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주선 ]



2022년 현재 SNS는 핫하다. 요즘 필수불가결한 SNS는 시시각각 변하는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게 해주며 다른 사람과 ‘팔로우’의 관계를 맺어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자신을 간단하게 드러낼 수 있는 소통창구이자 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와 SNS의 간편한 정보전달로 인하여 SNS 이용률은 점점 더 늘어가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DMC미디어의 ‘2021 소셜 미디어 시장 및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소셜 미디어 이용률은 세계 평균의 2배에 달하며 세계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 미디어 패널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반 이상이 SNS를 사용하며 특히 밀레니얼 세대인 만 25세~38세는 2019년 약 80%에서 2021년 83, 5%로 더욱 증가세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SNS는 정보 소통, 자기 PR 등의 긍정적인 영향도 있지만 그 정도가 지나치면 중독, 의존 등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 대학생 기자단으로써, SNS가 대학생에게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알아보았다.

 


SNS가 미치는 영향



첫째, SNS 중독은 외로움을 증가시킨다. SNS로 인하여 일상생활에서 어려움을 겪고 현실보다 SNS를 더 중요시하게 생각한다면 외로움이 증가한다. 즉 가상 세계를 지향하는 것은 가상에서 관계를 맺는 것이 더 편안하다는 해석이다. SNS를 한다는 것은 타인과 교류하고 싶은 욕구가 있다는 것으로 간주하기에 SNS를 하지만 심리적 소외감을 느낀다는 점이 모순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SNS는 대인관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SNS는 사람들과 쉽게 소통하고 일상을 공유하며 가까워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는 순기능이 있다. 그러나 이런 순기능과 다르게 SNS를 통한 대인 접촉은 대인관계의 친밀감과 질을 저하하고 대인관계에서 부정적 영향을 일으킬 수 있다.


셋째,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SNS 중독 경향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 논문에 따르면 “정신건강 상태가 불안할수록 SNS 중독 경향도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정신건강이 SNS 중독을 유발하는 것이 아닌 SNS 중독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끼친다고도 하였다.


넷째, 무수하게 많은 SNS 콘텐츠는 대학생의 진로 결정 자기효능감에 부분적으로 영향이 있다고 한다. 진로 결정 자기 효능감과 SNS 중독 경향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설명되며 정신건강과도 연결되어있다.

 

 


결론


스마트폰이 대중화되면서 SNS가 일상에 침투했다고 과언이 아닐 정도로 현재 대학생들은 SNS를 많이 이용하고 있다. SNS에 자신의 일상을 너무 과도하게 올려 SNS상에서는 SNS를 위해 살아가는 것 같다는 글을 본 적도 있었다. SNS로 자신을 드러내고, 대인관계를 유지하는 것은 좋지만 하루에도 수시로 SNS에 접속하여 중독에 가까운 증세를 보인다면 정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 SNS가 일상에 들어와서 중독을 못 느낄 수 있지만 이럴 때일수록 더 조심해야 할 것이다.




지난 기사

당신의 감정에는 이유가 있다.

왜 우리는 빙하보다 손에서 녹는 아이스크림이 더 중요할까

방어기제를 알면 나를 더 잘 알 수 있다?

길고 길었던 코로나, 당신의 정신건강은 안녕하신가요? (코로나 블루)

아 진짜 알았는데 기억이 안나. 기억의 저장과 왜곡

심리테스트 할 때마다 다 내 얘기 같다고?





출처

이재경, 조혜정, 박은아. (2021). 대학생의 정신건강과 SNS 중독경향 관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2(4), 429-442.

최은, 김진숙, 문현주. (2019).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10(1), 241-253.

홍구표, 전혜성. (2017). 대학생의 SNS중독경향성과 대인관계문제 간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보건사회연구, 37(1), 34-67.

박소정 기자, “한국, 세계에서 두 번째로 SNS 많이 한다”, 조선일보, 21.06.16 https://biz.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6/16/Z3VO6I2GENFENG577CH7EZWUJE/

“SNS 장점과 요모조모를 파헤쳐보자”, GoodMonitoring communication company, http://goodmonitoring.com/snssocial-network-service-%ED%8C%8C%ED%97%A4%EC%B3%90%EB%B3%B4%EC%9E%90/

김윤화, “세대별 SNS 이용 현황”, KISDI STAT report, 22.06.15,

https://mediasvr.egentouch.com/egentouch.media/apiFile.do?action=view&SCHOOL_ID=1007002&URL_KEY=a3559b65-b36d-4a2c-8abb-67841e61203e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273
  • 기사등록 2022-08-17 07:26:2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