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편지희 ]


정신 건강이 곧 우리의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 당신은 알고 있는가?

과연 우리의 정신 건강은 신체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 구체적으로 들여다보자.



정신건강은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


우리의 정신이 얼마나 건강하고 번영한지에 따라 우리의 신체 건강에 차이가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신적으로 번영한 사람은 중간 수준의 정신건강을 가진 사람과 정신적으로 쇠약한 사람보다 더 양호한 신체 건강을 나타냈다고 한다. 여기서 정신적으로 번영한 사람이란 정신장애가 없고 마음의 웰빙 수준이 높은 사람을 말한다. 이렇게 정신적으로 번영한 집단은 감기에 덜 걸리고 감기 증상도 더 가벼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간 수준의 정신건강을 가진 사람에 비해, 스스로 건강 상태를 더 양호하게 느끼고 건강 때문에 생활에 지장을 받은 기간도 적게 나타났다고 한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의 몸이 건강하기 위해서는 ‘마음의 건강’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드러내고 있다.


여기서 우리가 주목해야 할 부분은 단순히 정신건강이 나쁘지 않은 수준이 아니라, 번영한 상태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우리는 정신장애가 없는 수준을 넘어, 정신적으로 건강한 상태에 도달할 때 비로소 우리 몸의 건강 역시 지켜나갈 수 있다.



정신건강이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은 우리 몸의 면역 체계에 작용하고, 이것이 신체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다. 특히 우리가 스트레스에 노출되면 면역반응에 지속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우리의 신경계에서 나타나는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은 감염성 질환, 자가면역질환의 요인이 될 수 있다고 한다.



정신건강이 생리심리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


정신건강은 우리의 신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생리심리적 요인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한다. 우리가 우울함이나 불안과 같은 심리 상태를 겪게 되면 잠을 잘 자지 못하게 되는 것에서 이를 살펴볼 수 있다. 이렇게 수면의 질 저하로 면역 기능이 나빠지면 감염성 질환에 걸릴 확률이 높아질 수 있다고 한다.



정신건강의 결정 요인


이렇게 우리의 신체 건강을 좌지우지할 수 있는 정신 건강에는 어떠한 요소들이 영향을 미칠까? 다음으로, 우리의 정신건강을 결정하는 요인 중 세 가지를 소개해보려 한다.


첫째는 ‘문화’이다. 각 문화에 따라 사람들의 행동이나 표정을 다르게 받아들이고 해석한다. 그렇기에 질병에 대한 편견, 질병을 받아들이는 심각성의 차이 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둘째는 ‘사회적 자본(social capital)’이다. 사회적 자본은 사회 공동의 이익을 위한 협동과 조화를 촉진하는 사회 연결망, 사회 규범, 신뢰 등을 말하는데 이러한 사회 연결망이 잘 되어있으면 사회 복지, 보건 교육과 서비스 이용이 더 높다고 한다. 마지막 세 번째는 ‘인권’이다. 정치, 경제, 사회 등 기본적인 권리가 보호되는 사회적 분위기는 우리의 정신건강을 증진하는 토대가 된다. 인권이 보장받지 않는 상황 아래, 우리는 좋은 정신건강 상태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정신건강의 결정 요인을 볼 때 정신건강은 개개인의 내면뿐만이 아닌, 사회적 측면에서 영향받는 부분이 많음을 볼 수 있다.


우리 자기 몸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우리의 건강한 ‘마음’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앞서 정신건강의 결정 요인을 살펴볼 때 우리 개개인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적 측면과 맞닿아 있다는 걸 들여다볼 수 있다. 이것은 곧 우리 건강에 직결되는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으로 정신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정책이 마련될 필요성을 반증하고 있다.





지난기사

당신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1)

당신의 삶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2)

내 안의 자기 불일치, 헤쳐 나갈 수 있다

완벽주의와 '나'





출처

김현정 고영건(2016). 정신건강과 일반적 신체건강 간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Vol. 21, No. 4, 815 – 828.

김민석 외(2018).  정신건강증진: 개념, 증거, 실천. 포널스출판사.

우종민 백종우 이주영(2010). 정신건강증진의 개념과 발전 방향. 대한신경정신의학회.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045
  • 기사등록 2022-07-21 07:30:3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