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긍정 심리학으로 포스트 코로나 이겨내기 - 긍정 심리학 이론과 실천 방법들
  • 기사등록 2022-11-03 13:34:48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박소영 ]



긴 코로나라는 터널 끝자락에서 ‘이제 나아지겠지’라는 희망과 동시에, 몇몇은 포스트 코로나(Post-COVID), 또는 코로나 이후의 시간 속 계속된 우울증과 일상생활 회복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에 의하면 코로나 동안의 우울 위험군이 2021년 22.8%에서 올해 3월 18.5%로 낮아지긴 했지만, 코로나 이전 2019년의 3.2%라는 통계를 보면, 코로나 이후에도 지속되고 있는 마음 건강 문제를 알 수 있다. 새로운 변화와 적응 환경 속 포스트 코로나를 어떻게 하면 이겨낼 수 있을지 긍정 심리학을 통해 잠시 배워보도록 하자.

 

긍정 심리학이란 무엇인가?


긍정 심리학이란, 1990년대에 마틴 셀리그만(Martin Seligman) 박사에 의해 발달한 분야 중 하나로, 이전의 병적인 문제를 다루는 심리학을 정신 건강이라는 개념으로 재정의해 개인의 강점과 긍정적 심리 요인을 통해 행복과 성장으로 이끌 수 있다는 이론이다. 대표적인 셀리그만 박사의 모델로 PERMA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 Positive Emotion: 자신을 행복하게 해줄 수 있는 요소를 찾는 것
  • Engagement: 자신을 몰두하게 해줄 수 있는 일을 찾는 것
  • Positive Relationships: 좋은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관계를 찾는 것
  • Meaning: 인생의 의미, 자신만의 가치관과 철학을 정의하는 것
  • Accomplishment: 목표를 세워 성취감과 삶의 의미를 찾게 해주는 노력

이라 할 수 있다.

 

많은 실천 방법 중 긍정 심리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몇 가지 예를 들자면 감사 일기 쓰기, 명상하기, 봉사 활동, 등등을 들 수 있는데, 한 가지 짚고 넘어갈 내용이 있다면, 긍정 심리학은 이러한 실천 방법들 자체의 긍정적 본질을 강조하는 내용이 아니다. 이러한 행동과 습관의 변화에 더해, 긍정 심리학은 개인의 목적이나 동기, 의미 부여, 그리고 실천 방향에 따라 정신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정도와 깊이가 달라진다. 구체적으로 어떠한 동기와 마음가짐으로 위의 실천 방법들에 임해야 하는지 한 번 자세히 알아보자.

 

1. 감사 일기 쓰기


일기를 쓰며 우리는 하루의 일과를 정리하는 것뿐만 아니라 생각을 정리하고 개선하기도 한다. 특히, 부정적인 경험보다 긍정적인 경험을 적어도 하루에 세 가지 이상 찾아보는 연습을 하면 우울 증상들이 낮아진다고 하는데, 일기를 통해 지난 일의 부정적인 경험을 인정하고 긍정적인 기억을 되살리며 감사함을 느끼는 연습을 해보자.

 

2. 마음 챙김(Mindfulness) 명상하기


마음 챙김 명상은 현재의 우리의 몸과 마음에 최대한 집중하며 잡생각을 파악하고 인정하며 내려 앉히는 시간을 가진다. 꾸준한 명상은 스트레스 감소와 정서 조절, 기억력, 집중력과 인간관계 개선, 등등, 여러 장점을 가진다 알려져 있다. 5-10분 짬 내 우리의 몸 구석구석에 귀 기울이고 숨을 가라앉히며 몸과 마음에 쉼을 주는 시간을 꼭 가져보도록 하자.

 

3. 봉사 활동하기 


앞서 감사 일기를 쓰는 것에서 더 나아가 직접 감사한 일을 베풀어주고 실천하는 데에서 큰 행복을 느낄 수 있다. 실제로 사회 심리학 연구에 의하면 봉사 활동과 같은 선행이 가져다줄 수 있는 행복감 그리고 만족도에 대한 논문이 비일비재하다. 다른 사람에게 도움을 받기 이전 먼저 베풀어 줄 기회 또한 찾아보도록 하자.

 

긍정 심리학의 여러 관점 


다른 사회 과학 분야보다 덜 객관적인 연구 방법에 긍정 심리학의 신빙성을 논하는 과학자들도 꽤 있다. 과연 삶의 의미와 경험의 답을 행복 또는 긍정이라고만 정의할 수 있을까? 부정이라는 생각의 회로에 갇혀 성취해야 할 목표물에 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몇몇 사람들에게도 이러한 문제들의 해결책이 단순히 낙관적인 생각이라고 할 수 있을까? 분명, 긍정 심리학이 정신 질병이나 극심한 우울을 앓는 몇몇 내담자들에게 별 특별한 해결책 없는 무리한 요청일 수도 있다. 어디까지나 이론의 한계는 있지만, 긍정 심리학이 바라보는 삶에 대한 시선이, 그리고 자신이 개척해 나갈 수 있다는 믿음이 누군가에게 희망을 심어줄 수 있다면 그 또한 충분한 원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지난 기사

언어의 변화, 더 큰 사회의 변화

건강 vs. 웰빙(Wellbeing)

문화가 정의하는 '평범'




참고자료

Edwards, L.M., Pedrotti, J.T., Faytol, A., Wynn, J., Snyder, C.R., & Lopez, S.J. (2019). “Measuring and labeling the positive and the negativ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9-44. http://dx.doi.org/10.1037/0000138-003

Martin Seligman and the Rise of Positive Psychology. [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 (2020). https://www.neh.gov/article/martin-seligman-and-rise-positive-psychology

McNulty, J.K., & Fincham, F.D. (2012). Beyond Positive Psychology?: Toward a contextual view of psychological process and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67(2), 101-110.

Miller, A. (2008). A Critique of Positive Psychology – or ‘The New Science of Happiness’.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42(3-4), 591-608.

http://transformationalchange.pbworks.com/f/critique+of+positive+psych.pdf

Positive Psychology Examples: 5 Ways to Put it Into Practice. [Positive Psychology. Com]. (2022 7월 21일). https://positivepsychology.com/positive-psychology-examples/

Thoits, P.A., & Hewitt, L.N. (2001). Volunteer work and Well-be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42, 115-131. https://www.asanet.org/sites/default/files/savvy/images/members/docs/pdf/featured/volunteer.pdf

긍정 심리학. [선샤인 논술사전]. (2007년 12월 17일).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838280&cid=42044&categoryId=42044

긍정 심리학. [HRD 용어사전]. (2010년 9월 6일).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178059&cid=51072&categoryId=51072

코로나19는 끝나 가는데 번아웃은 오히려 증가한다. [매거진 한경]. (2022년 6월 9일). URL: https://magazine.hankyung.com/money/article/202206295051c

‘포스트 코로나’ 눈앞인데 ‘마음 건강’은 여전히 빨간불. [한국일보]. (2022년 6월 18일). URL: 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61722480004319

5 ways to apply positive psychology, habits for wellbeing. [habits for wellbeing]. (연도 미상). URL: https://www.habitsforwellbeing.com/5-ways-to-apply-positive-psychology/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4855
  • 기사등록 2022-11-03 13:34:4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