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sychology Times=박진형 ]

- 인간의 일생을 들여다보면 말도 안되는 것들 투성이다. 때로는 그 일이 터무니없음에도 그것이 그저 반복되기도 한다. 사람들은 관습과 습관에 메여 살아가며 그것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 제기나 성찰 없이 그것을 반복한다.
인류는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인간은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라는 말이 있다. 비단 인간뿐만이 아니다. 인류 역시 같은 실수를 반복한다. 특히 요즘같이 급변하는 세상에서 우리는 과거의 제도에 집착하고 과거 문화에 갇힌다.
특히 역사의 급변과 사화의 급격한 발전을 겪은 대한민국은 대표적인 사례가 될 수 있다. 최첨단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 세대와 농경 시대에서 산업화를 겪은 조부모 세대는 다른 생각을 가졌음에도 조부모 세대는 현재를 받아들이지 못하고 그 시대의 사고를 고수하는 경우가 많다. 이처럼 인간은 세상의 변화에 따라가서 첨단의 제도를 추구하기보다는 구식이라도 자신에 익숙한 문화와 제도에 머무른다.
경로의존성과 선점우위 효과
상술한 인류 관행의 반복은 경로의존성으로 설명할 수 있다. 경로의존성이란 과거의 일정한 선택이 추후 세상의 변화나 그 자체의 문제에 기인한 비효율성이 나타난다고 하더라도 관성에 의해 그 선택을 고수하는 것이다.
경로의존성은 한 사회의 큰 틀을 결정하기도 하고 제도, 정서, 법률과 한 세대를 아우르는 취향에까지 작용한다. 특히 관습과 제도, 법률의 경우 세상의 변화만큼 빠르게 변화한다기보다는 더욱 신중하고 과거의 사례에 더욱 의존한다.
한편 개인이 일정한 루틴을 지키는 것처럼 경로의존성은 개인에 행동에도 적용할 수 있다. 심지어는 부모의 방을 치우라는 잔소리에도 치우지 않은 방 상태에 편안함을 느끼는 자녀의 심리도 경로의존성의 예시에 해당할 수 있다.
이러한 인류의 본능적 태도로 인하여 효율의 가치를 중시하는 경제, 경영학에서 설명할 수 없는 일들이 발생하게 된다. 가장 우수한 것이 시장에 보급된다고 하더라도 과거의 우수성이 모자라는 상품이 시장을 점유하는 예시가 있다.
이를 경영학에서는 선점 우위 효과라고 정의한다. 경제학과 현실 경제의 차이를 나타내는 단적인 예시가 될 수 있다. 기술적인 우수성과 효율보다 먼저 시장을 점유하면 그것이 지속적인 판매와 고객 확보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해서는...
세상은 쉽게 변해도 사회는 변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사실 사회와 문화의 변화를 끌어내는 것은 개인이 도달할 영역이 아니다. 사회와 문화에 효율성이라는 개념을 끌어오는 것도 의문부호가 달린다.
그러나, 정말 세상이 변하였고 기존 사회 제도, 정서, 문화가 비효율성을 낳는다면 세상은 변해야 하고 개인도 바뀌어야 한다. 실제로 사회는 개인의 태도에서부터 변화하지 않겠는가.
- 그럼에도 급변하는 이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은 조금 더 변화에 수용적이고 개방적인 자세를 취해야 할 것이다. 또한 열려있고 깨어있는 지성으로 변화에 대한 성찰을 통해 태도를 결정하자. 다음 시대의 주역들인 우리의 역할이 중요한 시점이 아닌가.
지난 기사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음악이 남긴 추억에 대하여
비뚤어진 애국심
모든 관계에는 적당한 거리가 필요하다
우리 아이를 행복한 아이로 양육하기
레밍효과
참고
경로의존성 [경남도민일보]. (2022). URL :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783504 .
'경로의존성'의 늪에 빠진 미국 [한국일보]. (2021). URL : http://m.koreatimes.com/article/1345377 .
[박상현의 일상 속 문화사] ⑦ 경로의존성 : 마차는 어떻게 미래를 결정했을까 [세계일보]. (2020). URL : https://n.news.naver.com/article/022/0003523856?sid=103 .
<김헌식 칼럼>전자책 빌려주기 출판사 망하라고 부채질? [데일리안]. (2013). URL :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1968084?sid=004 .
이희옥. (2021). 한국사회의 ‘경로의존성’에 주는 일침. KISO 저널 , 통권(45호), 45-48.

- TA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