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윤서
[The Psychology Times=최윤서 ]
출처: freepik
여러분은 돌아가고 싶은 과거가 있나요? 저는 여전히 후회스럽고 되돌리고 싶은 과거가 많은데요. 하지만, 시간은 돌이킬 수 없는 거기에 과거에 머물지 않고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 노력하면서 현실을 살아가려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인생을 돌이킬 수 없다는 사실이 명백한데도 불구하고 자신은 시간을 되돌릴 수 있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는데요. 이들이 바로 ‘리셋 증후군’입니다.
정의
리셋 증후군은 리셋(Reset)과 신드롬(Syndrome)의 합성어로서, 컴퓨터가 오작동할 때 전원을 다시 끄고 킬 수 있는 것처럼, 자신의 인생도 컴퓨터처럼 다시 시작할 수 있다고 착각하는 것을 말합니다. 리셋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조금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느껴도 그것을 바로 회피하고 다시 시작하려는 경향을 보입니다.
유래
1997년 5월, 일본에서 초등학생을 상대로 엽기적인 토막살인 사건이 일어났는데, 이 연쇄 살인사건에서부터 ‘리셋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하게 되었습니다. 이 사건의 범인은 다름 아닌 14세 중학생이었는데요. 그는 게임 중독으로 인해 가상 세계와 현실을 구분하지 못하고 자신이 실제로 사람을 죽였다는 현실을 자각하지 못했습니다. 그는 ‘네가 죽인 아이의 가족의 고통에 대해 생각해봤니?’라는 경찰의 질문에 ‘게임인데 왜 죽어요?’라는 말을 했다고 합니다.
리셋 증후군은 2000년대 초반부터 한국에서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현재에도 인터넷 중독이 빈번한 청소년들 사이에선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원인
한국사이버수사대에서는 ‘리셋 증후군’을 음란물 중독, 게임 중독과 같이 인터넷 중독의 한 유형으로 보고 있습니다. ‘리셋 증후군’은 인터넷과 게임 중독으로 인해 가상 현실과 현실 세계의 구분이 어려워진 것과 고통스러운 현실을 직접 마주하기 두려워하는 현실 도피 심리가 큰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리셋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대부분 폭력적인 컴퓨터 게임을 즐기는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장시간 사람을 죽이는 등의 잔인한 게임에 몰입하다 보면 실제로 사람을 죽여놓고도 다시 되돌릴 수 있는 컴퓨터 게임으로 착각하는 것이죠.
특징
리셋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특징을 보입니다.
1. 무엇이든지 인터넷으로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2. 하루에 4시간 이상 컴퓨터를 사용한다.
3. 폭력적이고 잔인한 게임을 즐긴다.
4. 게임 및 인터넷 속 세상이 현실 세계와 같이 느껴진다.
5. 잘못을 저지르고 나서 그 일이 일어나기 전으로 돌아갈 수 있다는 자기합리화가 심해진다.
6. 현실보다 인터넷 속의 자신이 더 능력 있고 인정받는 존재라고 느낀다
7. 책임감과 인내심이 부족해진다.
해결방안
리셋 증후군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해선 먼저 인터넷 중독에서 벗어나는게 시급합니다. 그러기 위해선 점차 인터넷 사용 시간을 줄여가면서 건강한 취미 활동과 규칙적인 운동을 병행해야 합니다. 또한, 주변인의 도움도 중요한데요. 현실 세계와 가상 세계를 구분하고 정상적인 일상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객관적인 충고와 지속적인 보살핌이 필요합니다. 혼자서 해결하는 것이 힘들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지난 기사
참고문헌
대한민국 경찰청 [polinlove2]. URL: https://blog.naver.com/polinlove2/222809915626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ena5927@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