.
그러나 커뮤니티는 무수한 문제점들이 존재한다. 칭찬과 격려, 감동적인 글보다는 혐오와 비난, 공격적인 글이 인기를 끄는 법이다. 익명을 무기 삼아 현실에서 느꼈던 스트레스를 푸는 곳이기도 하다. 사실관계도 확인되지 않은 글을 믿고, 무작정 비난하게 되고, 다른 회원들의 공감과 생각에 동화 되어 자신의 생각이 사라진다. 이를 ‘반향실 효과’라고 한다.
확증편향, 반향실 효과
특수한 재료로 소리가 새지 않는 벽을 만들어 방 안에서 소리가 계속 되울리도록 만든 방이 반향실이다. 어떤 소리를 내도 똑같은 소리가 메아리처럼 되돌아온다. 반향실 효과란 이처럼 같은 입장과 생각만을 계속해서 되풀이 수용하게 되는 현상을 말한다. 커뮤니티에 대입해보면, 비슷한 사람들끼리 반복해서 생각을 공유하면서 서로를 돕고, 좋아요를 눌러주면서, 마치 자신들의 생각이 대세인 것처럼 느낀다. 신념과 믿음이 강화되는 것이다. 균형을 잃고 결국 자신만이 옳다고 생각하고,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게 되는 ‘확증편향’에 빠져 버리는 것이다. 반향실 효과와 확증 편향은 가짜 뉴스의 영향력을 커지게 하고, 극단주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커뮤니티만이 원인일까?
여기까지 꽤 그럴 듯 하다. 커뮤니티의 이용자 수가 늘고 영향력이 확대되면서 그 안에서 혐오 조장 글들이 인기를 얻고, 혐오 심리가 실제로도 나타나 젠더 갈등이 심각해졌다는 것이다. 설령 커뮤니티를 처음 이용할 때는 혐오 심리가 없었다고 해도, 그곳에서 올라오는 인기 글과 사람들의 반응을 보며 생각이 바뀌게 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한 가지 간과한 부분이 있다. 커뮤니티에 글을 쓰는 것은 ‘인식의 표출’이다. 커뮤니티에서 혐오 글이 많이 올라오고 인기를 얻고 있다는 것은, 인식이 선행되었다는 것이다. 결국 20대 남성이 커뮤니티를 통해 이러한 인식을 받아들이고 공감을 했다는 것은 커뮤니티와 함께 다른 무언가가 합쳐진 결과라고 볼 수도 있다. 사실 이 기사의 핵심은 다음 기사에서 등장한다. 이제 다음 기사에서, 20대 남성에 초점을 맞춰 무엇이 20대의 갈등과 혐오 심리를 증폭 시켰는지 다뤄보자.
이전기사
빈곤 국가의 가난한 사람들이 불합리한 선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1
빈곤 국가의 가난한 사람들이 불합리한 선택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2
[참고자료]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4344
시사인, 천관율 / 2019.04.15. / ‘20대 남자, 그들은 누구인가’
BBC NEWS / 2021.11.16. / ‘악플: 팬데믹 기간 온라인 혐오 발언 20% 증가’
https://ko.wikipedia.org/wiki/%EB%B0%98%ED%96%A5%EC%8B%A4_%ED%9A%A8%EA%B3%BC
[위키백과] 반향실 효과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32&aid=0003111270
경향신문, 탁지영 / 2021.11.19. / 바람과 검증, 대립과 혐오…대선 정국 움직이는 커뮤니티 정치학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