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사수정

[The Psychology Times=이하영]


@pixabay

스포츠의 생활화


'스포츠: 일정한 규칙에 따라 개인이나 단체끼리 속력, 지구력, 기능 따위를 겨루는 일.'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스포츠, 즉 체육은 단순히 프로 선수들만의 영역을 넘어 인간 사회 전반에 걸친 분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대중들에게 스포츠는 인간의 삶을 건강하게 유지하는 데 있어 중요한 부분이며 ‘홈트레이닝’, ‘헬스’, ‘필라테스’ 등 다양한 스포츠를 즐기는 이들이 늘어나고 있기도 하다. ‘홈트 운동 루틴’ 콘텐츠를 제작하여 올리는 유튜버 ‘빅씨스 Bigsis’의 구독자 수는 60만 명이 넘었으며, ‘40분 유산소 홈트레이닝’ 영상의 경우 조회수가 450만 회에 달했다.


이렇게 의식주만큼이나 우리 삶과 밀접하게 연결되어가고 있는 스포츠. 이 스포츠 속에서도 다양한 심리학적 요인들이 존재하여 작동한다.

 @pixabay

스포츠에도 심리학이 있다고?


‘스포츠 심리학’이란, 스포츠 혹은 운동과 관련한 다양한 심리 현상과 이에 따라 발생하는 심리적 효과에 대한 다양한 영역을 탐구하는 학문이다. 프랭클린 헨리(Franklin M. Henry)가 1930년대부터 스포츠 기술에 작동하는 심리적인 요인들에 관한 연구를 진행한 것을 시작으로, 과학적이고 전문적인 학문으로 자리를 잡았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까지 ‘스포츠 심리학’이라는 용어로서, 스포츠 속 심리를 설명하는데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포츠 심리학’에서는 일명 ‘4C’라고 불리는 요소들이 존재한다. ‘4C’란 집중력(Concentration), 자신감(Confidence), 제어(Control), 책임(Commitment)을 뜻하며, 4개의 요소의 앞 글자인 ‘C’를 활용해 만들어진 용어이다. 스포츠 선수들이 경기를 수행하고, 진행하는데 있어 인간 심리에 작용하는 큰 요인들을 골라낸 것으로, 4개의 요소는 대부분의 스포츠 종목에서 효과적이고 성공적인 경기와 운영에 중요한 정신적 자질로 꼽힌다.


먼저 첫 번째 요소인 ‘집중력(Concentration)’이다. 스포츠를 행할 때 정신적, 육체적인 집중력이 기반이 되어야만 안전하고 성공적인 스포츠가 완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요소인 ‘자신감(Confidence)’은, 경기 수행에 있어 선수의 긍정적이고 자신감 넘치는 마음가짐이 능력 발휘를 최대치로 끌어올려 준다는 것이다. 세 번째 요소인 ‘제어(Control)’의 경우, 자신의 신체를 제대로 통제할 수 있고 경기 중에 발생하는 마음의 동요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마지막으로 ‘책임(Commitment)’은 스포츠 경기에서 자신이 행하는 플레이에 전반적인 책임감의 자세를 지녀야 함을 말한다. 이는 스포츠와 도덕적 가치를 연계시켜 도덕교육을 실천하는 데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요소인 ‘스포츠퍼슨십’과 연관이 깊다.


@pixabay

스포츠 심리학의 힘


스포츠 심리학에서 중요한 요소로 꼽히는 일명 ‘4C’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기술이있다. ‘이완(relaxation)’, ‘중심 잡기(centering)’, ‘정신적 심상(mental imagery)’ 등이 그 예이며, 스포츠 심리학은 ‘4C’를 비롯한 전문적이고, 생활적인 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는 중이다. 특히 일반 대중들의 스포츠 참여 활성화는, 인간의 정신적인 건강발달과 심리적 변화에 큰 도움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에 인간 자체를 넘어 사회에 도움이 되는 현상인 것이다.

 

이제는 스포츠가 단순히 여가 생활, 프로선수만의 영역이 아니게 되었다. 스포츠 외적, 내적으로 발생하는 심리를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스포츠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시기이다.






지난기사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 때로는 휴식이 필요합니다.

내가 하면 로맨스, 남이 하면 불륜?

"‘나 때는 말이야~’, 꼰대도 심리적 현상이라고?"






출처:

허은정, 김홍식. (2016). 스포츠퍼슨십에 대한 도덕심리학적 접근과 과제. 움직임의 철학: 한국체육철학회지, 24(1), 125-140. 

한국심리학회. (2014). 심리학용어사전. 

국민체육진흥공단 블로그. (2019). https://blog.naver.com/kspo2011/221536304764 

TAG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psytimes.co.kr/news/view.php?idx=6013
  • 기사등록 2023-04-09 16:09:1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