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언
[The Psychology Times=김영언 ]
우리는 누군가가 우스갯소리로 돈을 더 많이 받으면 더 좋은 결과물을 내놓을 수 있냐고 묻는다면 당연하다고 답할 것이다. 이 답변의 속뜻은 보상이 클수록 일을 진행할 동기도 더욱 강해진다는 사실이다. 살면서 한 번쯤 다들 보상을 바라면서 노력하고 결과물을 내놓은 적이 있을 것이다. 아주 손쉬운 예로 어렸을 적 시험을 잘 치면 무엇인가를 사주겠다는 부모님과의 약속이 있을 수 있다. ‘이번에 백 점 받아오면 휴대전화 바꾸어줄게!’ 이 약속을 받아내면 갑자기 아이들은 공부밖에 모르는 바보가 된다. 우리가 평소에 많이 보고 느낄 수 있는 이 현상, 소위 당근과 채찍으로 불리는 심리적 효과가 있다.
크레스피 효과란?
크레스피 효과는 1942년 미국의 심리학자 레오 크레스피에 의해 처음 수립된 이론으로 보상과 처벌의 수위가 행위의 변화 및 수행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보상을 통해 원하는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보상을 점점 더 크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반대로 벌을 줌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행동을 줄이려고 한다면 처벌의 강도를 계속해서 높여야만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크레스피 효과를 밝힌 실험
크레스피 효과를 보여주는 실험이 있다. 그 실험은 쥐를 상대로 하는 실험이었다. 1단계로 A 집단의 쥐가 미로를 찾아낼 때 먹이를 1개 주고, B 집단의 쥐가 미로를 찾아낼 때는 5개의 먹이를 주었다. 그 결과 A 집단의 쥐보다 B 집단의 쥐가 더 빨리 미로를 탈출할 수 있었다. 반대 조건으로 두 번째 실험을 진행했다. 이번에는 A 집단의 쥐에게 보상으로 5개의 먹이를 주고, B 집단의 쥐에게는 1개를 주었다. 그러자 A 집단의 쥐들은 첫 번째 실험의 B 집단 쥐들보다 훨씬 빨리 미로를 찾아냈다. B 집단의 쥐들은 첫 번째 실험의 A 집단보다 훨씬 느린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 실험은 보상이 아주 커지면 행위의 수행 능력도 큰 폭으로 상승하고, 보상이 아주 작아지면 행위의 수행 능력도 급격히 하락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사실은 단순히 많이 주고 적게 주고의 차이가 아니었다. ‘이전보다 얼마나 더’ 많이 주고 덜 주느냐의 문제가 수행 능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
일상 속 크레스피 효과
쥐 실험으로 도출된 크레스피 효과는 미국 사회의 팁 문화에 적용되었다. 팁 문화는 직원의 서비스에 대한 일종의 인센티브인데 다들 팁을 주기 때문에 더 좋은 서비스를 위한 팁의 목적은 변질되어버렸다. 당연한 것이라 여겨지면서 팁을 받지 못하면 기분이 상한다는 점이다. 일정한 정도의 팁은 당연하게 주어야 한다는 인식이 생김으로써 더 좋은 서비스는 더 많은 팁 제공으로 가능해진다. 이뿐만 아니라 체벌이 존재하던 시절에는 체벌이 점점 강해져야만 효과가 있다고 생각해서 처음 가해졌던 체벌의 수위를 넘기는 경우가 생겼다. 단체 체벌을 통해 학생들을 다 같이 몰아세우는 경우도 이에 해당한다.
소위 ‘당근과 채찍’이라고 불리는 크레스피 효과를 어떻게 일상에 적용할 수 있을까? 극단적으로 상만 주거나 벌만 내리면 역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 적절히 상과 벌을 섞어서 칭찬하고 행동을 개선하도록 인도해야 한다. 보상에 익숙해지면 효과는 떨어지기 마련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자신만의 목표를 세우고 동기부여를 얻어야 한다.
지난 기사
출처: 전경익, 「칼럼- 크레스피 효과」, 경남도민신문, (2019), http://www.gn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318#0BNb
EBSCulture (EBS 교양), 세상의 모든 법칙 - 성과급을 주면 일을 더 열심히 할까?, (2017)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duddjs0813@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