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연
[The Psychology Times=정세연 ]
지난 기사에서는 수면의 주요 기능에 대해 알아보았다. 수면을 통해 우리는 수많은 혜택을 누릴 수 있지만 정말 안타깝게도 현대 사회에서는 이러한 혜택을 누리지 못하는 이들이 정말 많은 것 같다. 다양한 원인으로 인하여 규칙적인 수면을 하지 못하거나 수면과 관련하여 비정상적인 생리적 현상을 경험하는 ‘수면 장애’를 갖게 된 이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2019년 수면 장애 진료 인원에 관한 통계에 따르면 수면 장애 진료 환자는 64만 1806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8년에 조사된 수치인 56만 8067명에서 약 13% 증가한 수치이다. 현재는 그 인원이 더욱 늘어났을 것으로 예상되며 지금도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난 기사에서 알아보았듯이 수면은 우리의 신체적·정신적 피로 회복, 그리고 더 나아가 개인의 삶의 질과 건강유지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이와 관련해서 문제가 생기게 된다면 심리 사회적인 현상부터 신경 생리학적 현상까지 다양한 건강상의 문제를 겪으며 원활한 일상생활을 하는 데 매우 큰 어려움을 겪게 될 수 있다. 그렇다면 우리가 흔히 겪는 수면 장애에는 어떠한 증상들이 있으며 이를 어떻게 치료할 수 있을까?
수면 장애의 증상
1. 수면 무호흡
수면 무호흡은 자는 동안 호흡 능력에 장애가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이 증상을 가지고 있는 이들은 약 1분간의 무호흡 기간 후 깨어난 뒤 숨을 몰아쉰다. 이것은 전신성 고혈압, 심부정맥, 심근경색증, 뇌졸중 등의 심혈관계 질환이나 합병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치료를 하지 않은 채 오랜 기간 그대로 방치할 시 사망률이 일반인들에 비해 현저히 높아진다고 한다.
2. 기면발작
기면발작은 낮 동안 자주 졸음이 오는 질병을 말한다. 이 질병은 단순히 조는 정도가 아니라 갑자기 의식을 잃듯이 잠에 빠져들게 만들기 때문에 일상생활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기면발작은 신경전달물질인 오렉신에서 그 원인을 찾아볼 수 있는데, 이것이 우리가 계속해서 깨어있을 수 있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것이 결핍돼있을 경우 낮 동안 각성을 유지하기 힘들게 된다.
3. 주기성 사지 운동 장애
주기성 사지 운동 장애란 자는 동안 팔 또는 다리와 같은 신체 일부가 불수의적 운동을 반복하는 수면 장애이다. 이것은 주로 비렘수면 기간에 20~30초의 간격 동안 주기적인 비자발적 사지 운동을 하게 만든다. 이 장애는 중년기 및 노년기에 흔히 발생하게 된다.
4. REM 행동 장애
렘수면 동안에는 근육이 이완되어 활동하지 않는 것이 정상이지만 REM 행동 장애가 있는 사람들은 수면 중 꿈의 내용과 관련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인다. 이들은 주먹을 휘두르거나 발길질을 하는 등 종종 자신 또는 타인에게 상처를 입히며 물건을 파손하기도 한다.
5. 몽유병
몽유병은 수면 도중 갑자기 잠자리에서 일어나 걸어다니는 등 이상행동을 보이는 것을 말한다. 이것은 어린 시절, 서파 수면 도중에 흔히 발생한다. 이에 대한 원인이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수면 박탈, 과도한 스트레스 등에 의해 흔히 일어난다.
수면 장애 치료법
1. 낮잠을 피한다.
정말 졸린 경우 일어난 지 최소 5시간 정도가 지난 후 10~15분 정도만 자고 늦은 오후에는 자는 것을 절대 피해야 한다.
2. 매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다만, 늦은 시간대에 하는 운동은 오히려 교감신경을 자극하게 되므로 잠들기 5~6시간 전에는 운동을 끝내는 것이 좋다.
3. 수면을 위한 적절한 환경을 만든다.
침실은 최대한 어둡고 조용하게 만들고 시계를 볼 수 없도록 하는 것이 좋다.
4. 잠들기 위해 억지로 노력하지 말자.
잠이 오지 않는다면 일어나서 잠시 단순한 작업을 하거나 천천히 걷는 등의 이완요법을 하며 잠이 올 때까지 기다린 뒤 잠이 오게 되면 다시 침실로 들어가는 것이 좋다.
5. 자기 전 과식을 하거나 수면을 방해하는 물질을 피하자.
커피, 홍차, 술, 초콜릿 등과 같은 음식을 피하며 저녁 7시 이후에는 담배를 피지 않는 것이 좋다.
수면은 인간의 기본적인 욕구이며 육체적, 정신적, 정서적 균형과 건강을 위해 매우 필수적인 요소이다. 따라서, 수면 장애를 지니게 될 경우 단지 피로해지는 것 뿐만 아니라 여러 측면에서 악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자신이 현재 수면 장애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 이에 대한 문제를 절대 간과하지 말고 하루빨리 이를 치료하기 위해 노력하길 바란다. 또한, 오늘 밤 이 글을 읽고 많은 이들이 조금이라도 더 편안한 수면을 취하길 바란다.
지난 기사
참고문헌
James W. Kalat. (2019). 생물심리학. 서울:박학사.
김인자. (2000). 여성의 수면장애와 우울에 관한 연구(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조성희. (2002). 여성의 수면양상과 수면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최승임. (2001). 성인의 수면장애, 수면양상과 고혈압에 관한 연구(석사).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슬립테크] ‘수면장애’ 진료 환자 64만명...전년대비 13% 증가 [MEDI:GATE NEWS]. (2020). URL: https://www.medigatenews.com/news/2400113562
불면증 클리닉 [수면센터.분당서울대학교병원]. URL:
https://www.snubh.org/dh/main/index.do?DP_CD=NCD17&MENU_ID=005003
질환백과 [서울아산병원]. URL: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91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seyeon0429@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