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최윤서 ]


출처: freepik

요즘 끔찍한 사건의 범인으로 떠들썩한 ‘이기영’에 대해 다들 알고 계시나요? 택시기사와 동거녀를 살해한 혐의로 검찰에 넘겨진 이기영은 주변인들에게 재력가 행세를 하며, 평소 자신의 신상 정보에 대해 거짓말을 일삼아왔던 것으로 밝혀졌는데요. 전문가들은 이런 ‘이기영’에 대해 ‘리플리 증후군’의 증상이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렇다면 여기서 리플리 증후군은 무엇일까요?

 

 


리플리 증후군이란?



리플리 증후군은 현실의 세계를 부정하고 허구, 가상의 세계가 진실이라고 믿으며, 상습적으로 거짓말과 거짓된 행동을 반복하는 반사회적 인격 장애를 의미합니다. 이는 공상 허언증, 병적 거짓말이라고도 불리며, 1891년에 안톤 델브뤼크 박사에 의해 설명되었습니다.


리플리 증후군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단순히 현실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거짓말로 이루어진 세상을 완전한 진실로 믿습니다. 이는 성취 욕구가 강하지만 무능력한 개인이 강렬하게 원하는 것을 현실에서 이룰 수 없을 때 발생하게 됩니다. 한 사람의 욕구 불만족으로 인한 열등감과 피해의식이 상습적인 거짓말로 이어져 결국엔 그 사람이 자신이 만든 세상을 진실로 믿게 되면, 타인에게 끼치는 금전적, 정신적 피해의 위험성이 더 높아집니다.


리플리 증후군은 공상 허언증을 다룬 소설 ‘재능 있는 리플리 씨’의 주인공 ‘리플리’의 이름에서 유래되었는데요. 소설 속 리플리는 친구이자 재벌의 아들인 디키 그린리프를 죽인 후, 가짜 디키 그린리프의 삶을 살아갔습니다. 이런 리플리의 특성으로 인해 ‘리플리 증후군’이라는 용어가 탄생하게 된 것이죠.



증상 및 특징



리플리 증후군의 사람들은 자신이 만들어낸 허구의 세상을 실제라고 믿으므로, 자신의 거짓말에 대한 죄책감을 느끼지 않으며 잘못됐다고도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들은 훌륭한 이야기꾼으로서 그들이 하는 거짓말은 세밀하고 치밀하며 구체적입니다. 따라서 과장되거나 허구의 이야기일지라도 매우 설득력 있는 거짓말로 다른 사람들이 의심의 여지 없이 그들을 그대로 믿게 합니다.


또한, 리플리 증후군의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에 의해 존경과 동경심 또는 동정을 받기 위해 자신을 영웅이나 희생자로 묘사하며 인정받으려 합니다. 

그들은 ‘타고난 행위자’로서 허구를 진실한 사실로 믿으며 이야기를 하기 때문에, 상대방과의 관계를 맺을 때도 아주 태연하게 말을 잘 합니다. 눈을 잘 맞추지 못하는 등의 일반적인 거짓말을 하는 사람들에서 보이는 흔한 증상을 보이지 않는 것이죠.



원인



전문가의 의견에 따르면, 리플리 증후군의 발생 원인은 강한 피해의식과 성취 욕구, 열등감, 본인의 무능력함에서 오는 현실에 대한 불만족 등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무언가를 이루고 싶은 강력한 욕구가 있었는데 크게 실패한 경험의 충격이 컸다거나, 어린 시절의 애정 결핍이 존재할 때, 현실과 이상이 부딪히는 상황에서 한 거짓말을 진실로 믿는 것이죠.



허언증과의 차이



거짓말을 반복적으로 일삼는다는 점에서 허언증과 리플리 증후군을 같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하지만 이 둘은 차이가 있습니다.


허언증 환자는 자신이 거짓말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때문에 그 거짓말이 들키는 것을 매우 두려워하고 불안해합니다. 이에 반해, 리플리 증후군은 허구의 세계 그 자체가 현실이라고 믿기 때문에 거짓말이라고 생각하지 않아 들킬까봐 불안해하거나 양심의 가책을 느끼지 않습니다.




치료와 대처법



거짓말을 하지 않아도 자신을 있는 그대로도 사랑해주고 믿어주는 사람들이 옆에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해줘야 합니다. 허구의 세상이 아닌 ‘현실의 나’로서의 행복을 찾고 안정감을 느낌으로써 거짓말을 하는 것이 오히려 자신의 상황을 더 악화시킨다는 것을 알아야 합니다. 병원에서의 상담치료와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은 방법입니다.





지난 기사

나는 나를 너무 사랑해, 나르시시즘

사이코패스와 소시오패스

항상 완벽할 필요는 없습니다.

나'에 대해 안다는 것

범죄는 왜 일어나는 것일까?

회사 가기 싫은 사람들, 그 원인은?

나 다시 돌아갈래!

나는 어떠한 애착유형일까?





참고문헌

HiDoc [healthstory]. (2022). URL: https://www.hidoc.co.kr/healthstory/news/C0000712061

네이버 지식백과 [terms].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3377377&cid=58345&categoryId=58345

TAG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5429
  • 기사등록 2023-01-14 10:09:0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